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가장 가까운 타인 - 가족 치료의 대가 이남옥 교수의 중국 가족 심리 상담
이남옥 지음 / 북하우스 / 2022년 4월
평점 :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2/0422/pimg_7484362983388746.jpg)
띵똥~!
북하우스의 "가장 가까운 타인"이 왔어요.
"택배 아저씨~! 감사합니다."
<가장 가까운 타인> 이라는 제목을 봐서 처음 느끼는 감정은 "외롭다" 였습니다.
책을 읽고 가족이 가장 가까운 타인이라는 점에 깜짝 놀랬습니다.
가족은 내편인데.. 아니었구나.
세상을 마주하고 선 처음 본 사회가 가족의 울타리였다는 점.
<가장 가까운 타인>을 읽고서야 왜?? 라는 궁금증을 풀었습니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2/0422/pimg_7484362983388747.jpg)
현대 중국 가족의 심리적 트라우마를 보여주는 가장 가까운 타인은
총 스물일곱 가족의 사례가 담겨 있습니다.
가장 가까운 타인을 읽으면서 중국 영화의 장면이 떠오르곤 했습니다.
그리고 중국문화가 남아선호하는 우리나라의 사상과도 비슷해 이해하기 쉬웠습니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2/0422/pimg_7484362983388749.jpg)
부부 문제, 부모 자녀 문제, 형제자매, 시댁과의 문제를
이해하고 관계 개선해가는 것 과정을 보여줍니다.
가장 가까운 타인에서는 대물림이라는 단어가 계속 보여집니다.
거슬러 올라가 가계도를 만들어 부모의 성장과정과 가족 관계를 헤쳐보면
어디에서 꼬이고 비뚤어졌는지를 알게 됩니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2/0422/pimg_7484362983388750.jpg)
가족 상담은 완벽한 화해와 용서의 장으로 만들지는 못합니다.
그러나... 솔루션을 통해 왜?? 라는 답을 구하면 훨씬 쉬워지고
이해하고 배려하니 답은 쉽게 풀려나가는 것을 볼 수 있었습니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2/0422/pimg_7484362983388751.jpg)
가치관의 갈등도 그럴 수 있다고 그랬을 것이라고 이해하고 긍정적으로 받아들이면
서로를 쉽게 이해하고 포옹해야 한다는 것을 배웠습니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2/0422/pimg_7484362983388752.jpg)
코미디 프로그램 중 "대화가 필요해"라는 코너가 있었습니다.
무척 재미있게 봤던 기억이 나는데요.
<가장 가까운 타인>을 읽으면서 가족간에는 절대적으로 대화가 필요하다는 것을
또 다시 떠올렸습니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2/0422/pimg_7484362983388754.jpg)
조용하게 도서추천 합니다.
북하우스의 <가장 가까운 타인 > 읽어보세요.
[출판사로부터 도서 협찬을 받았고 본인의 주관적인 견해에 의하여 작성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