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벌, 우리의 친절한 이웃 - 우리가 몰랐던 벌에 대한 이야기
앨리슨 벤저민.브라이언 맥캘럼 지음, 김한슬기 옮김 / 돌배나무 / 2022년 5월
평점 :
뉴스에 수많은 벌이 갑자기 사라지거나 폐사했다는 기사가 나온적이 있습니다. 이는 기후위기등의 문제로 급격한 생태계의 환경 변화로 꿀벌등이 적응할수가 없어서일수도 있으며 만약 벌이 지구에서 사라진다면 이는 인류의 멸망을 가져올수도 있기에 우리는 이런 기사를 심각한 경고로 받아들여야하지않을까요?
이 책은 양봉을 하면서 벌의 매력에 빠진 저자가 쓴 책으로, 이 책을 통해 그동안 몰랐던 벌의 생태에 대해 많은 것을 알게되었습니다. 모든 벌이 침이 있다고 생각했는데 무침벌도 상당히 많고 특히 수컷벌의 경우 대부분 침이 없다고합니다. 아울러 여왕벌과 일벌, 수컷벌의 분명한 역할 분담은 마냥 신기하기만 했고 수컷벌은 오로지 번식을 위해 존재할뿐 번식이 끝나면 그 생명도 다하고 마는 것이며 여왕별의 경우 마치 여왕처럼 떠받들어지는 것으로 보이나 오로지 번식을 위해 갇힌 생활을 해야하는 어찌보면 불쌍한 벌이기도 하더라구요.
아울러 벌이 대부분 군집생활을 하는 것으로 잘못 알고 있었더라구요. 혼자나 또는 소규모로 무리를 지어 사는 벌이 훨씬 비율이 많고 어떤 벌은 벌집을 짓지않고 남의 벌집에 들어와사는 마치 뻐꾸기같은 뻐꾸기벌도 존재하는 것도 마냥 신기하기만 했습니다.
벌이 인간에게 가져다 주는 것은 엄청나더라구요. 우리가 다 알고 있는 꿀 이외에도 밀랍의 경우 예전에 이집트에서 왕의 미이라화를 위해 사용되었고 전기가 있기 전에 우리는 밀랍양초에 의지하여 불을 밝혔고 벌은 식물의 수분활동에 도움을 주어 결국 우리가 먹는 채소나 과일, 커피 등 수많은 열매들을 맺게 하고 벌로 인해 나무는 번성을 하고 초식동물은 삶을 유지하고 육식동물은 존재하게 되는 먹이사슬에도 반드시 필요한 존재이죠.
그러나 오늘발 벌은 위기에 처해있는데 인간이 탐욕이 부른 결과라고 생각합니다. 벌은 서식지를 잃게되고 주요 먹이를 구하는 식물의 서식지가 갑자기 이동함에 따라 서식지를 찾지 못하기도하고 인간이 뿌린 제초제나 살충제로 벌이 죽기도하며 인간이나 인간이 만든 물건의 이동에 따라 함께 이동하는 진드기등으로 수많은 벌이 죽기도 한다고합니다. 농촌의 경우 농지의 부분별한 개간과 살충제의 사용으로 야생벌이 사라지고 있으며 반대로 오히려 지금은 도시에 벌이 더 모여든다고하니 참 아이러니하더라구요.
벌이 없이 인간이 결코 살아갈수 없음을 우리는 깨달아야하며 인간과 벌의 공존을 위해 우리는 지금이라도 할수 있는 것들을 해야할 것 같아요. 기본적으로는 많으 나무를 심고, 도시의 옥상에도 화초를 키우고, 벌이 살수있는 보금자리를 만들수도 있습니다.
벌은 인간에게 수만가지의 이득을 주고 있는데 정작 인간은 인간의 이기심으로 인해 이런 벌들의 멸종하거나 개체수가 줄어들게 하고 있다는 것은 정말 크나큰 실수임이 분명하고 우리에게 소중한 벌, 나비등 곤충의 보호를 위해 우리는 작은 일부터 실천을 해야할 것 같습니다. 벌이 사라진다는 것은 결국 인간마저 지구에서 사라진다는 것을 의미하니까요.
우리의 친절한 이웃인 벌이 사라지긴전에 우리 모두가 이 이웃을 도와 그들이 우리와 함께 공존할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야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