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음 한국사 : 15세기, 조선의 때 이른 절정 - 조선 1 민음 한국사 1
문중양 외 지음, 문사철 엮음 / 민음사 / 2014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고등학교의 국사선생님은 첫 시간에 국사란 어려운 것이 아니라 우리 아버지, 할아버지들의 이야기이다라고 수업을 시작하셨다. 오랜 시간이 지나 그 선생님의 모습이나 수업 등은 기억이 나지 않지만 그 이야기만은 또렷히 기억에 남아있다. 그만큼 그동안 마냥 외우기만 했던 국사에 대한 이미지를 바꿔주는 한 마디이기 때문인 것 같다. 학교를 졸업하고는 그닥 많이 들여다보지도 못하고 외교적 이슈만 될 때마다 이따금 대화의 화제에 오르내리는 국사이긴 하지만 독특한 국사책을 통해 다시금 흥미가 생기기 시작했다.

국사를 접하면서 가장 큰 문제는 아무래도 어려운 단어들일 것이다. 물론 국사를 좋아하는 이들은 이런 장애물들이 문제가 되지않지만 그것도 무척이나 유사한 단어들로 인해 마냥 외어야 하고 그러면서 흥미가 뚝뚝 떨어지는 것은 비단 나뿐만 아니라 국사를 접하는 모든 이들의 장애물일 것이다. 이런 장애물을 넘기 위한 가장 좋은 방법은 왜 이런 것들이 생기게 되었나를 살펴보면 된다. ‘15세기 조선의 때 이른 절정’이란 부제가 붙은 민음한국사 조선1편은 가장 먼저 15세기의 세계의 정세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다. 명나라 정화의 항해에서부터 쿠텐베르크의 활자까지 15세기에 일어난 일들은 먼저 이야기함으로써 여말선초의 한반도를 둘러싼 국제정세뿐만 아니라 한반도의 반대편에서 일어난 일까지 두로 다루고 있어 단편적으로만 알고 있었던 위화도 회군, 한글창제가 세계속의 사건들 사이에서 제자리를 찾아가는 느낌이었다.
한국사책을 보면서 가장 눈에 띄는 일은 아무래도 생생한 사료들의 사진이 아닐까한다. 필요하다면 사진 위의 설명도 함께 있어 이해하기가 한층 쉬운 것이 큰 특징이었다. 때문에 때 이른 절정이란 부제가 한층 더 생동감있게 다가왔다.

그중에서 가장 인상 깊은 점은 15세기 우리문화의 가장 빛나는 문화유산인 한글창제에 때문인지 15세기의 초점, 세계문자의 뿌리와 갈래라는 제목으로 책 가장 뒤편에 있는 긴 도표였다. 검은 색 종이여서 더 눈에 띄지만 수메르 문자부터 아시리아문자, 현대 한자까지 온갖 문자들이 등장한 시대로 정리가 되어 있어 많은 공부가 되었다.
사극 등 많은 드라마나 영화 등의 미디어 영상은 재미있게 보고 있지만 정작 국사에 대해서 깊이 알아보려는 노력은 부족했던 것이 반성을 하게 만드는 ‘민음한국사 15세기 ’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