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그날의 한 끼 - 오늘 당신의 한 끼에는 어떤 의미가 있었나요?
김원규 지음 / 부크크(bookk) / 2022년 10월
평점 :
최근 많이 들었던 글 중 하나가 먹는 것이 그 사람이다라는 것인데요. 그만큼 우리가 먹는 것이 바로 그 사람의 모습이나 성격 등 다양한 것을 보여준다는 것이겠죠? 우리는 그냥 끼니를 때우기 위해 한끼를 먹기도 하지만 좋은 친구들이나 가족과 함께 끼니를 함께 하면서 즐거움을 그리고 더 행복함을 느끼기도 하는 것 같습니다.
이 책은 저자가 먹었던 다양한 음식 이야기로 일상에서 생각할수 있는 여러가지 단상을 끄집어 낸 에세이라고 할수 있는데요. 자신이 먹었던 음식에 대한 솔직한 평가는 우리가 흔히 할고 있는 맛집 순례나 요리 레시피 추천과는 아주 다른 책이라고 할수 있어요. 그래서 더욱 내가 경험했던 음식에 대한 추억등을 저자 역시 겪었다고 느낄수 있어 더욱 공감할수 있는 책이었어요.
저자가 먹었던 보통의 음식은 추어탕, 편의점 도시락, 밀면, 제육덮밥, 순대등 다양하게 소개되고 있습니다. 저자에겐 추어탕이 어렸을적에 가진 편견으로 쉽게 접근하기 힘들었던 음식이었는데 어느날 우연치않게 추어탕을 먹어야하는 순간이 다가왔는데 그 맛을 알고 자신이 가졌던 음식에 대한 편견을 깨게 되었다고 하는데 저 역시 냉면에 대해 그런 편견이 있었답니다.
아울러 밀면의 유래는 밀가루 냉면이 밀면이 된 것이더라구요. 한국전쟁때 북에서 내려오신 분이 메밀냉면을 만들어 팔려고 했지만 메밀값이 비싸 대신 밀가루와 옥수수 전분을 이용해서 맛을 낸 것이 밀면이라고 하니 음식이라는 것이 상황에 따라 그리고 장소에 따라 또는 환경에 따라 변화한다는 것을 알수가 있죠.
또한 우리는 음식의 궁합에 대해서도 많이 평소에 생각을 할 겁니다. 예를 들어 설렁탕과 깍두기의 조화를 보더라도 아무리 맛있는 설렁탕이 있더라도 거기에 어울리는 깍두기가 있어야 더욱 설렁탕의 깊은 맛을 느끼게 되는 것이고 이렇게 음식의 조화는 인간이 오랜 시간을 보내면서 자연스럽게 찾아낸 것이 아닐까싶습니다.
하루에 세끼를 대부분 먹게 되는데 우리는 단순히 배고픔을 해결하기 위해 급하게 음식을 먹는 경우가 더 많아진 것 같아요. 엄마가 차려준 집밥이 그리울때가 많듯이 한끼에도 우리가 사연을 담으면 그 음식은 단순한 한끼가 아닌 추억의 음식이기도 하고 정의 음식이 되기도 하겠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