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문학 생상 활동의 의의

다수의 학습자들은 문학을 창작하는 입장에 서기보다는 기존의수많은 문학 텍스트를 수용하고 받아들이는 독자의 입장에서 문학 텍스트를접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을 반영하듯 학교 교육 내 문학교육에서도 문학에대한 이해와 감상이 강조되며 학습자의 문학 수용이 중심 교육 내용으로 설정된다.
그러나 학습자가 문학을 이해하고 감상하는 수용자의 입장에 그친다면,
문학을 생활화하는 태도를 충분히 갖추었다고 보기 어려울 것이다. 이는 문학 텍스트의 생산과 수용을 포함한 소통 구조의 반쪽에만 주목하는 것이기때문이다. - P346

 문학의 이해와 감상을 중심으로 하는 수용의 측면에서 학습자는 실제 독자의 위치에 놓여 있다. 실제 독자의 위치에 선학습자는 문학 텍스트를 이해하고 감상하는 과정에서 내포 독자의 위치에접근하고자 노력하며 문학 텍스트에 대한 적극적인 수용을 시도할 것이다. - P347

하나의 문학 텍스트를 사이에 두고 의사소통을 주고받는구조 속에서 수용자의 입장과 생산자의 입장에 서본다면, 학습자는 문학 생산을 직접 경험함으로써 문학의 의사소통 구조를 이해하며 문학 텍스트를 둘러싼 맥락에 대한 총체적 이해에 도달할 수 있다.¹


1) 가령 고전시가의 갈래 규칙에 따라 고전시가를 직접 창작하는 경험은 학습자를 고전시가의 갈래 전반에 대한 총체적 이해로 이끌어갈 수 있다. 조희정, 「고전시가 쓰기 교육 연구」 (1) (2),
『고전문학 교육 연구』, 한국문화사, 2011, 271~340년 참조. - P347

이런 관점에서 문학 창작이 아니라 문학 생산이라는 관점을 취하는 이유를 살펴보자. ‘문학 생산‘이라는 용어는 문학 내 민주주의의 실천을 내포하고 있다. 특권적 지위가 부여된 텍스트인 제도권 문학과 그렇지 못한 아마추어 문학 사이의 구분을 무화하며, 문학 창작이 전문가만의 독점적 전유물이 아님을 드러내려는 의도를 담고 있는 것이다. - P34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