펀치 - 2013 제37회 오늘의 작가상 수상작
이재찬 지음 / 민음사 / 2013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얼마 전 노벨문학상이 발표되고 나서 국내엔 조금 생소한 작가인 앨리스 먼로의 작품이 뒤늦게 각광을 받고 있는 것을 보면, 책을 선택하는 기준에 상이란 것이 어느 정도 영향이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이재찬 작가의 『펀치』도 제37회 ‘오늘의 작가상’을 받은 작품으로 오늘의 작가상이라는 타이틀에 눈이 먼저 간 것도 사실이다.

 

 ‘가족·학교·종교의 변태적 시스템에 초특급 메가 펀치를 날려라!’는 자극적인 문구가 소설을 대변하는 것 같다. 하지만 의외로 주인공은 고등학교 3학년의 여학생, 방인영이다. 질풍노도의 10대들이 흔히 그렇듯 다소 냉소적이고 반항적인 캐릭터이다. 하지만 원래부터 그런 아이가 아닌 가족과 학교, 종교가 그렇게 만든 아이였다. 자신을 외모도 성적도 5등급이라고 소개하는 인영은 “나는 방 변호사의 경제적 후원과 엄마의 정신적 억압, 학교와 종교의 변태적 시스템에 속박돼 있다. (p. 13)”고 말하면서 아버지를 ‘방 변호사’라고 칭한다.

 

 머리는 좋으나 외모는 별로인 아버지의 외모와 머리는 별로지만 외모는 예쁜 엄마의 지능을 물려받은 열성유전자의 집합체인 인영은 학교에서도 집에서도 심지어는 교회에서도 아버지, 어머니 등이 만들어 놓은 기준에 다가서지 못해 힘들어 하다 결국은 우연히 고양이에게 해코지를 하는 한 공무원을 만나고 그에게 살인을 부탁한다. 자신이 기획한 ‘살인의 조감도’에 따라 자신의 부모님에 대한 살인을 말이다.

 

 학벌 지상주의, 외모 지상주의 등 우리 사회의 병폐를 일컫는 말이 많다. 게다가 사회는 1등만을 기억하고 나머지는 잊혀지는 일이 부지기수라 모두 1등이 되려고만 한다. 하지만 어떻게든 1등만 되고 보자는 결과주의적 사고가 편법과 불법을 자행하게 되고, 또한 그것을 암묵적으로 강요하게 되면서 인영과 같은 괴물 아닌 괴물을 만든 것이 아닌가라는 생각이 들었다. 그래서 그런지 “니가 살인자라 부모를 죽인 걸까? 아니면, 부모가 널 살인자로 만들 걸까?”라는 공무원의 물음이 자꾸만 기억에 남았다.

 

 『펀치』는 분명 가장 악질적이라는 존속살인을 다루고 있다. 그래서 보기엔 불편한 점도 있지만, 작가의 직설적이고 경쾌한 문체는 그 불편함을 다소 덜어주고 있다. 사회적으로 성공적으로 보이는 한 가정이 자녀로 인해 파괴되어가는 과정을 보면서 성공과 행복에 대해 다시금 생각을 할 수 있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