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탐험이 가져온 선물, 지도
경희대학교 혜정박물관 지음 / 한겨레아이들 / 2008년 3월
평점 :
절판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자주 사용하는 지도는 공간의 수많은 정보를 종이에 옮겨 담아놓은것이다.
초등학교 4학년에 다니는 둘째아이가 요새 배우고 있는 단원이 지도이다.지도의 쓰임새에 대하여 함께 이야기 나누면서 자연스럽게 세계지도에 대한 이야기까지 확장할수 있어서 좋았다.
특히나 이책은 경희대학교 혜정박물관의 어린이를 위한 고지도 특별전시회"콜롬빈과 마조리, 바닷길을 열어라" 를 바탕으로 구성하였다고 하여 아이와 함께 직접 혜정박물관에 가보려고 별렀으나
주말에는 박물관이 휴관이어서 아쉽게도 직접 탐방을 할수가 없었다.
아주오래전 부터 사람들은 땅에 관심을 가지고 지도를 만들기 시작했으며, 옛날지도에는 그 시대 사람들의 생각과 소망이 담겨져 있다. 현재까지 전해지는 지도 중 가장 오래된지도는 약2500년 전에 만들어진 바빌로니아 점토판 지도로써, 메소포타미문명의 발상지인 바빌로니아는 지금의 이라크 지역을 뜻한다. 각양각색으로 소개된 세계지도와 특이한 모양의 화려한 색깔을 지니고 있는 세계지도는 아이들은 호기심을 끌기에 충분했다. 특히나 유럽사람들이 동양에는 무서운 괴물과 사람들이 한곳에 살고 있다고 생각해서 동양사람들을 여우처럼 그려놓은 모습, 유럽을 세상의 중심으로 생각해서 아프리카와 아시아는 상상해서 지도를 그린것, 프톨레마이오스가 만든 지도의 기본형식인 축적, 기호, 방위는 오늘날의 지도에서도 사용하고 있다는사실은 놀랍기도 했다.
반면에 우리조상들의 지도는 땅에도 생명이 있다고 생각해서, 우리땅을 사람이 서있는 모습이라고 생각, 백두산은 머리, 평안도와 황해도는 두 팔, 태백산맥은 허리, 소백산맥은 두 다리 제주도와 대마도는 두발이라고 생각하고, 지도에 오방색을 넣어 우리땅을 소중하게 지키고자 하였다.
책의 뒤쪽에 아쉬운듯 소개된 한양도성도를 보면서 아이와 함께 우리의 지도공부를 조금 더 해보았다.
먼저 한양도성도를 따라 그려본후에..
4개의 산과, 4개의 문을 함께 찾아보았다.
학교 사회시간에 배운 한강다리를 표현하기 위해 옛날 모습의 한강나루터가 표시된 지도와 함께 살펴보았다
|
책의 뒷이야기는 평일날 혜정박물관에 다녀와서 마무리 하려고 남겨두었다. 선거를 끝내고 아이와 함께 박물관나들이를 약속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