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 100엔 보관가게
오야마 준코 지음, 이소담 옮김 / 위즈덤하우스 / 2015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하루 100엔 보관가게]

오가는 사람이 있지만 시선을 주는 사람거의 없고, 간판도 없는 '사토'라는 포렴이 걸려있는 가게가 보관가게이다.

주인은 앞이 보이지 안는다. 그렇지만 보관해온 물건과 보관한 사람을 틀린적이 없다. 어떻게 앞이 보이지 않는데 보관가게를 하는걸까?

주인은 한번온 사람의 목소리는 잊어버리지 않는다. 물건도,

하루에 100엔보관하지만 찾아가지 않으면 그 물건은 주인의 것된다. 그다음은 주인의 몫이다.

가게를 보며 이야기하는 것은 사람이 아니라 포렴이다.. 포렴이란 일본의 술집이나 음식점등 출입구에 늘어뜨리는 천 이라고 하는데. 포렴은 여자이다. ^^

가게를 찾아오는 이들은 다양하다. 주인은 그들과 마주앉아서 그들이 맏기는 물건과 돈을 받고 찾아올 날짜를 확인한다. 보관가게 하루 보관료는 100엔 이다.

독특한 책이다. 이런 보관가게가 있다면 난 무얼 맏기게 될까? 아버지가 사준 자전거를 집에 가져갈수 없어서 맏겼던 소년. 이혼서류을 가져온 여자. 유서를 가져와서 맏겼다 찾아가길 몇번 하던 분. 오르골을 50년 보관부탁한다. 그리고, 자신의 죽어가는 새끼를 맏긴 고양이. 고양이는 어떻게 알고 주인에게 맏겼을까. 죽어가던 고양이는 주인이 살려서 '사장님' 이라는 이름을 가지게 된다 . 20년전 훔쳤었던 어린왕자 책을 가지고 온 여자. 버릴것을 100엔에 하루 보관하고 찾으러 오지 않아도 된다. 그러면 주인이 알아서 처리할것이기 때문에.

그냥 잔잔하게 맘에 남는다.. 이런 보관가게가 있다면 어떨까. 주인과 이야기를 나눠보면 어떨까 하는생각도 하고. 아마도 주인을 만난다면 술술 모든 이야기를 할지도 모를꺼 같다.

책에 나오는 이들처럼 나쁜짓을 했었던 일이며. 아주 오래된 이야기며. 힘든 이야기 이며. 주인은 물건보관과 함께 마음도 치유를 해주는 보관가게 사장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니콜라 테슬라 평전 - 몽상가에서 최고의 과학자로, 거의 모든 것을 발명한 남자
W. 버나드 칼슨 지음, 박인용 옮김 / 반니 / 2015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니콜라 테슬라는 몰랐네요. 에디슨만 알았는데. 천재적이고 기발한 과학자였기에 더 괴상하게 느껴졌을지도 모르겠단 생각이드네요. 이제야 알게됬지만 그의 발명과 삶이 어떤지 궁금합니다. 어떤발명을했는지 인류평화를보장할 무기는 뭘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상상 라디오
이토 세이코 지음, 권남희 옮김 / 영림카디널 / 2015년 2월
평점 :
절판


어느날 갑자기 휩쓸려 삼나무 꼭대기에 걸려 상상으로 방송을 하는 상상라디오 DJ 아크
상상라디오는 동일본 대지진이 일어난 날 삼나무 꼭대기에 하늘을 보며 걸쳐있는 아크의 이야기
상상라디오속 청취자의 사연 , 재해지역에서 자원봉사하고 돌아오는 사람들의 야이기이다.
가수 매니지먼트를 하다 염증을 느끼고 모든것을 정리하고 본가로 돌아왔다. 연상의 아내 를데리고
어제 고향으로 돌아왔다. 중2 아들은 미국 중학교 기숙사에 있다.
앞으로 어떻게 살아야할까 심기일전하려는데.
집에 분명히 있었는데 갑자기 삼나무 꼭대기에 그것도 하늘을 보며 걸려있다니.
그리고 DJ 아크는 기억도 지워지고 자꾸 섞여간다. 청취자의 사연이 꼭 내 사연같고,
아크는 상상만 하면 라디오를 들을수 있다고 한다.
자신의 손에 들려있는 폰은 연락이 없다. 아내와 아들을
상상라디오에서 찾아봤지만 만날수가 없었다.
청취자중 기이치씨부인은 아내가 연락이 끊긴건 부인이 우리쪽에 없어서일꺼다 라고 했다.
다행이다. 아내와 아들은 무사한거다. 무소식이 희속식이라는거다.
어느날 아버지가 삼나무 아래에 오셨다. 먼저 가있을테니 나중에 오라고 하신다.
처음은 아크의 이야기 . 아크가 상상라디오를 시작하게된이야기 아크이야기가 있다.
그다음은 재해지역 자원봉사자들의 차속에서 나무위의 남자이야기를 토론하고
그 나무위의 남자 목소리를 듣고 싶어하는 이가 있다.
그리고 상상라디오의 청취자 사연 내용이다.
며칠째 너무 한가해서 너무나 평평한 그녀의 하루 이야기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DJ아크는 마지막방송을 하고 떠난다.
지난해 세월호사건이 가장 생각난다.
어느날 갑자기 떠나게된 많은 학생들
정말 상상라디오가 있다면 아마도 학생들은 아크처럼 이야기도 하고 노래도 틀고 하면서
잘 지내고 있을까? 누군가가 DJ아크처럼 상상라디오를 진행한다면,
아니면 상상하면 정말 두세상의 이야기를 들을수 있을까.
주파수를 돌려보면 어디선가 들릴지도 모를 상상라디오.
하지만 상상라디오가 들린다고 현실에서 이야기 할수는 없겠죠. 세월호 희상자들의
가족에게 그것을 또 다른 아픔이 될수도 있으니까요.
책속에서 누군가 이야기 했던거 처럼 그냥 마음속으로 그들을 기억하고 잊지 않는게 좋을지도
모를거 같다는 생각이 들어요.
세월호 참사로 고통받는 우리에게 절절한 소통의 이야기 상상라디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조용헌의 방외지사 열전 2 - 죽기 전에 한번 살고 싶은 대로 살아보자!
조용헌 지음, 백종하 사진 / 알에이치코리아(RHK) / 2015년 1월
평점 :
품절


[한세상 먹고 사는 문제만 고민하다 죽는 것인가?

죽기전에 살고 싶은 대로 한번 살아보자.!]

1권에 이어 2권에서도 방외지사들의 이야기가 펼쳐진다.

제주도에서는 대각심을 만났다. 여자의 몸으로 50년의 세울동안 제주도 한라산 깊은산속에서 살기 쉽지 않을터인데 그녀는 스님도 아니고 도사도 아닌 대각심으로 불리운다. 자신을 시험하며 독버섯을 달여 먹고, 찾아오는 이에게 거침없이 이야기한다. 너무 직설적으로.

중국 화산파 23대 장문으로 등극한 여선 그녀은 어떻게 중국 화산파의 23대 장문이 되었을까. 몇년전 화산을 구경한적이 있었는데 아마도

그산이 그산인듯 하다 책을 읽다보니. 화산은 정말 산이 바위로 되어있고 높아서 케이블카를 타고 올라갔었다. 화산이 도교 성지로 유명하다니 다시한번 화산에 가보고싶다는 생각이 든다.

전국의 산하를 두발로 걷는 낭인은 전국 산천을 두발로 누빈다. 15세에 출해서 화엄사에서 생활하다 집으로 돌아가라는 스님 말씀에 여비를 들고 부산 울산을 울산에서 돈이 떨어져 도둑기차를 타고 대구까지 그리고 더이상 돈이 없기때문에 걷기를 시작한다 . 그리고 1주일을 더 걷고 세상을 걷을만 하다는 자신감을 가진다. 그것이 시작이라고 했다. 향토현문화연구회라는 답사 단체를 이끌고 전국을 돌아다닌다.

그 경험과 글을 쓰기 위해 읽었던 책들. 풍부한 현장답사 경험으로 책을 쓴다.

한때 난 아이들과 자전거를 타고 전국을 여행하는 꿈이 있었는데 아직도 그건 꿈이다.

대나무로 만들 뗏목을 타고 황해바다를 건너는 윤명철. 예전에는 GPS도 없었을텐데 바다에서 어떻게 방향과 위치를 잡는지. 뗏목은 폭풍에 뒤집히지 않는다는 철학을 터특해 바다를 건널때마다 대나무로 뗏목을 만든다.

지리산에서는 굶어죽지 않는다고 최소한의 비용만 필요하다고 하며 오토바이를 타며 인생을 즐기는 사람.

[예전에는 산속에 숨어사는 동인들을 방외지사(方外之士)라 했지만 현대에는 고정관념과 경계선 너머의 삶을 추구하는 사람, 그를 일컬어 방외지사라 한다. ]

방외지사의 뜻처럼 고정관념과 경계선을 넘어서 자신의 만족한 삶을 살고 있는 방외지사의 이야기다.

죽기전에 살고 싶은대로 한번 살아보는게 쉬운것이 아닌것을 안다. 그래도 한번쯤은 살아 보고 싶은데로 살아보는건 어떨지.

방외지사를 만나서 인생을 좀 배워보면 좋을꺼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조용헌의 방외지사 열전 1 - 한세상 먹고사는 문제만 고민하다 죽는 것인가?
조용헌 지음, 백종하 사진 / 알에이치코리아(RHK) / 2015년 1월
평점 :
품절


[예전에는 산속에 숨어 사는 도인들을 방외지사라 했지만 현대에는 고정관념과 경게선 너머의 삶을 추구하는 사람.

그를 일컬어 방외지사라 한다.]

방외지사라 무슨 뜻인지 몰랐는데 들어보니 쉬운거 같기도하고 어려운거 같기도 한다. 가끔 길가다 만나는 "도를 아십니까" 정도로만 생각했는데. 조용헌의 방외자사 열전을 보니 그보다는 좀더 멋진 자신의 신념과 생각을 가지고 나아가는분들 같다.

특히나 모든것을 버리고 산속에 들어가 사는 분만이 있는것이 아니고 의사도 있고, 사회에서 높은 직위도 해본분들도 있고

사회를 등지고 있는 분들이 아니라는 것을 알게되었다. 이책은 이런 방외지사분들 만나 이야기 한다.

저분들은 어쩌면 저렇게 편안하게 놀며즐기면 살아갈수 있는걸까. 우리는 시간시간 바둥거리고 빨리 빨리 하면서 보내는데 방외지사분든은 그저 평온한 얼굴에 시간도 바람도 그저 스쳐지나가듯이 보는듯 하다.

방외지사만큼은 아니더라도 요즘은 시골로 다시 돌아가서 정착하는 분들도 많다하는데 그것은 또 방외지사들만큼은 아닌듯 하다. 방외지사는 뭔가 다른 힘을 가지고 있는듯하다.

세상사 모든것이 먹고살자고 하는것이기는 한데, 아이들도 있고, 먹고살려면 일단 돈이 필요하니 도시에 가까이 산다.

모든것을 버리고 지리산으로 들어간 방외지사 3년이 고생이라고 했던가. 3년만 참으면 그다음은 그저 흘러가는데로 흘러가게 두면 되는것을. 하지만 얼마나 어려울까 솔직히 도전해볼 엄두도 나지 않는다.

그저 이책을 보변서 방외지사를 만나 이야기로 대리만족하는정도 될꺼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