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무엇을 위해 살아왔는가
버트런드 러셀 지음, 최혁순 옮김 / 문예출판사 / 2013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하나도 제대로 하기 힘든 수학과 철학의 두 마리 토끼를 잡은 인물이 있다. 천재적인 철학자로 알려진 비트겐슈타인의 스승인 버트런드 러셀이 바로 그이다. ‘내일의 죠’라는 만화의 명대사 ‘하얗게 불태웠어’라는 말로 압축되는 삶을 살다간 버트런드 러셀은 90회의 생일 기념 기사처럼 한 중 재도 남기지 않고 타오르는 불꽃처럼 살다 갔다. 그런 그의 삶의 정수를 뽑은 에세이가 바로 『나는 무엇을 위해 살아왔는가』이다.

 

 단순하긴 하지만 압도적으로 강렬한 세 가지 열망이 내 생애를 지배해왔다. 사랑에 대한 갈망과 지식의 탐구, 그리고 인류가 겪는 고통에 대한 참을 수 없는 연민이 바로 그것이다. 이런 열정이 마치 거센 바람처럼 제멋대로 나를 몰고 다니면서 번민의 깊은 바다를 이리저리 헤매게 했고 절망의 극한에까지 이르게 했다. (p. 11)

 

 제1부 자전적 성찰의 첫머리에 나오는 구절이다. 사랑에 대한 갈망, 지식의 탐구, 인류가 겪는 고통에 대한 참을 수 없는 연민까지 어쩌면 학자가 가져야 할 모든 마음가짐을 가지고 삶을 살았던 그는 확실한 진리로 받아들여질 수 있는 지식을 발견하고 싶은 열망으로 수학을 종교적 충동을 만족시켜줄 어떤 것을 찾고 싶은 열망으로 철학을 연구한다.

 

 수학적 성과와 철학적 견해보다 그가 살던 시대에 가장 큰 용기를 가져야 했던 일은 아마도 종교에 관한 부분일 것이다. 때문에 그의 종교관에 관한 에세이가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었다. 한마디로 정의하면 그는 불가지론자(不可知論子)였다. 때문에 종교적인 사람들이 받아들이는 의미의 ‘권위’를 받아들이지 않고, 그는 문제들을 스스로 숙고하여 해결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자신이 보기에 현명하다고 생각되는 사람들을 스스로 선택해서 타인들의 지혜로부터 유익함을 얻으려 노력하지만, 자신이 선택한 현명한 사람들이 말하는 것조차 의문의 여지가 있다고 간주했던 것이다.

 

 1차 세계대전과 2차 세계대전을 겪으며 살아온 그였기에 그의 글 곳곳에서는 타인에 대한 관심이 드러나고 있다. 그래서 한 강연에서 그는 ‘좋은 세상은 두려움 없는 세계관과 자유로운 지성을 필요로 합니다. 좋은 세상은 미래를 위한 희망을 필요로 하지만, 이미 죽어버린 과거를 향해 시간을 거슬러 돌아보는 것을 필요로 하지 않습니다. 우리의 지성이 만들어낼 수 있는 미래가 그런 과거를 저 멀리 뛰어넘으리라는 것을 우리는 믿습니다. (p. 102)’라며 전쟁으로 황폐해져진 현실에서도 희망을 꿈꾸고 있었다.

 

 수학자, 철학자, 불가지론자 등 버트런드 러셀이 살아오면서 맡은 역할은 다양했지만 어떤 일을 하던 한계를 모르게 행동하는 지성으로 기억되고 있다. 인류 역사적으로도 고통스러운 시절을 살다 간 그였지만 기회가 주어진다면 기꺼이 이런 삶을 다시 한 번 살 것이라는 그의 말은 여전히 큰 울림으로 다가온다. 인간의 삶에 대해 언급한 가장 인상적인 구절이다.

 

 개별적인 인간 존재는 강물과 같아야 한다. 처음에는 미약하다가 좁은 강둑을 따라 흐르게 되고, 때가되면 열정적으로 바위들을 지나 폭포 위로 돌진한다. 강폭이 점점 더 넓어지고 제방이 멀어지면 강물은 더욱 빠르게 흐르며, 마침내 눈에 띄는 휴식도 없이 바다와 합쳐지고 나면 아무런 고통 없이 자신의 개별적인 존재를 잃어 버린다. 나이가 들었을 때 자기 삶을 이런 식으로 볼 수 있는 사람은 죽음에 대한 두려움으로 고통 받지 않을 것이다. (p. 30)


댓글(2)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3-12-01 21:58   URL
비밀 댓글입니다.

Ganesa 2013-12-02 23:33   좋아요 0 | URL
^^ 그렇죠?? 책을 읽는 내내 만화의 그 장면이 생각이 났습니다. 어쨌든 러셀은 대단한 사람인것 같아요^^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