짝짓기
행동의
기원

이 세상 어딘가에 자연과 인간이 서로 완벽하게 조화를 이루며 살아가는 곳이 있고, 우리 역시 타락한 서구문화의 폐해만 없다면 그렇게 살아갈 수 있으리라는 막연한 기대를 우린 아직까지 떨쳐 버리지 못했다.
멜빈 코너, 『왜 무모한 자들이 살아남는가』 - P17

하지만 인간의 짝짓기는 이해하기 힘든점투성이다. 남녀는 때때로 자기 자신을 심리적으로, 육체적으로 학대하는 상대를 배우자로 택하기도 한다. 이성에게 접근하려는 노력은 종종 역효과를 불러일으킨다. 부부 사이에도 갈등이 불거져 나와 서로 비난하고 상처받는 악순환으로 치닫는다. - P17

아픔, 배신, 그리고 상실감은 흔히 사랑에 대해 품는 낭만과 크게 배치된다. 우리는 진정한 사랑을 믿으라고, ‘오직 한 사람‘을 꼭 찾으라고 교육받았다. - P18

배우자 사이에 벌어지는 반목과 불화는 흔히 그 결혼이 실패로 끝날 것이라는 불길한 징조로 여겨진다. 이러한 갈등은 결혼 생활의 참모습을 망가뜨리거나 훼손하는 행태로 받아들여진다. 또한 개인적인 무능함이나 미숙함, 신경증, 의지박약 등등을 의미하거나 단순히 배우자를 잘못 선택했음을 암시하기도 한다. - P18

통념과는 달리 사랑은 서구의 유한계급이 극히 최근에 만들어 낸 산물이 아니다.
모든 문화권의 사람들이 사랑을 체험하며 사랑을 뜻하는 단어를 각자 가지고 있다.¹ - P19

인간의 짝짓기가 지닌 모순적인 속성을 정확히 이해하지 못하는데서 오는 손실은 학문적으로나 사회적으로 자못 크다. 학문적으로는 왜 사람들은 사랑을 얻고 관계를 지속하기 위해 인생의 상당 기간을 기꺼이 희생하는가와 같이 삶의 가장 궁극적인 질문들에 대한 해답을 빈칸으로 남겨둘 수밖에 없다. - P19

진화적 근거

1세기 훨씬 전에 찰스 다윈이 짝짓기의 미스터리에 대한 혁신적인 설명을 제시했다.³ 그는 동물들이 자신의 생존 가능성을 떨어뜨릴 것 같은 형질들을 종종 발달시킨다는 사실에 커다란 흥미를 느꼈다. - P20

생존상의 이득이 아니라 번식상의 이득을 제공해 주기 때문에 어떤 형질이 선택되어 진화하는 현상을 다윈은 성선택(sexual selection)이라 이름 붙였다.
다윈에 따르면 성선택은 두 가지 형태를 띤다. 우선 동성의 개체들이 이성 배우자들에게 성적으로 접근할 기회를 놓고 경쟁을 벌여서 경쟁에서 이긴 개체가 더 많은 기회를 얻는 형태가 있다. 두 마리 산양이 서로뿔을 부딪치며 싸우는 모습은 이러한 성내 경쟁(intrasexual competition)을 생생하게 보여 주는 예이다. - P20

다윈의 성선택 이론은 진화적 변화가 일어날 수 있는 두 가지 핵심 과정인 배우자에 대한 선호와 배우자를 얻기 위한 경쟁을 밝혀 줌으로써 짝짓기 행동을 효과적으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성선택 이론은 1세기 이상 남성 과학자들로부터 강도 높은 비판을 받았다. - P21

성선택 이론은 주류 사회과학자들로부터도 격한 반발을 불러일으켰는데, 이 이론이 인간의 본성은 주로 본능적인 행동에 따라 결정되며 인간의 특별함과 유연성은별로 중요하지 않다고 주장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졌기 때문이다. 인간의 문화와 의식 덕분에 우리 인간은 진화의 영향으로부터 자유롭다는 믿음은 계속 유지되었다.  - P21

내가 처음 인간의 짝짓기를 연구하기 시작했을 때 인간의 실제 짝짓기 행동에 대해서는 거의 알려진 바가 없었다. 여러 인간 사회에서 다양하게 행해지는 짝짓기에 대한 기초적인 자료조차 턱없이 부족했으니, 진화의 관점에서 거대한 이론을 세우는 데 필요한 문헌이나 증거는사실상 전무했다. - P22

만약 짝짓기에 대한 욕망을 비롯해 인간 심리의 다른 특성들이 우리의 진화 역사의 산물이라면, 그들은 미국 안에서뿐만 아니라 전 세계에서 보편적으로 발견되어야 한다. 그래서 나는 다른 문화권에서는 어떤 기준에 의해배우자가 선택되는지 알아보고자 독일과 네덜란드를 비롯한 몇몇 유럽국가들을 시작으로 국제적인 연구를 시작했다. - P23

 학력이 높은 사람들과 낮은 사람들을 모두 대상으로 했으며, 14세에서 70세에 이르는 모든연령의 사람들, 그리고 자본주의에서 공산주의와 사회주의까지 모든정치 체제를 아우르는 광범위한 지역의 사람들을 대상으로 했다. 모든주요한 인종 집단, 종교 집단, 그리고 소수 민족 집단들이 포함되었다.
모두 합해 우리는 전 세계 1만 47명의 사람들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하였다. - P23

나는 수천 명의 사람들을 대상으로 50가지 새로운 연구를 출범시켰다.
독신자 술집이나 대학 캠퍼스에서 이성을 물색하는 남녀, 결혼하기 전의 여러 단계에 있는 데이트 커플, 결혼한 지 채 5년이 안 된 신혼 부부, 이혼한 부부 등이 연구 대상이었다.
이러한 모든 연구들로부터 얻어진 발견은 여러 가지 면에서 기존의 사고를 깨뜨리는 내용이었기 때문에 학계에 논쟁과 혼란을 불러일으켰다. 남성과 여성의 성 심리에 대한 표준적인 관점을 과감히 벗어버릴 때가 온 것이다. - P24

성 전략

 그러나 우리는 결코 무작위적으로 배우자를 선택하지 않는다. 우리는 아무에게나 무차별적으로 끌리지 않는다. 우리는 사랑의 경쟁자를 그저 심심해서 헐뜯지않는다. - P25

즉 우리의 생존 전략인 것이다. 이처럼 생존에 필요한 특질들을 갖추지 못한 조상들은 모두 살아남지 못했다.
마찬가지로 성 전략(sexual strategy)은 짝짓기 문제를 풀기 위한 진화적 해결책이다. 진화 역사를 통해서 성공적으로 짝짓기하지 못한 사람들은 우리의 조상이 되지 못했다. - P26

 각 전략에는 특정한 배우자에 대한 선호, 사랑의 감정, 섹스에 대한 욕망, 질투 등의 심리 기제가 밑바탕으로 깔려 있다. 이 심리 기제들은 신체적 특질, 성적 관심의 표시, 배우자의 부정(不貞)에 대한 낌새 등 외부 세계로부터 받는 정보나 단서에 따라 민감하게 작동한다. - P26

성 전략이라는 용어가 짝짓기 문제를 푸는 해결책들을 생각해 보기 위한 쓸모 있는 은유이긴 하지만, 모든 성 전략이 의식적으로 의도된 행위라는 잘못된 인식을 줄 수도 있다. 성 전략은 의식적인 계획이나 지각을 요구하지 않는다. - P27

배우자 선택하기

모든 이성을 자로 잰 듯이 똑같은 정도로 원하는 사람은 어디에도 없다. 어디서나 어떤 사람들은 배우자로 선호되고, 어떤 사람들은 기피다. 우리의 성적 욕망은 다른 것들에 대한 욕망이 생겨난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생겨났다.

음식에 대한 우리의 선호는 이러한 진화 과정을 잘 입증해 준다.
우리는 지방, 당분, 단백질, 염분 등이 풍부한 물질을 대단히 좋아하는반면 쓰거나 시고 유독한 물질에는 고개를 젓는다.⁵ (중략)
배우자에 대한 우리의 욕망도 이와 유사한 적응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지만, 그 기능이 꼭 생존을 위해서라고는 할 수 없다. - P2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