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략적 사고의 11가지 법칙 - 남들과 다르게 압도적 성과를 내는 1% 리더의 생각 기술
김성준 지음 / 포르체 / 2024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나라의 리더들은 보통 패스트 팔로워 전략에 익숙하다고 한다. 선진국과 해외기업들의 퍼포먼스와 노하우를 벤치마킹하여 따라가는 것에 익숙하고, 무엇이든 빨리빨리 열심히 또 수직적으로 조직을 밀어붙이는데 능하다는 것이다. 이는 개발도상국으로서 뒤늦게 급속발전을 이룬 우리의 근현대사와도 관련이 있지만, 특유의 빨리빨리 문화는 조선시대에도 기록이 있을 정도로 우리나라의 오래된 생활양식일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을 것이라 한다. 이러한 빨리빨리 문화는 대한민국이 급속도로 발전할 수 있는 토양이 되었지만, 동시에 세상을 앞서가는 창조적 사고와 근본적인 가치를 향상시키는 깊은 사고를 가로막는 원인이 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이제 대한민국은 더는 과거의 굶주린 변방에 머무르고 있지 않으며, 네트워크 인프라의 발달로 우리도 글로벌 무대에서 경쟁해야하는 입장이 되었다. 팔로워 전략만 고수해도 성장이 가능하던 시기는 끝났다는 것이다. <전략적 사고의 11가지 법칙>의 저자는 선구자 전략을 이행하기 위해서는 본질적 사고력을 키우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한다. 이 책은 조직과 인사에 대해 오랜시간 연구해 온 저자가 조직 리더들(주로 기업 임원들을 지칭하는 것으로 보인다)로 하여금 전략적 사고를 기를 수 있게 하고자 쓴 책이라고 한다.

사실 나는 당장 혹은 당분간은 리더가 될 일이 없지만, 발전하고 싶은 개인으로서도 전략적 사고는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사실 모든 의사결정이 마찬가지일 것이다. 내가 혼자 하는 일조차도 조직에서 수행하는 과업과 같이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과정들을 거쳐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해야한다. 현장 전문가를 자처하는 저자가 직무를 막론한 모든 실무현장에서 사고력을 계발할 수 있는 방법론을 제시하는 책인만큼 개인적 상황들을 연계하여 생각하며 읽는 것이 좋다는 생각이 든다. 기업 조직과 임원에 포커스를 두고 서술한 책인만큼 회사 윗단에서는 어떤 식으로 생각하고 의사 결정들이 오가는 지에 대해서도 엿보고 생각해볼 수 있는 책이었다.

*출판사로부터 서적을 제공받아 작성한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