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백 년 동안 핀 꽃 - 최초의 지역 축제 ‘춘향제’를 만든 최봉선
김양오 지음, 곽정우 그림 / 빈빈책방 / 2021년 12월
평점 :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2/0112/pimg_7484362983267830.jpg)
띵동~
최초의 지역축제 "춘향제" 만든 최봉선에 대한 이야기가 실려있는
빈빈책방의 백년동안 핀 꽃~! 왔습니다.
"택배아저씨~ 감사합니다."
그림이 실려 있어 당시 현장을 현실감있게 표현한
백년동안 핀 꽃은 최초로 지역축제 "춘향제"를 만든
최봉선에 대한 이야기가 실려있습니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2/0112/pimg_7484362983267833.jpg)
백년동안 핀 꽃 목차입니다.
일제 강점기와 독립운동 그리고 춘향이의 수난 시대가 보입니다.
백년동안 핀 꽃을 통해 최초의 춘향제를 만든 예기 최봉선을 알게 되었고,
우리나라 역사와 전통이 지금까지 잘 이어져 내려가고 있습니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2/0112/pimg_7484362983267834.jpg)
1921년 봄, 최봉선은 동생 최수련과 함께 남원을 찾았습니다.
........................................
이몽룡과 성춘향의 예쁜 러브스토리가 전해져 내려오고 있다고만 알고 있던 남원~!
백년동안 핀꽃을 통해
일제 강점기 남원 사람들의 항일 정신을 일깨운 상징적인 장소임을 알게 됩니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2/0112/pimg_7484362983267835.jpg)
광한루는 사방이 탁 트인 누각이라고 들었는데 창이 모두 닫혀있었습니다.
일본순사들이 광한루를 재판소로 사용하고 있었습니다.
최봉선은 기생이라는 신분으로 차별받는 열악한 환경 속에서도 독립운동에
적극 가담했습니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2/0112/pimg_7484362983267836.jpg)
일제강점기 일본은 ‘문화통치’를 한다는 명목으로
조선의 언어와 문화 말살정책을 폅니다.
남원의 지역 유지이자 독립운동가 이현순이 만든 남원 예기 조합을 만들고
조선말을 하고 조선의 전통 예술을 지켜나갔습니다.
최봉선은 남원의 으뜸 기생으로서 그 뜻을 이어갔고,
민족정신을 고취하기 위해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축제이자,
지역 축제의 시초라고 할 수 있는 ‘춘향제’를 만들었습니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2/0112/pimg_7484362983267837.jpg)
한국전쟁이 터지자 최봉선은 춘향이의 영정을 머리에 이고 피난 길에 올랐습니다.
최봉선은 춘향이가 목숨을 걸고 정절을 지켜 어사 부인이 된 이야기는
조선 사람들에게 큰 희망을 주고 있다고 생각했습니다.
희망없이 살아가는 조선사람들을 위해 가슴 속의 답답함을 풀어내고
불의를 저항한 춘향정신을 통해 민족 정신을 이어갈 것을 의미해 춘향제를 만든 것입니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2/0112/pimg_7484362983267838.jpg)
안타깝게도 춘향제를 처음 만든 최봉선에 대한 기록은 남아 있는 것이 거의 없다고 합니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2/0112/pimg_7484362983267839.jpg)
조선 기예가로 독립운동가를 도와주며 민족의 얼을 이어온 최봉선과
우리가 몰랐던 춘향제에 대한 역사이야기를 백년동안 핀 꽃을 통해 알게 되었습니다.
남원을 여행가면 춘향이가 모셔있는 사당에서 찾아
최봉선을 떠올리며 추모하겠습니다.
[출판사로부터 도서 협찬을 받았고 본인의 주관적인 견해에 의하여 작성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