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터운 삶을 향하여
정현종 지음 / 문학과지성사 / 2015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시인이라고는 학교에서 배웠던 서정주, 조지훈, 이상 등 밖에는 모르던 오래 전 고 김현을 통해 알게된 이름 ‘정 현 종!’

 

처음으로 그의 시선집 ≪이슬≫(문지스펙트럼)을 읽고 시인의 시어들과 같이 내 몸 또한 전율과 떨림이 느껴지던 그 때가 기억난다. 그 이후 그의 <고통의 축제>, <나는 별 아저씨>, <떨어져도 튀는 공처럼>, <한 꽃송이>, <세상의 나무들>, <갈증이며 샘물인> 그리고 <사랑할 시간이 많지 않다>까지 한 권 한권 그의 시집들을 사고 읽으며 정말 진짜 시인은 다르구나, 우리도 느끼지만 말로 표현할 수 없는 것을 묘사하는 감수성이 정말 남다르구나 하고 느꼈더랬다.

 

이 책 <두터운 삶을 향하여>는 한겨레에 관련 기사가 난 날 아침에 곧바로 신간 시집과 함께 신청하여 읽기 시작했다.

첫 페이지부터 읽은게 아니라 여기저기 관심 있는 부분부터 맛나게 야금야금 읽었는데, 읽는 맛이 일품이었다. 그 중 “두터운 삶을 향하여”와 도정일에 관한 글인 “이 사람을 보라”는 이 책의 핵심을 말하고 있는 부분이다.

 

“그리하여 우리의 정신과 삶을 두텁게 하는 것은 결국, 우리가 신화나 신화의 ‘문명화된’ 변종인 문학 그리고 다른 예술들에서 확인하는 능력인 상상력이라고 말할 수 있다.”(41~42쪽)

 

“그리고 잘 듣는다는 것은 영혼의 깊이와 넓이를 기약하는 대단히 중요한 능력이며 따라서 삶과 세계를 두텁게 하는 능력이다.”(45쪽)

 

흥미롭고 읽는 맛이 쏠쏠한 글이 제법 많다.

그 중 압권은 “애틋한 마음”(63쪽)과 “그 시절의 삽화”(80쪽)이다. 특히 “그 시절의 삽화”는 김지하와 관련된 에피소드를 전하며 1970년대 한국의 억압된 풍경을 담담히 그리고 있다.

 

그 외에 함석헌에 관한 글인 “하늘 땅의 바른 숨”(217쪽), 파블로 네루다에 관한 “자연·신명·에로스"(229쪽), 김현에 관한 “좀더 높은 수준의 절박”(245쪽), 김지하에 관한 “전사, 영매, 광대”(253쪽) 등이 읽을 만하다.

 

옥의 티 몇가지!

몇몇 오타가 눈에 띄는데 문지답지 못하다는 느낌이다.

25쪽의 시구 마지막의 “참을 청하였으니......”는 “잠을 청하였으니....”의 오기

31쪽의 하단의 괄호안의 한자 “吳當安之”는 “吾當安之”의 오기

103쪽 중간 부분의 1910년은 2010년의 오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