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기 절제 사회 - 유혹 과잉 시대 어떻게 욕망에 대항할 것인가
대니얼 액스트 지음, 구계원 옮김 / 민음사 / 2013년 8월
평점 :
절판


 

논어 안연편에 극기복례(克己復禮)란 말이 있다. 공자의 제자 안연이 인에 대해 물었을 때 공자가 “나를 이기고 예에 돌아가는 것이 인이다. 하루만 나를 이겨 예로 돌아가면 천하가 인으로 돌아온다.”고 대답했다고 하는데서 나온 말이다. 자신을 이기는 것, 바로 절제를 나타내는 말이다. 2천년 전 현인들도 자신을 이기는 것이 어렵고 중요하다고 여겼던 모양이다.

 

 유명 저널리스트인 저자는 개인적인 문제에서 사회문제로까지 확대되고 있는 담배, 비만, 자살, 도박 등에서 자제력의 모습을 찾아내고 고대 그리스에서부터 현대 심리학 실험까지 자제력에 대한 사례를 제시하고 있다. 가장 먼저 저자는 기술의 발전을 자제력을 시험하는 유혹으로 꼽았다.

 

 기술 혁신으로 인해 식품의 가격이 가파르게 하락함으로써 사람들이 예전보다 훨씬 더 잘 먹게 됨에 따라 비만의 문제가 야기되고, 신용카드와 인터넷의 발달은 더 이상 쇼핑을 미루지 않게 만들었다는 것이다. 즉, 기술의 발달로 인해 삶의 속도가 빨라지자 시간이 많이 소요되지만 큰 보람을 얻을 수 있는 일에는 노력을 덜 하게 되는 경향이 팽배해졌다고 진단한다. 게다가 죄책감을 느끼며 누리는 대표적인 즐거움 즉, 미루기에 대해서도 전형적인 자기 절제의 실패라고 말한다.

 

 그렇다면 미루지 않고 자신의 욕망을 절제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가? 욕망을 극복하기 위해서 다양한 방법이 있겠지만, 저자는 “100퍼센트 자발적인 행동은 아니라 할지라도 스스로의 행동에 책임지도록 한다면 우리는 충동에 무릎 꿇기보다 의식적으로 올바른 행동을 추구할 가능성이 더 크다. (p. 25)”고 하면서 이렇게 하기 위해서는 자신의 운명을 스스로 통제할 수 있다는 신뢰, 그런 미래를 그려 볼 수 있는 상상력, 선호하는 행동을 추구하기 위한 방법을 강구할 수 있는 현명함이 필요하다고 한다. 신뢰, 상상력, 현명함은 자제력에만 필요한 것이 아니라 삶 전반에 필요한 덕목일 것 같지만 말이다.

 

 자기 절제의 화신인 고대 그리스의 아리스토텔레스부터 트로이의 영웅 오디세우스, 자기 절제에 큰 획을 그은 프로이트 등 자기 절제에 관한 이야기가 적지 않지만 특히 인상 깊은 대목은 마지막 절의 ‘의지 근육 만들기’ 부분이었다. 현인들의 일화도 흥미로웠지만 사실 정작 필요한 것은 지금 내가 써볼 수 있는 그러한 지침서였기 때문이다. 그 일부분을 옮겨보면 이렇다.

 

“의지력은 근육과도 같다. 장기적으로는 단단하게 키울 수 있지만, 단기적으로는 금방 지쳐 버리고 만다. 수차례의 연구를 통해 밝혀진 바에 따르면 자제력에 부담이 가해질 때 우리는 유혹에 저항하기가 더 어려워진다. … 몽테뉴가 영혼에 대해 말했듯이, 자제력을 발휘할 때에는 ‘휴식과 조절이 필요하다. 지나치게 오래 긴장 상태를 유지하면 이상해지고 만다.’(p. 356)”

 

 저녁 후식으로 달콤한 케이크 한 조각, 세상 근심을 뿜어낼 수 있는 담배 한 모금, 기분 좋게 마시는 술 한 잔, 적당히 눈치를 보며 잽싸게 하는 한 번의 클릭 등 대부분의 선택은 긴 인생을 살아가는 동안에 크게 영향을 끼치지 않을 수 도 있다. 하지만 이러한 선택은 계속 쌓이기 마련이며 결과적으로 인지하는 순간에는 일이 커져 있을지도 모른다. 책에서 경고한대로 우리 주위에는 훨씬 강하게 유혹하는 쾌락이 등장했고, 단기적인 즐거움에 대한 문화적, 현실적 장벽이 전보다 훨씬 낮아졌기 때문이다.

 

 마시멜로 실험을 비롯한 다양한 심리학 실험부터 고대 그리스의 철학자들, 자신의 경험담까지 많은 사례로 인해서 자기 절제에 관해서 두텁게 이야기 하고 있지만, 개인적으로 극기, 참선 등 동양의 자제력에 대한 사례도 덧붙였으면 좋았을 것 같다는 생각에 고대 그리스에 대해서만 너무 편중되어 있음이 조금 아쉬웠다.

 

 자기 절제, 분명 쉽지 않은 일임에는 틀림없어 보인다. 지금 당장 그렇게 한다고 해도 바로 효과를 볼 수 있을 것 같지도 않고 말이다. 하지만, 장기적인 즐거움을 오랫동안 누리기 위해서는 자제력이 꼭 필요하므로 로마 황제인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의 말을 인용해본다.

 

 "무언가 외부적인 요소로 고통받는다면, 이때 고통은 그 요인 자체 때문이 아니라 그에 대한 당신의 추정 때문이다. 그리고 당신은 그것을 당장이라도 바꿀 수 있는 힘을 지녔다. (p. 16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