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학생을 위한 역사학 수업 좌충우돌 중학생을 위한 6
이문영 지음, 허현경 그림 / 위즈덤하우스 / 2022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위즈덤하우스] 중학생을 위한 역사학 수업 

저는 학교를 다닐 때 역사를 싫어했어요. 역사수업에서 나오는 수많은 연도와 이름들,
각종 사건들의 순서를 외우다보면 내가 이걸 왜 외우고 있어야 하는지 모르겠더라구요.
지금은 외우는 게 아니라서 그런지 역사관련 프로그램이 재미있게 느껴지는데,
중학생인 저희 아이는 역시나 역사를 별로 좋아하지 않네요.
 

20220326_093006_edit.jpg

 

이 책은 역사를 직접적으로 알려주는 책은 아니예요.
역사가 어떤 것인지, 우리가 배우게 되는 역사를 어떻게 받아들여야 하는지 등
역사에 대한 시각을 가지게 해주는 책이네요.
 

20220326_093027_edit.jpg

 

요즘 아이들은 글만 많은 책은 잘 안읽으려고 하지요.
왓수와 셜룩이라는 두 주인공을 등장시켜서 재미있는 만화와 함께 이야기를 해주니 흥미롭게 읽을 수 있어요.
 

20220326_093040_edit.jpg

 

역사와 추리가 비슷하다구요? 우리는 역사를 배울 때 무조건 사실이라고 받아들입니다.
그렇지만 역사라고 무조건 다 사실은 아닐 수 있다는 것을 생각해야한다는 것이예요.
우리가 잘 아는 에밀레종이야기, 선덕대왕신종을 에밀레종이라고 대부분 받아들이고 있는데,
이 얘기는 원래 중국의 당나라 때 만들어진 이야기라고 합니다.
종을 만들기 위해 쇠붙이를 내야 하는데 쇠붙이가 없자 아이를 대신 바친 이야기
여기까지가 우리가 아는 에밀레종인데, 당나라 때 이야기에는 종을 치면 엄마를 찾는 아이울음소리가 
울려서 도성이 무너지면서 종을 제작하게 한 사람이 파멸에 이르게 되었다고 해요.
우리나라에는 그 앞까지만 전달되면서 나라에서 하라는 대로 따라야 한다만 남았다고..
에밀레종이 사실은 어떤 종인지 확실하지 않다고 하네요.
그러고보니 선덕대왕신종을 분석한 결과 인체성분은 전혀 없었다는 기사도 읽은 기억이 있어요.
 

20220326_093203_edit.jpg

 

우리는 역사를 대부분 공부로 배우기 때문에 배우는 내용은 모두 사실이라고 생각하게 되는데
역사적 사실이라고 모두 사실은 아닐 수 있다고 생각해야 한다고 합니다.
그리고 소설이나 드라마에서 나오는 역사를 모두 사실로 받아들이는 것도 주의해야합니다.
소설이나 드라마는 역사적 사실을 바탕으로 하지만, 거기에는 흥미를 끌기 위해 덧붙여진 내용이 있지요.
 

20220326_093102_edit.jpg

이 책은 역사를 보는 올바른 시선을 가지게 해주는 책이예요.
일본이나 중국에서 일부의 역사적 사실을 가지고 자기들에게 이롭게 해석하는 경우도 많지요.
우리는 역사적 사실이라고 무조건 받아들이는 것이 아니고 정확한 사실을 파악하도록 생각해야할 것 같아요.

이 책을 읽고 역사가 단순히 공부를 위한 것은 아니라는걸 알고 흥미를 가졌으면 좋겠어요.

 

*본 서평은 출판사에서 제공받은 도서를 읽고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