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밍웨이, 글쓰기의 발견 - 헤밍웨이, 글쓰기의 '고통과 기쁨'을 고백하다!
어니스트 헤밍웨이 지음, 래리 W. 필립스 엮음, 박정례 옮김 / 스마트비즈니스 / 2024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헤밍웨이, 글쓰기의 발견>을 받고 읽기 시작하면서 한 번 놀랐고, 다 읽은 후 리뷰를 하기 전에 이것저것 찾아보다가 다시 한 번 놀랐습니다.


책 제목이 <헤밍웨이, 글쓰기의 발견>이지만 따로 엮은이가 있는 것을 보고 어느정도 짐작은 했지만, <헤밍웨이, 글쓰기의 발견>은 각각의 완성된 글들이 모인 책이 아닙니다. 책은 크게 두 개의 파트로 나뉘어있고, 각각의 파트 안에는 7개와 6개의 소제목이 있습니다. 일반적인 책이라면 응당 각각의 소제목이 하나의 글인 경우가 많지만, 이 책은 그렇지 않습니다. 굳이 표현하자면 <헤밍웨이, 글쓰기의 발견>은 헤밍웨이의 문장 모음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런 구성은 책 어디를 펴서 읽어도 상관없다는 장점과 책 전체를 읽어나가는게 쉽지 않다는 단점을 가집니다.


다 읽은 후에 헤밍웨이에 대해서 이것저것 찾아보다가 <헤밍웨이, 글쓰기의 발견>이 이미 국내에 한 번 번역되어 출간된 적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이런 사실을 전혀 몰랐다는게 신기하기도 했지만, 같은 출판사에서 나온 이전 책의 출간 년도가 2014년인걸 보고 수긍할 수 있었습니다. 이번에 <헤밍웨이, 글쓰기의 발견>이 출간된 덕분에 헤밍웨이의 글쓰기를 엿볼 기회가 생겨서 다행입니다.


<헤밍웨이, 글쓰기의 발견> 속 문장들은 헤밍웨이가 쓴 것이 분명하지만, 책을 만든 사람은 따로 있습니다. 바로 엮은이인 래리 W. 필립스입니다. 헤밍웨이가 평생 쓴 글들 속에서 '글쓰기'에 관련된 부분들을 따로 뽑아서 엮은 래리 W. 필립스는 그 작업을 아래와 같이 표현합니다.


"어떤 주제에 관해 한 사람이 평생 동안 밝혀 온 생각을 모으는 일은 아주 흥미로운 일이다. 서로 다른 시기에, 다른 국가나 도시에서 무작위로 쓰인 글들이 시공간을 뛰어넘어 마침내 마술처럼 퍼즐 조각이 끼워 맞춰진 것이다."


엮은이는 퍼즐 조각이 끼워 맞춰졌다고 표현했지만, 조각이 끼워맞춰지는 것과 완성된 글은 큰 차이가 있다는걸 책을 읽는 내도록 느꼈습니다. 앞서도 밝힌 것처럼 책 어디를 펴들고 읽어도 상관없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에 전체 흐름이 있는게 아니기 때문에 쉽게는 읽히는데 책장은 잘 안넘어갔습니다.


책을 읽는동안 헤밍웨이가 소설가이기 이전에 저널리스트였음을 새삼 깨닳았습니다. 어린이 판 '노인과 바다'에서도 어느 정도 머리가 굵어진 후 읽었던 '노인과 바다'에서도, 항구 술집에서 팔을 맞대고 있던 팔씨름 장면과 바다 위에서 낚싯줄을 사이에 두고 팽팽한 힘을 겨루던 낚시 장면을 보면서 어떻게 이렇게까지 표현을 할 수 있을까 생각했습니다. 소설이 아닌 뉴스를 본다고 생각하니, 여전히 놀랍긴 하지만 그의 글이 조금은 더 이해할 수 있었습니다.


글쓰기에 관심이 있는 사람이라면 누구도 헤밍웨이의 글쓰기가 궁금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헤밍웨이, 글쓰기의 발견>을 통해서 헤밍웨이의 글쓰기를 함께 엿보면 좋겠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