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Book] 메를로퐁티의 지각현상학 읽기 세창명저산책 40
류의근 지음 / 세창미디어 / 2016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철학자는 철학을 하는 사람이기에 철학하는 방법을 가지고 있기 마련이다. 철학하는 방법은 다양하지만 메를로-퐁티는 현상학적 방법으로 철학을 한다.

-알라딘 eBook <메를로퐁티의 지각현상학 읽기> (류의근 지음) 중에서 - P8

따라서 감각을 인상으로 규정하는 것은 감각을 규정하는 문제에 있어서 본말을 전도하는 처사이다

-알라딘 eBook <메를로퐁티의 지각현상학 읽기> (류의근 지음) 중에서 - P13

이리하여 우리가 감각을 인상으로 규정하는 것을 버린다면 어떻게 할 것인가? 감각이 성질을 가진다고 하는 규정이 그 한 가지 대안이다.

-알라딘 eBook <메를로퐁티의 지각현상학 읽기> (류의근 지음) 중에서 - P13

그러면 도대체감각한다는 것은 무엇인가?

-알라딘 eBook <메를로퐁티의 지각현상학 읽기> (류의근 지음) 중에서 - P15

그러면성은 어떤 의미에서 실존을 표현하는가? 성생활이 생식기적이 아님은 분명하다. 성생활은 단순히 생식기 작용 과정의 결과가 아니다. 그것은 실존의 양상을 표현하고 실존적 변화를 수행한다. 즉 실존을 실현하는 것이다

-알라딘 eBook <메를로퐁티의 지각현상학 읽기> (류의근 지음) 중에서 - P38

모든 실존이 성적은 아니지만 성은 실존적이다

-알라딘 eBook <메를로퐁티의 지각현상학 읽기> (류의근 지음) 중에서 - P38

성이 실존적 의미를 가진다거나 실존을 표현한다는 말은 성을 자연 법칙에 의해 통제된 기계로 취급할 수 없고 이해해서도 안 된다는 뜻이다. 바로 그러한 의미와 특성을 내포하기 위해서성은 형이상학적이라고 표현한다

-알라딘 eBook <메를로퐁티의 지각현상학 읽기> (류의근 지음) 중에서 - P39

인간의 삶은 이러한성을 초월할 수 없고 피할 수 없다. 성의 형이상학적 면모는 인간 삶의 실존적 본성을 상징하기 때문이다.

-알라딘 eBook <메를로퐁티의 지각현상학 읽기> (류의근 지음) 중에서 - P3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