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글쓰기의 공중부양 - 이외수가 처음으로 공개하는 실전적 문장비법
이외수 지음 / 해냄 / 2007년 12월
평점 :
언젠가 회사 일을 하면서 만난 거래처 사람이 2년 전에 자기계발서를 책으로 낸 적이 있다는 이야기를 들은 뒤 부터
책을 읽으면서 언젠가 나도 나의 이야기를 글로 남기고 싶다라는 생각을 가끔 했다.
하지만 구체적으로 무엇을 어떻게 쓸까라는 고민을 하지도 않았고,
언젠가 나이가 들면 내 인생을 돌아보면서 자서전적 이야기를 풀어 나갈 수 있겠지 하는 아주 막연한 생각만 하고 있다.
글은 왜 쓰는가?? 저자는 말한다 행복해지기 위해서 쓴다.
나는 왜 글을 쓰려 했을까 뒤돌아 보면 솔직히 다른 사람이 부러워서였다. 가식 때문이다.
나도 언젠가 글을 써서 책을 내게 되면 달르게 보이겠지라는 바램때문이다.
부끄럽게도 이것은 저자가 말하는 글쓰기의 3대 병폐 중 첫 번째에 해당하는 것이다.
이 책이 단순히 글을 쓰기위한 방법론만 제시하는 것은 아니라고 느꼈다.
글쓰기를 통해서 인간의 자아 성찰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다고 생각한다.
글이라는 것은 자기 내면의 표현이다.Input(입력) = 자기마음, Output(출력) = 글
그래서 자기를 표현하기 때문에 자기 내면을 갈고 닦음으로서 더 좋은 글, 진실된 글, 감동의 글을 쓸 수가 있는 것이다.
입력에 거짓된 마음, 잘못된 정보이 들어가면 출력에 거짓된 글, 잘못된 글이 나오게 되는 것이다.
글의 화려함, 좋은 문장력은 점점 개선할 수 있는 것이지만 진실되고 순수한 마음가짐이야 말로 처음 부터 가져야할 글쓰는 이의 자세이다.
그렇게 해야만 글쓰기를 통해 "뜨지 않을까" 생각 된다.
제 1부 단어의 장
단어는 문장의 기본 재료이다. 그래서, 어떤 단어를 선택한느냐가 글쓰기의 기본이라 할 수 있겠다.
단어를 채집한다는 이야기는 이 책을 통해 처음 접했다. 지금껏 내가 알던 그리고 생각했던 글쓰기와는 너무 다르게 다가 왔다.
생어(生語)와 사어(死語), 한자어의 추상어로들로 구성된 사어 보다 우리가 보고,듣고,만질수 있는 생어들을 사하는 것이 독자로 하여금 생동감있게 느끼게 할 수 있다.
저자는 평소에 단어에 대해 사안(四眼)을 통해 바라보라고 말한다. 육안, 뇌안, 심안, 영안이 그 것이다.
단어는 보이는 것이 다가 아니다. 그대로 평소에 느끼는 대로 접하는 것이 아니라 그 내면의 속성까지 바라보라는 의미이다.
단어에 나의 감정을 부여하기도 하고 시간과 장소를 부여함으로 또 다른 창조적 사고를 요구하고 있다.
중간 중간 작가가 보여주는 단어를 이용한 예문들은 단어에 대한 재미를 더하면서 사고의 영역을 넓혀준다.
제 2부 문장의 장
문장에 대한 기본은 명사와 서술어와의 만남이다.
글쓰기에 앞서 저자는 아주 기본적인 사항부터 차례 차례 즈려 밟으면서 말한다.
왜, 무엇을, 어떻게, 누구에게, 목표는? 이라는 질문을 통해서 글에 대한 작가의 진실된 모습을 요구한다.
글쓰기의 필수 요건은 진실, 소망, 감성, 애증이며 경계해야할 것은 가식, 욕심, 허영이다. 작가는 진실된 마음으로 글을 써야한다. 진실되지 않으면 감동을 줄 수가 없다.
기본적으로 알고 있는 단어 속성와 연관 지을 수 있는 서술어들도 있지만 때론 오감을 자극하는 서술어를 사용함으로서 본래의 뜻과는 또 다른 감각적 문장을 만들 수 있다. 사물에 대한 기본 애정이 있어야 그 것의 본질을 깨달을 수 있고 오감의 단어와 서술어를 사용하여 뛰어난 문장으로 표현할 수 있다.
문장의 수사법으로 직유법, 은유법, 활유법, 의인법, 대유법, 과장법, 반복법, ..등이 있다. 모두들 중고등학교 국어 시간에 들어 왔던 것이다.
하지만 작가는 너무 지나친 수사법의 사용은 전체 문장을 망칠 수도 있다고 주의를 준다.(과유불급)
제3부 창작의 장
이 장에서는 특히 작가의 창조성과 개성을 강조한다. 이 두가지가 없으면 작가가 될 수 없다고 말하고 있다.
누에의 애벌레 시절 5번의 허물 벗기와 마지막 번데기에서 날개달린 곤충으로의 과정을 인용하여 좋은 글 쓰기 위해 작가는 많은 고통을 감내하고 다시 태어나야 한다고 말한다.
그리고 창작의 한 부분인 소설에 대해 설명하는데 소설의 기본 요소와 구성인 인물, 사건, 배경에 대해 많은 작가의 소설을 인용하여 설명해 주고 있다.
고등학교 때 작문이라는 수업을 들었는데 그 때도 이렇게 설명이 되어 있었으면 하는 생각이 떠올랐으나
만약 학생의 신분으로 이 책을 보았더라도 그 때와 비슷하리라 생각이 든다.
아마도 지금 내가 그 때와 다른 -직장인 신분에 내가 자주적으로 글을 쓰고 싶어하는- 상황이기 때문일 것이다.
제 4부 명상의 장
가끔은 왜 작가들은 일반인들보다 폐쇄적 삶을 살까? 라는 생각을 해본적이 있다. 세상으로 부터 닫혀 있다 라는 의미이다.
하지만 그것은 사실이 아니다. 어느 누구보다도 세상에, 자연에게 한껏 열려 있는 그들이다.
단지 인간에게만, 도시에만 국한되어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그렇게 보면 나는 세상과 도시를 동일 시 해버리는 오류를 범한 것 같다.
그런 의미에서 작가의 사색이란 아주 중요한 것이다. 세상과 소통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p20-쓰는자의 고통이 읽는 자의 행복이 될 때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