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그들은 로마를 만들었고, 로마는 역사가 되었다 - 카이사르에서 콘스탄티누스까지, 제국의 운명을 바꾼 리더들 ㅣ 서가명강 시리즈 20
김덕수 지음 / 21세기북스 / 2021년 11월
평점 :
이 글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서양사중에서 가장 흥미로운 부분이 로마의 역사가 아닐까싶어요. 로마의 경우 우리에게 지금은 이탈리아의 수도로만 남아있지만 로마제국이 남긴 로마카톨릭이나 로마는 하루에 만들어지지않았다는 말도 우리는 많이 쓰고 우리에게 익숙한 로마제국의 전차놀이나 검투사 문화 그리고 폭군황제였던 네로까지.
로마제국은 동로마제국이 망할때지 정말 엄청난 기간동안 존속하였고 지배한 땅 역시 서유럽, 동유럽, 아프리카, 아시아까지 아우르는 거대 제국이었죠.
이 책에서는 로마제국에서 가장 인상깊었던 통치나 문화, 역할을 했던 4명의 인물로 로마 이야기를 아주 재미있게 전달하고 있습니다.
우선 카이사르의 경우 너무도 유명한 주사위는 던져졌다. 우리는 루비콘강을 건넌다라는 말로 잘 알려진 인물이죠. 더군다나 성경에도 언급되는 로마의 인물이기도 하구요. 그리고 이어서 나오는 인물인 아우구스투스. 그는 알고보니 카이사르의 누이의 외손자였는데 카이사르가 양아들로 삼았더군요. 아우그스투스의 경우 영리하게 로마를 그의 손아귀에 넣었는데 그는 카이사르의 죽음에서 많은 것을 배웠고 단순히 군사력에 의존하지않고 지혜로움으로 서서히 권력을 장악한 인물이더라구요.
그리고 디오클레티아누스의 경우 노예출신의 황제로 위기에 빠진 로마를 강력한 군사력을 이용하여 구해낸 인물로 화폐개혁을 성공적으로 단행했지만 그리스도교를 탄압했던 황제이네요.
마지막으로 언급되는 인물은 콘스탄티누스. 이분은 기독교인들에게 특히 의미를 더욱 갖는 인물이네요. 밀라노 칙령으로 모든 종교의 자유 특히 그리스도교가 더이상 탄압받지않는 근거를 마련했고 또한 현재 카톨릭에서 교리로 삼고 있는 삼위일체론을 확립한 분이네요.
로마는 공화정, 제정, 원수정등 다양한 형태로 정치권력이 로마를 지배하였고 거의 모든 황제나 카이사르는 정략결혼으로 상대방과 의기투합했다가도 결국 자신들의 야욕을 위해 다시 싸우기도 하면서 누가 최종 권력을 갖느냐로 귀결되는 인생을 살았던 것 같습니다.
이 책은 기나긴 로마의 통치기에 위대한 업적을 남기고 강력한 리더십으로 로마제국을 이끌었던 4명의 인물에 대한 흥미로운 이야기를 우리에게 전달함으로써 이 시대의 리더들이 어떤 모습을 갖추어야할지 그리고 그들이 과거의 인물들의 과오로부터 무엇을 배울수 있는지를 알수 있게 만들어주는 로마의 흥망성쇠에 대한 길지않으면서도 흥미롭게 읽을수 있는 로마제국 4대 인물사라고 할수 있을 것 같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