[시간 연대기]를 읽고 리뷰 작성 후 본 페이퍼에 먼 댓글(트랙백)을 보내주세요.
시간 연대기 - 현대 물리학이 말하는 시간의 모든 것
애덤 프랭크 지음, 고은주 옮김 / 에이도스 / 2015년 1월
평점 :
품절


이 책은 다음과 같은 질문에서 시작한다. 

"우리가 지금 사용하는 시간이 인류의 진화과정에서 새롭게 등장한 것이라면, 이런 시간이 실제로 존재하기는 할까(p.17)?"

그리고 그 질문의 답은 철학적 사유의 방식이 아닌 사학, 물리학, 천문학 같은 인류 문명을 구성하고 발달시켜 온 다양한 문화를 바탕으로 서술된다. 특히, 문화적 시간이 변화할 때 우주론의 시간 개념은 어떤 변화를 겼었는지, 반대로 우주론은 문화적 시간 개념이 어떤 영향을 주었는지를 각 시대적 변화를 중심으로 서술한 작가의 책은 최근까지 화두가 되고 있는 '통섭'의 한 방식, 경계를 허물고 각 영역을 자유로이 넘나드는 학문적 자유로움을 느끼게 한다. 

"인간의 역사에서 커다란 변화가 있을 때마다 시간 개념만이 아니라 더 많은 것들이 달라졌음을 깨닫는 것이 중요하다. 변화한 것은 시간 경험이다. 이것을 이해하려면, 아울러 인간이 직접 경험하는 시간이 우주론적 상상과 얼마나 밀접한 관련이 있는지 보려면, 물리학과 천문학의 연구 경로와 아주 유사한 길을 따라가야 한다(p.23)."
 
저자의 서술처럼 인간의 역사는 커다란 변화를 겼었다. 다시 말해, '5만 년 전 탄생한 정치적인 도시제국에서 2세기 전 구축된 공장 중심의 상업 제국에 이르기까지 인간의 문화는 몇 번이고 계속해서 재창조되었다(p.462).' 정보통신 혁명을 통해 실시간으로 세계가 연결되는 오늘날, 이를 두고 사회학자 존 어리(J. Urry)는 '이동사회'의 재등장이라고 평하기도 했다. 호모 노마드(Homo Nomad)로 대표되는 신유목사회에서 시간은 최적의 효율화를 목표로 늘 가속화하며 바삐 움직이고 있는 것 같다. 

한편 저자는 갈수록 가속화되는 시간의 배경 뒤에 에너지 자원과 자연 자원이 있었음을 언급한다. 

"지난 세기 전 세계 산업생산의 급격한 증가는 단순히 과학과 기술의 결과물은 아니었다. 석유화학이라는 값싼 에너지가 무한히 공급될 수 있었기에 과학과 기술이 가능했던 것이다(p.470)."

그리고 아다시피 무한히 공급될 것만 같았던 에너지가 그 한계를 드러내고 있음은 더이상 놀랄만한 사실도 아니다. 에너지의 한계 문제와 더불어 끊임없는 과학 기술 산업의 속도 경쟁 속에 환경오염의 총량 역시 증가한 것도 사실이다. 그래서 저자는 다음 단계의 인류 역사가 기후를 중심으로 다시 쓰이고 있다고 평한다. 어쩌면 기후 변화로 대표되는 온 지구가 신음하고 있는 환경의 문제는 인류의 다음 역사를 전망하기에 중요한 기착점이 될 수 있다. 1992년 세계 환경 회의에서 지속가능성에 대한 개념이 합의된 이래로, 현 인류는 미래 세대에 대해 염려하기 시작했다. 가속화의 정점에서 과연 이대로 가도 좋은가에 대한 반성이리라. 하지만 이 개념에도 여전히 한계는 존재한다. 미래 세대가 의미하는 '미래'란 언제를 의미하는가. 현 세대를 기준으로 미래 세대를 정의할 때, 역시 시간의 개념이 필요하다. 우리의 미래는 어떻게 정의되고 예견될 수 있는가. 태초에 시간이 어떻게 존재하는가는 다시 우리 미래의 문제로 연결됨을 알 수 있다. 

아직 과학적으로 설명되지는 않고 있지만, 우주의 탄생과 함께 시간은 발생했다. 그리고 점점 가속화되는 시간 속에서 우리 미래를 내다보는 일. 어쩌면 저자는 시간 연대기를 통해 그 해답을 찾아가는 과정을 보여주고 싶었는지도 모른다. 


※ 알라딘 공식 신간평가단의 투표를 통해 선정된 우수 도서를 출판사로부터 제공 받아 읽고 쓴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