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과생 아내에게 들려주는 미술사 이야기 - 미술관 안에서 펼쳐지는 수학, 과학, 철학 그리고 종교 이야기
김대능 지음 / J&jj(디지털북스) / 2024년 9월
평점 :
각 시대를 풍미한 미술의 사조가 있습니다. 지금은 추상주의등이 대세이긴
하지만 미술은 고전주의, 바로크화풍, 낭만주의, 인상주의등 다양한 화풍으로 이어져 왔고 신 중심에서 인간중심으로 그 대상이 서서히 옮겨졌다고 할수 있죠. 미술이라는 것은 그야말로 인류가 탄생한 순간부터 존재했을 것이고 인류가 지구상에 존재하는 한 미술은 계속될
것은 분명해 보입니다.
서양미술사의 출발부터 현재까지를 재미있게 들려주는 이 책은 중간 곳곳에 저자가 자신의 아내와 주고받는 대화를
통해 실제 우리가 미술에서 궁금해하거나 잘 이해가되지않는 문제들에 대해 친절하게 설명을 해주고 있고 서양미술사 전반을 아우르고 있어 서양미술이
고대부터 현재까지 어떻게 변화 발전해 왔는지를 제대로 이해할수 있습니다.
사실 어떤 작품을 볼 때 우리는 어색하게 보이는 작품들이 왜 그다지 평단의 찬사를 받는지 이해하지 못하고는 하는데
그렇다면 그 당시의 화가가 살았던 시대나 문화 그리고 그 화가의 삶을 살펴보면 더 그 작품을 진지하게 이해할 수 있겠죠. 또한 과거에는 전혀 주목을 받지 못한 작품들이 작가의 사후 또는 새로운 사조가 유행했을 때 비로소 빛을 발하는
경우도 있는 것을 보면 미술작품에 대한 평가는 지극히 주관적일수도 있고 시대적일수도 있겠다는 생각을 해 보았습니다.
미술작품은 나만의 방식으로 즐기면 충분하지않을까요? 남들이 그 작품을
보는 관점이 다르더라도 다름을 인정하고 또 타인이 그 작품을 바라보는 견해를 서로 주고받다보면 더욱 그림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힐수 있을겁니다. 기존의 서양미술사를 소개한 책과 조금은 다른 신선한 각도에서 바라본 이야기라서 누구나 흥미롭게 읽을수 있을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