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내일의 경제 - 복잡계 과학이 다시 만드는 경제학의 미래
마크 뷰캐넌 지음, 이효석.정형채 옮김 / 사이언스북스 / 2014년 10월
평점 :
많은 과학자들이 거듭되는 연구와 사고 끝에 많은 법칙들을 만들어 내고 활용하고 있다. 물론 수많은 사색과 연구가 바탕이 되어 있어야한다는 전제가 있지만, 뉴턴의 사과나무라든지 케쿨레의 꿈과 같이 순간의 영감들이 많은 법칙을 만든 기폭제가 되었다는 일화들이 종종 뒷이야기로 전해지곤 한다. 이렇듯 전혀 과학스럽지 않은 일들이 과학에 이용될 수 있다면 자연과학도 다른 학문에 적용될 수 있지 않을까란 생각을 누구나 하지 않을까 한다. 그러한 시도를 한 결과가 바로 마크 뷰캐년의 『내일의 경제』이다.
자연과학 특히 물리학에 있는 몇몇 아이디어와 개념을 더 정확하게 사용하는 것은 우리가 경제와 금융을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저자는 “물리학은 상호 작용하는 많은 조각이나 부분들이나 요소들이 어떻게 전체 시스템에서 놀랍도록 집단적인 패턴이나 행동을 초래하는지 이해하기 좋은 위치에 있다. 그 조각이나 부분들, 요소들이 전자나 원자일 필요는 없다. 그것들은 거의 아무것이나 될 수 있다. (p.38)”는 전제아래 전자나 원자 대신 경제와 금융을 대입하여 설명하고 있다.
갑자기 나타나는 토네이도의 양의 되먹임(positive feedback)을 근거로 일시적인 혼란이 있더라도 스스로 수습한다고 하는 시장의 평형에 찬물을 끼얹으며, 최근의 서브프라임 사태를 비롯하여 그동안의 주가의 흐름 및 많은 경제학자들의 전망 및 분석들을 제시한 후 그것들을 다양한 물리학에 접목하여 보고 있다. 그중에서 주가의 대폭락 전후에 많은 전조들이 보이는 것 등의 시장상황을 지진과 비교해보는 부분은 인상 깊었다.
‘복잡계 과학이 다시 만드는 경제학의 미래’라는 부제에서 보듯이 복잡계 과학, 경제학 등 쉽지 않은 내용을 담고 있지만 최근 음악시장을 휩쓴 콜라보레이션과 같이 과학과 경제의 콜라보레이션으로 내일의 경제를 다른 시각을 생각해 볼 수 있는 좋은 기회인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