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지 않는다는 말]을 읽고 리뷰 작성 후 본 페이퍼에 먼 댓글(트랙백)을 보내주세요.
지지 않는다는 말
김연수 지음 / 마음의숲 / 2012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읽는 순간 무라카미 하루키의 '달리기를 말할 때 내가 하고 싶은 이야기'가 생각났다. 김연수와 하루키는 꽤 공통점이 많다. 우선 아마추어 러너라는 것, 레이먼드 카버의 소설들을 번역했다는 것. 이것도 공통점이라 해야할지 당연한것이라고 해야할지 소설가라는 것이다. 또 한번 공통점을 찾는다면 이렇게 결국 러너의 일상에 대해 에세이를 썻다는 것.

 

또 끈질기게 공통점을 말하자면 나란히 알라딘 에세이 세번째 추천도서로 선정되었다는 것! 또 다시 끈질기에 말하자면 하루키 단편소설이나 엽편에 등장하는 코끼리가 김연수 산문집 일러스트로 사용되었다는 점은 역시 끼어맞추기려나?

 

김연수의 단편소설을 여러편을 읽었지만 장편은 마지막까지 읽지 못했다. 굳빠이 이상이나 그 외 여려편들, 심지어 집에도 몇권의 책을 샀지만 끝까지 읽지 못했다. 왜 일까 싶었지만 아무래도 나의 근성의 문제였는지도 모르겠다. 그래도 끝까지 읽지는 못했지만 그래도 호감은 가는 작가였다. 전에 김연수 작가의 강연을 들은적이 있는데 그때도 마라톤에 관한 이야기를 했었다. 그때 하루키와 관련된 우선 하루키도 아마추어 러너니까 그에 관한 이야기를 하고싶었지만 꾹 참았다.

 

사실 나는 제목에 조금 불만이 있다. 지지 않는다는 말, 음 과연 이 본문과 관련이 있는 말일까? 어쩐지 청춘 자기계발서같은 느낌이 든다. 지지 않겠다는 오기에 관해서는 전혀 없는거 같은데 오히려 '어쩌다가 나 같은 사람도 달리게 됐는가?' 의 첫 서문을 제목으로 했어도 괜찮을지도 모른다는 생각을 했다. 결국 달리기가 주된 내용이니까.

 

달리기가 주된 내용이래도 그에 관련된 작가의 살아온 인생에 대해 담겨져 있다. 지난 청춘에 대해서도 어린시절 그리고 최근에 대해서도. 읽다보면 올해, 지난 해 이렇게 적혀 있지만 2007년도나 2010년도 까지 있는걸보면 그동안의 글들을 모은 느낌이 들었다. 들었다가 아니라 그런 글들인데 그래서인지 여유가 느껴져 좋았다. 오로지 '마라톤'이라는 글만 있었더라면 조금은 빡빡한 느낌이 들기도 했을텐데 말이다.

 

나는 달리기를 그리 좋아하는 편은 아니다. 아마 어린시절 억지로 달리기를 강요받았기 때문인지도 모른다. 당시 초등학교때 10시만 되면 전교생은 전체 운동장을 들었다. 생활체육의 일환인지 모르겠지만 그래서 억지로 운동장을 들었다. 게다가 나는 운동부여서(운동을 잘해서가 아니라 구색을 맞추기 위해 선생님이 억지로 넣었다) 운동장 10바퀴를 돌았다. 그 덕분인지 모르겠지만 달리기를 싫어하지만 못뛰지는 않는다. 뛰는 재미를 알았다면 계속 달리기를 했을지 모르겠지만- 하지만 하루키 수필집을 읽고나서 나도 한번 뛰어볼까? 하는 마음은 조금 생기지만 내가 사는 동네는 처자가 마을을 뛰어다닌다라는 라는 인식은 "쟤 왜저래?" 인식 밖에 되지 않는다. 차마 그 시선을 뚫고 뛸 마음도 없고 용기도 없다.

 

그런데 이 수필집을 읽고나니 한번 뛰어볼까? 하는 마음이 조금 들기도 한다. 달리기는 자신과의 싸움이며 한계를 느낄 수 있는 체험이다. 특히 마라톤이라는 긴 레이스는 남과의 경쟁보다는 나 자신과의 싸움이다. 근성이 부족한 나에게는 지구력을 기를 수 있는 좋은 운동이라는 생각이 들긴 하지만- 자꾸 마음에 핑계가 생긴다.

 

그렇다고 이 산문집에는 달리기에 관한 이야기가 있는 것이 아니다. 강연을 듣고 참 유머러스하다라고 생각이 들었는데 글도 그렇다. 한번 더 읽기 바라며 쓰는 글은 재미있게 읽었다. 다 읽고 다시 뒤부터 있는데 다시합창합시다라는 느낌이 들어서 재미있게 읽었다. 타이즈에 관한 부분도 재미있게 읽었다. 어린시절에 관한 이야기도. 어쩐지 작가들의 어린시절 이야기는 다 재미있다. 우울했었던 이야기라도 재미있었던 이야기라도 내가 겪지 않아도 공감대가 형성이 된다. 아주 사소한 이야기라도. 기억과 추억에 관한 이야기도 흥미로웠다. 나는 고독이 별로 슬프지도 않고 괴롭지도 않고 좋지도 않고 어쩐지 나와 잘 맞는다라는 생각을 했다. 혼자있는것이 편할때가 있는데 작가가 말한 내향적인 성향과 잘 들어 맞는다. 기억과 추억에 관한 부분은 조금 슬펐다. 내가 추억이라고 생각했었던것들이 사실 그냥 기억인지도 모른다고 생각하지 슬퍼졌다. 아니야 사실 그건 추억인지도 몰라, 라고 생각이 들었지만.

 

여행에 관한 부분도 있는데 소심한 나로서는 작가의 용기(?)가 대단했다. 나는 여행전부터 근심이 많은터라 좋은일이 벌어질거야- 라는 생각은 전혀하지 못한다. 도둑맞으면 어쩌지? 시간이 안맞으면? 차를 놓치면? 길을 잃으면? 이라는 생각에 여행전부터 꼼꼼히 뒤지다 결국 지쳐서 여행따위는 가고싶지 않아 포기하거나 여행지에 가서는 실망하기 일쑤다. 하지만 나도 작가가 조언한 주문처럼

 

'이제부터 내게 어떤일이 생길텐데, 그 일들은 내가 한번도 상상해보지 못한 일일 것이다. 그런 일이 생기더라도 절대로 놀라지 말자. 마음대로 넘겨짚지 말자. 인간성을 믿자'

 

10월에 여행을 갈까 생각만 하고 있는데 이 조언을 새겨봐야겠다. 하지만 인간성을 믿자, 라는 자체가 큰 모험이자 정말 복불복 주문이 아닐까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