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를 위로하는 글쓰기 - 몸과 마음을 치유하고 자기를 발견하는 글쓰기의 힘
셰퍼드 코미나스 지음, 임옥희 옮김 / 홍익 / 2018년 1월
평점 :
절판


 '나를 위로하는 글쓰기'를 쓴 셰퍼드 코미나스는 젊은 시절 시달린 만성 편두통에서 벗어나기 위해서 일기를 쓰기 시작했습니다. 일기 쓰기를 통해서 몸과 마음을 치유한 그는 그 이후로 대학에서 글쓰기를 가르치기도 했지만, 병원에서 실제로 몸이 아픈 사람들이 글쓰기를 통해서 아픔을 극복하고 인생을 변화시키도록 도왔습니다. '나를 위로하는 글쓰기'는 그런 저자의 강연이 엮어진 책입니다.

 책은 네 개의 PART로 나뉘어 있습니다. 

PART 1. 나를 위로하는 글쓰기의 시작
PART 2. 치유를 위한 글쓰기
PART 3. 치유의 글쓰기 연습 Ⅰ
PART 4. 치유의 글쓰기 연습 Ⅱ

 하지만 제게 가장 인상적이었던 부분은 서문인 '왜 써야 하는가?'이었습니다.

'사람들은 글쓰기를 통해 현관문 바깥으로 단 한 발짝도 옮기지 않고서도 자기발견의 항해를 시작할 수 있었고, 인생의 새로운 모험에 착수할 수 있었다.'
'당신이 쓴 것들을 읽지 말아요. 그냥 무조건 쓰기만 하세요.'
'그렇다고 편두통이 완전히 사라진 것은 아니었다. 하지만 본격적으로 글쓰기를 한 다음부터 편두통을 대하는 나의 태도가 미묘하게 바뀌었다. 나와 편두통 사이에 틈이 생긴 것이다.'

 저자는 서문에서 자신의 이야기를 하면서 글쓰기가 몸의 아픔을 어떻게 치유할 수 있는지 알려줍니다. 그러면서 글쓰기의 이로움을 육체적, 정서적, 정신적, 영적, 통합적인 측면에서 각각 세 가지씩 들어줍니다. 지난 수 십 년 동안 글쓰기가 쇠퇴하고 다양한 SNS가 확산된 이유가 인터넷의 여러 부작용이 있음에도 다른 누군가와 연결되어 소통하는 일이 정신건강에 도움을 주기 때문이라고 주장합니다. '나를 위로하는 글쓰기'는 자기와의 소통을 통해서 장점은 취하고 인터넷의 여러 부작용에 노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책은 형식상 네 PART로 나뉘어 있지만 내용으로는 세 부분입니다.

 'PART 1. 나를 위로하는 글쓰기의 시작'은 글쓰기를 시작할 때 부딪치는 실제적인 문제들을 하나씩 짚어갑니다. 종이, 필기구, 장소, 시간 등등 각각에 대해 말하는데 결국 가장 편안하게 접근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라고 조언합니다. 그 후에는 무엇에 대해 쓸 것인가에 대해서 실제적인 팁을 줍니다.

 'PART 2. 치유를 위한 글쓰기'에서는 글쓰기를 시작한 다른 이들의 이야기를 들려줍니다. 오랜 시간 여러 사람들의 글쓰기를 도운 저자가 들려주는 사례를 통해 다양한 측면에서 글쓰기를 바라볼 수 있습니다.

 PART 3,4는 분량 때문에 나뉜것 같지만 실제로는 '치유의 글쓰기 연습'이라는 제목 아래에 여러가지 글쓰기의 방식들을 하나씩 소개하고 있습니다. 서문에서부터 PART 2 까지는 순서대로 읽는편이 좋겠지만, PART 3,4 부분은 순서랑 상관없이 읽고싶은 부분부터 읽어도 좋겠습니다. 사람에 따라서는 이 부분은 다 읽지 않아도 상관없다고 할 수도 있습니다. 다만 PART 4 말미에 자리하고 있는 'Chapter 19 평생에 걸친 글쓰기'는 책 전체의 내용을 저자가 간략히 짚어주는 부분입니다. 혹시 PART 3,4를  다 읽지 않은 사람이나 다 읽기 부담스러운 사람이라면 마지막 Chapter를 찬찬히 읽으면서 저자가 말하고자하는 바를 간략히라도 들어보거나 읽고싶은 부분을 찾을 수도 있겠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