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얼굴 습관의 힘 - 턱 운동과 코 호흡만으로도 얼굴 구조가 달라지는
산드라 칸.폴 R. 에이를리히 지음, 엄성수 옮김, 임선진 감수 / 생능북스 / 2024년 8월
평점 :
평소 생활 습관의 힘을 보여주는 책이다. 입을 다물고 있을 때 윗니와 아랫니를 살짝 겹치게 놓고, 혀를 입천장을 살짝 밀듯이 놓고 있는 것이 맞다고 한다. 뮤잉운동으로 유명한 존 뮤의 방법인데, 그에 대한 이론적 내용들을 담은 책이다. 나도 평소에 구강호흡을 많이 하는 편인데, 무의식 중에 자꾸 구강호흡을 하고 있어서 이제부터는 신경 써서 노력해 보려고 한다. 그리고 딱딱한 음식을 자주 씹는 것도 중요하다고 하는데, 씹는 것의 중요함은 처음 알았다. 석기시대 사람들은 의외로 부정교합이 없다고 하는데, 지금의 음식이 너무나 부드럽고, 실내가 건조하고 알레르겐이 많기 때문에 구강 호흡에 일조한다고 한다. 평소에 코를 사용해서 호흡하면 기도가 더 넓어지고 숨 쉬기가 더 편하다고 한다. 수면 중 무호흡증 또한 입을 벌리고 자기 때문에 일어나는 현상이라고 한다. 얼굴의 형태의 변화가 드라마틱하게 변화하는데 나도 입을 다물고 코로 숨 쉬는 버릇을 들여야 되겠다. 손바닥만한 얼굴이 이렇게나 중요하고, 또 생활습관만으로도 이렇게까지 변할 수 있구나 생각했다. 아이도 가끔 보면 입을 벌리고 있을 때가 많아서 입을 다물도록 노력해 주어야 되겠다. 그리고 딱딱한 음식도 자주 제공해서 먹기 힘들더라도 자주 씹는 연습을 해야 할 것 같다. 씹는 식감을 싫어하지는 않던데 질긴 고기는 특히 못 먹고, 나물 반찬은 싫어해서 어떻게 딱딱한 음식을 제공할 수 있을지 좀더 찾아봐야겠다. 채소류를 살짝만 데쳐서 주기도 해보면 좋을 것 같다. 옛날에는 사탕수수나무를 씹었었는데 요즘은 그런 환경이 아니다 보니 아무래도 부드러운 음식을 더 많이 먹게 되는 듯하다. 일반인의 경우에도 구강 호흡을 많이 하는데 입을 벌리고 있는 사람들은 확실히 얼굴 형태나 코와 입의 위치, 다크서클 등등 차이점이 두드러진다고 한다. 책을 읽고 얼굴 습관의 중요성을 깨달았고 아이에게도 입을 꼭 다물고 호흡하도록 주의시켜 주어야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