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리고 너는 속고 있다
시가 아키라 지음, 양윤옥 옮김 / (주)태일소담출판사 / 2024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속는 사람과 속이는 사람이라는 독특하게 구분 된 목차를 가진 그리고 너는 속고 있다는 문제가 많은 남편을 피해 아이와 함께 고향 이바라키에서 도쿄로 온 싱글맘 누마지리 다카요에게 월세의 독촉장이 날아온다. 건강의 악화되어 일을 쉬고 있기에 등록 대부업체에서도 그녀에게 대출을 해주지 않는 상황에서 어쩔 수 없이 사채를 쓰면서 일어나는 이야기를 그리고 있다.

 

그녀에게 돈을 빌려준 사채는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사채와는 조금 다른 소프트 사채라는 이름을 가지고 있다. 시중 은행보다 고리로 돈을 빌려준다는 점에서는 사채와는 같지만 SNS로 홍보를 하는 등 통상적인 사채와는 조금 달랐다. 그녀에게 돈을 빌려주는 미나미라는 인물은 그녀의 상황에 대해 친절하게 상담을 해주면서 필요한 돈을 아낌없이 융통을 해주는 미스터리한 인물이다. 다카요에게 돈을 융통해준 미나미가 후에 다카요를 스텝으로 받아들여 소프트 사채업에 대해 이렇게 말한다.


옛날 사채업자는 지독하게 추심을 했지만, 요즘 소프트 사채업은 돈 때문에 어쩔 줄 모르는 사람들을 친구처럼 가족처럼 대해 주는 게 요령이야. 돈을 갚겠다는 의지만 보이면 웬만한 연체는 눈감아 주고 개인사도 잘 들어 주면서 고객과 말랑말랑한 관계를 만들어 가는 거지. (194쪽)

 

돈이 필요한 사람에게 돈을 빌려주고 이자와 함께 돈을 회수하는 사채업의 이야기가 속는 사람에서는 돈을 비리는 다카요가 속이는 사람에서는 미나미에게 돈을 빌려 자신의 사채업을 하는 다카요의 모습으로 이어진다. 그리고 돈을 빌리고 빌려주는 이야기에 속고 속이는 것이 어떤 관계가 있을까란 생각을 하면서 보다보면 이야기의 끝에 작가가 숨겨놓은 트릭으로 인해 제목이 왜 그리고 너는 속고 있다가 되는지 알 수 있었다.

 

어쩌면 소설의 시작부터 작가의 트릭은 시작된 것일 수도 있다. 검은 바탕에 흰 글자로 일종의 안내 문구처럼 반기는 글이다.

 

이 장을 넘기면 주인공인 누마지리의 현재 상황과 함께 이야기가 시작되기에 이런 상황을 묘사하는 문장으로 생각이 되었으나 소설을 다 읽고 다시 보니 그것만을 품고 있는 문장이 아닌 것 같았다.

 

현재 일본에서 일어나고 있는 ‘SNS 불법 사채업을 현실감 있게 재구성 한 소설이고 주인공이 아이를 키우고 있는 젊은 싱글맘이기에 사채 뿐 아니라 성매매 등 불편한 현실이 등장하고 있긴 하지만 주된 이야기가 사채에 집중되어 있어 돈에 대한 경각심을 일깨우는 데 충분해 보였다.

 

돈에 대한 어두운 면인 사채보다 작가의 숨겨놓은 반전이 오래동안 기억에 남을 듯한 그리고 너는 속고 있다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