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쿠시마 - 일본 원자력 발전의 수상한 역사와 후쿠시마 대재앙
앤드류 레더바로우 지음, 안혜림 옮김 / 브레인스토어 / 2022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2011년 일본 후쿠시마에서 일어났던 원전사고. 당시에 발생한 대지지관 싸니모 인하여 후쿠시마 발전소가 침수되면서 전원 및 냉각 시스템이 파손되었고 이로 인해 다량의 방사성 물질이 누출되었던 충격적인 사고였죠. 우리가 원전사고하면 우선 떠오느는 것이 체르노빌 원전사고이고 후쿠시마 사고의 경우 우리와 멀리 떨어져 있지않은 일본에서 발생을 하였고 오염수 방류문제와 후쿠시마산 해산물 수입문제의 경우 한일간의 첨예한 대립이 있을수 밖에 없는 문제였기에 이 원전사고를 알지못하는 사람은 없을것입니다.

 

이 책을 읽기전에 생각해 보지 못한 사실 하나가 있었답니다. 일본의 경우 2차세계대전 당시에 히로미사와 나카사키에 원자폭탄이 떨어지면서 수많은 희생을 치루었던 패전국이었는데 일본은 그 이후 원자력 발전소를 가동하여 전력의 수요에 공급을 하고 있다는 사실이죠. 이 책은 일본이 피폭국임에도 불구하고 어떻게 원자력 발전의 열렬한 지지를 국민들로부터 얻어냈는지를 잘 보여주고 있고 무엇보다 후쿠시마 원전사고가 이미 예견된 재앙이었고 인재였으며 이 사고의 근원에는 일본의 잘못된 시스템 문화와 책임지지않는 권력과 정부의 그늘이 자리잡고 있음을 여실히 보여주고 있습니다.


특히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원자력 발전소가 가동되고 있고 최근 정권교체 이후 원자력 발전소 문제의 경우 핫 이슈중의 하나가 되고 있기에 이 책이 더욱 관심을 가지고 읽을수 밖에 없었습니다. 개인적으로 원전을 운영하거나 추가 건설하는 것에 반대하는 입장인데요. 이는 완벽한 구조를 가진 원전이더라도 설계적 결함은 늘 있을수 있으며 인간은 늘 실수를 저지를수 있는 존재이며 원전사고의 경우 그 피해가 너무 잔인하리만큼 크고 몇십년동안 영향을 주기 때문입니다.

 

책을 통해 일본이 2차세계대전 후 일본의 전력발전의 구조나 원자력 발전이 자리잡았는지를 알수 있었고 특히 8장 여파에서 언급된 수많은 사람들의 희생에 비해 아무도 책임을 지지않으려는 일본의 정치권이나 전력회사들의 모습을 보면서 만약 한국에서도 이런 끔찍한 사고가 발생한다면 일본과 같은 모습일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들면서 우리는 일본의 원전사고를 제대로 이해하고 분석해서 우리나라에서도 혹시나 발생할수 있는 만일의 사고에 대해 철저한 예방조치나 대책을 세워야 할 것 같습니다. 아울러 우리나라도 이젠 지진에서 자유롭다고 볼수 없기에 더욱 원자력 발전의 운영 여부에 심각하게 고민을 해야하고 이는 국민의 안전을 책임져야할 국가나 정부의 의무이기에 정권에 상관없이 권력의 교체에 상관없이 진지하게 고민해 주었으면 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