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생은 순간이다 - 삶이라는 타석에서 평생 지켜온 철학
김성근 지음 / 다산북스 / 2023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많은 스포츠 가운데 나는 야구를 가장 좋아한다. 아버지께서 좋아하시는 스포츠여서 자연스럽게 어려서부터 보고 자란 영향이 큰 것 같다. 그럼에도 예전 야구를 왜 좋아하냐는 질문을 받은 적이 있어 왜 좋아할까를 생각해 본 적이 있다. 그때 내린 결론은 이것이다. 스포츠는 상대방과 승부를 내는 것이 목적이기에 기록이 빠르든 점수를 많이 획득하든 상대방보다 우위를 점해야지 경기가 끝이 나는 것이 대부분이다. 그중 구기 종목은 대부분 득점을 통해 승패를 결정하는데 홈()으로 들어와야 득점이 인정되는 방식을 가진 야구가 좋다는 것이 그 이유이다. 그런 야구라는 세계에서 지독하게 살아남은 야구인이라면 많은 이들이 김성근 감독을 꼽는다. 김성근 감독의 인터뷰를 모은 인생은 순간이다에는 그러한 김 감독의 야구 인생이 고스란히 드러나 있었다.

 

인생은 순간이다는 크게 두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우리가 잘 알지 못하는 김성근이라는 야구선수의 인생과 우리가 잘 알고 있는 야구감독으로서의 김성근이 그것이다. 그것을 우리의 삶에 대입해보면 야구선수일 때의 이야기는 어떻게 하루를 살아가야 하는지, 야구 감독으로서의 이야기는 리더는 어떻게 해야 하는지에 대한 이야기가 될 것 같다.

 

먼저 김성근 감독의 야구 선수로서의 이야기이다. 잘 알려진 대로 김감독은 재일교포 출신이다. 꿈을 펼칠 나이에 혈혈 단신으로 홀로 국내로 들어온 그는 지금보다 더 심한 차별을 받았다. 일본에서도 한국에서도 이방인취급을 받았던 것이 사실이다. 김성근 감독의 사례까지 올라가지 않더라도 최근 격투기의 추성훈 선수가 일본으로 귀화하는 과정에서의 인터뷰를 본다면 그것이 어떤 것인지 조금이나마 짐작은 할 수 있다.

 

김감독은 혼자 건너온 고국에서 열정 하나로 살다 뜻하지 않게 부상을 당해서 선수생활이 일찍 끝이 난다. 그럼에도 야구가 얼마나 좋았던 것인지 끊임없이 야구 하나만을 보면서 살아간다. 그런 그는 이런 마음가짐으로 살아왔다고 한다.

 

인생을 살아보니, 기회란 흐름 속에 앉아 있다 보면 언젠가 오는 것이었다. 내 인생에는 그런 기회가 어마어마하게 많았다. 아니, 기회라기보다는 마치 순리처럼 내게 찾아온 일들이었다. 그러니 매일의 순간순간을 허투루 보내서는 아 되었고 그럴 수도 없었다. 내일이 있다는 것을 핑곗거리로 삼지 않았다. 내일이 있으니 오늘은 어떻게 되든 괜찮다는 마음가짐으로 사는 게 아니라, 오늘 해야 할 일을 하다보면 어느새 내일이 와 있는 삶을 살고자 했다.

 

리더는 모두가 포기할 때 마지막까지 희망을 가진 사람이다.’, ‘사람을 버리는 것이 아니라 그 역할을 찾아주는 것이 리더이다.’, ‘홈런을 치고 안타를 만들 수 있다면 파울을 몇 번을 쳐도 괜찮다.’ 등 많은 문장을 수집하게 만든 책이지만 내일이 있다는 것을 핑곗거리로 삼지 않았다.’와 소제목이기도 한 오늘 해야 할 일을 묵묵히 하면 어느새 내일은 온다.’는 다른 어떤 문장보다 오랫동안 기억에 남았다.

 

게다가 야구뿐 아니라 흐름 속에 앉아 있다 보면 기회가 찾아온다는 것은 어느 한 분야에서 통달을 한 고수가 전하는 진한 가르침과 같은 말과 같다. 다른 유명 선수와 같이 긴 선수생활을 하는 동안 엄청난 기록을 남긴 것도 아니라 부상으로 일찍 은퇴를 하고 8개의 프로구단 감독을 맡았지만 그 만큼 숱하게 경질을 당했지만 그럼에도 야구를 놓지 못하는 야구 고수(흔히들 야신이라고들 하지만)의 말이기에 더 와 닿았던 것 같다.

 

앞서 이야기를 했듯 김성근 감독은 선수생활보다 지도자 생활을 더 오래했다. 그렇기에 한 집단을 이끄는 리더의 덕목에 대해서 적지 않은 이야기가 등장한다. 그중에서도 SK와이번스 감독 시절 3번의 우승으로 소위 왕조을 만들었던 것보다 구단의 미비한 지원속에서도 결과를 만들어낸 에피소드가 인상적이었다.

 

주머니에 10원짜리밖에 없어도 그 10원짜리로 이길 방법을 찾는 게 60여 년간 내가 야구를 해온 방식이다. 남과 비교하며 다른 팀보다 선수층이 얇아서 졌다거나 누구만큼 지원받지 못해서 졌다거나 하는 말은 책임 전가밖에 되지 않는다. 핑계 속으로 도망치는 일이다.

 

예전 어느 설문조사에서 지도자의 덕목에 관한 질문이 있었다. 한창 영화 명량이 흥행하던 때라 영화 속 이순신 장군을 보고 지도자의 덕목은 어떠한 위기 속에서도 차분하게 주위를 이끄는 이순신 장군과 김성근 감독이 가지고 있는 평정심이라고 답했던 기억이 있다. 실제로 김성근 감독의 모든 경기를 보지는 못했지만 감독이 웃는 것은 우승이 확정되는 그 순간이었던 것으로 기억이 난다.

 

소위 한 우물을 파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다. 어쩌면 오랫동안 우물을 파도 물이 나오지 않을 수도 있으니까... 그렇기에 한 평생 한 우물을 파오면서 성공한 이의 이야기는 앞으로 살아가는데 적지 않게 기운을 주기도 한다. 하루하루가 버겁거나 지쳐 갈 때 쯤 한 번씩 꺼내 보면 좋을 것 같은 책인 것 같다. 야구를 좋아한다면 더욱 좋고.

 

이제는 한계라는 생각이 든다면 스스로에게 다시 물어보라. 몸에 저절로 새겨질 때까지 정신없이 열중해 본 적 있느냐고, 그만큼 절실했느냐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