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가진 것을 세상이 원하게 하라 (2024년 성장 에디션) - 최인아 대표가 축적한 일과 삶의 인사이트
최인아 지음 / 해냄 / 2023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흔히 인생을 마라톤에 비유를 하곤 한다. 49.195Km라는 긴 거리를 뛰어야 하는 만큼 힘이 드는 것은 당연한 일이지만 그에 상응하는 다양한 변수가 존재한다. 물론 뛰는 중에는 힘이 되는 급수대와 많은 사람들의 응원도 존재한다. 단지 먼 거리를 달리는 단순한 운동으로만 알고 있었지만 생각보다 많은 전략과 전술이 필요한 스포츠가 마라톤이다. 우리의 삶도 매일 비슷한 것 같지만 그 속에 온갖 희로애락이 있음은 누구나 알고 있다. 그 중 마라톤 경기에서 달리기와 같은 것이 우리 삶에서는 일인 것 같다.

 

내가 가진 것을 세상이 원하게 하라라는 다소 도발적인 제목의 책을 쓴 최인아 대표는 이런 일에 대해서 다음과 같은 생각을 밝히고 있다.

 

일이란 무엇일까요? 정의를 내리는 일은 어렵습니다. 이럴 때 좋은 방법은 반대말을 생각해 보는 겁니다. …… 자신이 원해서 일하는 사람들에게 일의 반대말은 여가나 놀이가 아닌 나태예요. (39쪽)

 

일과 나태...


어쩌면 어울리지 않는 조합일 것 같다. 특히나 일과 삶의 밸런스를 중시하는 워라밸이 존중받는 최근에는 더 그렇지 않을까란 생각도 들었다. 그리곤 일에 대한 의미를 찾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한다. 일의 의미는 찾은 이는 덜 흔들릴 수 있다고 하면서...

 

긴 시간 일하다 보면 때때로 흔들리는데, 내가 찾은 내일의 의미는 그럴 때 뿌리까지 흔들리진 않도록 우리를 잡아줍니다. 의미를 찾는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행복할 확률은 낮지만 파도가 덮쳐올 때 덜 흔들릴 수 있어요. (51쪽)

 

그럼에도 일은 도통 좋아하기가 쉽지 않다. 오죽하면 취미가 일이 되면 그 취미생활의 즐거움이 반감된다는 이야기도 있으니 말이다. 그 마음도 저자는 알고 있는 것 같다. 일이 이루어지게 하는 것은 낭만적이지 않다고 말한다.


좋아하는 마음은 무언가를 시작하게 하지만, 그 일이 끝내 이루어지게 하는 것은 결코 낭만적이지 않습니다. 좋아하는 마음 이면의 지속하는 마음도 돌아봐야 할 것 같습니다. 어른이라면 말입니다. (241쪽)

 

난 주어지는 권리보다 더 큰 책임을 다하는 이를 어른이라고 생각한다. 그렇기에 어른과 성인이라는 용어를 구분해서 쓰는 편이다. 주위에 법적으로 미성년을 벗어난 성인은 많지만 어른이 적은 이유이기도 하다. 이에 어른은 좋아하는 마음 외에 지속하는 마음까지 돌아봐야 하는 것이다. 어른이 되기 참 쉽지 않다.^^

 

그럼에도 하루하루 주어진 일을 하다보면 소진되는 느낌을 지울 수가 없다. 매슬로가 말하는 자아실현이라는 인간의 최상단의 욕구는 어느덧 멀리 보이는 것도 사실이다. 그럼에도 저자는 그것을 해라라고 말한다. 당연한 말 같지만 역시 막상 하려면 어려운 일이다. 지금도 유명하고 아마 앞으로도 가장 유명할 것 같은 캐치프레이즈인 나이키 사의 ‘Just do it’과 일맥상통한 것 같다.

 

저는 해야 할 바, 바로 그것을 하라에 초점을 맞추고 싶습니다. 해야 할 일은 많은 경우 지름길과 거리가 멉니다. 아득할 때도, 끝이 보이지 않을 때도 있을 거예요. 그래도 하는 수밖에요. (261쪽)

 

특히 인상적으로 다가온 부분은 방부제에 관한 견해이다.

 

사람에게도 꼭 필요한 것이 방부제라고 생각합니다. 조그만 성공에 취해 쉬이 허물어지거나 망가지지 않도록 자신을 엄정히 돌아보고 심가는 것. 스스로를 과대평가하지 않는 것. 해야 할 일을 하고 있는지 점검하는 것. 이런 자세야말로 자신을 온전하게 지키는 방부제입니다. 소금 같은 방부제가 음식을 상하지 않게 하듯 자기 자신에게 방부제를 잘 작동시키면 자신을 담금질해 단단한 사람이 될 수 있습니다. (252쪽)

 

자신을 돌아보고 삼가기, 해야 할 일을 점검하기 등 어쩌면 앞으로 발전하기 위한 요소일 것 같은데 이를 과욕이나 권태 등에 자기 자신이 상하지 않도록 하는 방부제라고 칭하고 있는 것이다. 자연스럽게 썩는 것을 막는 다소 부정적인 인식이 강했으나 이렇게 생각하다 보니 방부제에 대하여 다시금 생각하게 되었다.

 

우리는 생계를 위해 혹은 꿈을 이루기 위해 등 다양한 이유로 하루의 많은 시간을 일을 하면서 보낸다. 이렇게 이왕 해야만 하는 일에 대해 정의를 내리고 의미를 찾으며 일의 본질에 한 걸음 다가가게 된다면 책의 제목처럼 내가 가진 것을 세상이 원하게 되지 않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