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히스토리×메디슨 - 살리려는 자와 죽이려는 자를 둘러싼 숨막히는 약의 역사
송은호 지음 / 카시오페아 / 2022년 6월
평점 :
이 책은 약(독약이나 약초등도 포함해서)과 역사적 인물의 관계를 12가지 약 이야기로 흥미롭게 펼쳐내는 책이네요. 약성분의 경우 의학적 용어라서 상당히 딱딱하다는 생각을 하게 되는데 이 책은 역사적 인물들이 어떤 식으로 약을 이용해서 치료를 받거나 또는 독약에 노출되어 죽음을 당했는지를 알수 있습니다. 아울러 인류는 약초를 발견해서 해독에 쓰기도 했지만 독화살등을 만들어 동물사냥을 하기도 했고 또 필요에 따라서는 정적이나 라이벌을 제거하는데 쓰기도 했다는 것을 알수가 있죠.
소크라테스, 네로, 아돌프 히틀러, 반 고흐, 조지오웰등이 이 책에도 등장하는데요. 아울러 우리나라 제약기업인 동화약품과 유한양행의 설립과 설립정신을 언급하는 대목에서는 더욱 흥미를 느낄수 밖에 없었답니다. 부채표 까스활명수는 저도 지금도 애용하는 의약품인데 이 활명수가 어떻게 처음 개발되었는지를 알수 있었고, 유한양행의 경우 처음에는 한국에 필요한 약을 수입하는데서 출발하여 결국 약품 개발까지 갔다는 것도 이 책을 통해 공부하게 되었네요.
한편으로 제너의 종두법부분에 대해서는 백신의 특허권 문제가 다루어지는데요. 이번 코로나 백신 문제로 선진국의 이기적인 백신 확보와 제약사들의 추악하 이익추구만을 통해 수많은 빈국에서는 제대로 백신을 확보할수 없어 많은 희생이 있었는데 진정 인류를 사랑하는 제너등은 어떤 대가나 보상도 없이 그 특허를 공개했으니 정말 대단하다고 생각하게 되더라구요.
약초나 약이라는 것은 때로는 우연한 기회에 발견이 되거나 효과를 알게되는 경우도 많더라구요. 우리가 잘 알고 있는 페니실린이라는 항생제도 그렇구요. 연금술을 연구하던 연금술사가 때로는 금을 제조하거나 불로장생의 약을 만들려는 시도에서 뜻하지않게 효과가 있는 약을 발견하기도 하구요.
역사속의 인물들이 대단하기도하지만 영웅을 살리기도 하고 또 은밀하게 정적을 죽이기도 하는데 무력이나 전쟁보다 때론 약이 엄청난 역할을 했다는 것을 이번 기회에 알게되면서 우리가 늘상 쉽게 찾는 약이라는 것이 엄청난 사연덩어리라는 것을 알게되니 앞으로 약을 보게되면 이 약에는 또 어떤 사연이나 개발 에피소드가 있을까를 생각해 보게 될 것 같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