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의 발칙한 사생활 - 우리 곁 식물들의 영리한 생존전략
이나가키 히데히로 지음, 장은주 옮김 / 문예춘추사 / 2024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봄이 한창인 요즘, 집 밖을 나서면 보이는 건 온통 초록초록한 식물들입니다. 늘 우리 곁에 존재하고 있는 수많은 식물들, 우리는 그 식물들에 대해 얼마나 알고 있을까요? <식물의 발칙한 사생활>은 우리 곁에 존재하고 있는 식물들의 삶에 대한 이야기로 '우리 곁 식물들의 영리한 생존전략'을 통해 미처 알지 못했던 식물들의 삶을 들여다보게 되는데요. 마치 식물들을 주인공으로 한 드라마처럼 보이는 이야기를 통해 우리 인간들은 어떤 삶을 살아가고 있는지를 돌아보게 합니다.

 

희비를 교차하며 살아가는 식물 모습에 당신은 무릎을 치며 공감하게 될 것이다. 불필요한 생각은 하지 않는 식물의 담백한 생존방식에 우리는 인간 ''의 의미를 되묻게 될지도 모른다.

식물을 알면 사람을 알 수 있다. 식물의 생존방식을 알게 된 지금 우리가 알아야 할 것은 인간의 생존방식일지도 모른다. p.6~7

 

만일 "우리가 우연찮게 식물의 세계로 발을 디뎌 식물의 말과 행동을 이해할 수 있게 된다면, 과연 식물의 어떤 삶과 마주"하게 될까요?

 


이 책은 '병원균과의 마이크로 전쟁, 해충을 막아라, 개미를 둘러싼 식물의 삶, 식물 체내에 동거하는 공생균, 콩 뿌리에 붙어사는 뿌리혹박테리아, 동물이 옮겨다주는 씨앗, 발아의 과학, 건조에 강한 식물 시스템, 식물에 숨은 암호, 다른 식물을 이용하는 덩굴식물, 꽃과 곤충의 흥정, 꽃 색에 숨은 비밀, 수분을 위한 모든 것, 식물을 시들게 하는 호르몬, 단풍이 빨갛게 물드는 이유, 식물의 겨울나기, 식물이 내뿜는 피톤치드, 현대에 남은 고대식물, 초록 행성을 만든 식물의 민낯"까지 19개의 챕터를 통해 우리 곁에 존재하고 있는 많은 식물들의 삶을 들려주는데요. 우리가 알고 있는 것과는 전혀 다른 식물들의 이야기에 놀랄 수도 있고, 식물들의 생존전략에 경이로움을 느낄 수도 있습니다.

 

영양분을 투자하여 튼튼하게 성장하는 것도 중요하고, 경쟁력을 높여 주위 식물보다 몸집을 키워 빛도 더 많이 쬐어야 한다. 물론 꽃을 피우고 꽃가루와 씨앗을 만드는 일 역시 다음 세대를 육성하는 데 중요한 예산 배분이다. p.23

 

"한정된 자산을 효율적으로 활용"해야 하는 식물들의 삶은 인간들의 삶과 다르지 않는 듯합니다. 하지만 생존이 걸린 식물의 예산 배분은 "비합리적으로 보이는 인간 사회의 예산 배분"과는 달리 항상 합리적이라고 합니다. 또한 "식물의 방어 시스템은 거의 완벽에 가깝다"고 하는데요. 세상에 존재하는 무수한 균들의 대부분은 식물의 방어 시스템에 막혀 침투에 실패한다고 합니다. 하지만 인간 사회와 마찬가지로 완벽에 가까운 방어 시스템을 뚫을 수 있는 기술을 터득한 균이 등장하기 마련입니다. 그럼 식물들은 가만히 있을까요? 절대 그렇지 않습니다. 또 다른 방어 시스템을 작동하게 마련입니다. 이렇듯 "식물과 병원균은 먼 옛날부터 이런 전쟁을 반복하면서 함께 진화"해왔다고 합니다.

 


 

물론 식물 역시 슈퍼마켓이나 편의점이 떠오를 정도의 배치는 이미 실천하고 있다. 식물에게 꿀은 적자를 각오한 서비스 상품이지만, 서비스 상품만 팔아서는 이익이 나지 않는다. 따라서 서비스인 꿀은 맨 안쪽에 배치하는 것이 적절하다. 실제로 식물의 꽃은 대부분 가장 안쪽의 심 부분에 꿀을 숨겨 놓았다. p.130

 

식물의 꽃은 대부분 가장 안쪽의 심 부분에 꿀을 숨겨 놓았다고 하는데, 저자는 이런 사실을 인간들 세상의 편의점에 비유하여 쉽게 알려줍니다. 편의점에서 잘 팔리는 도시락이나 음료수를 맨 안쪽에 배치하는 것에는 다 이유가 있었던 것이죠. 또한 꽃들이 언제 피고 시드는지를 영업시간으로 비유하여 알려주는데, 읽다보면 마치 인간들의 삶을 보는 것처럼 느껴지기도 하고, 식물들이 주인공이 된 한 편의 드라마를 보는 것처럼 느껴지기도 합니다.

 

역사상 가장 강한 곤충의 왕이라고 하는 개미를 경호원으로 고용한 식물들, 동물들처럼 자유롭게 움직이지 못하는 식물들이 행동 범위를 넓히는 기막힌 전략, 곰팡이에서 얻는 영양분을 이용하는 난의 살벌한 씨앗 발아법, 열악한 환경에서 단련된 강인한 잡초의 생명력, 꽃잎 수에서 찾은 피보나치수열, 식물이 곤충이나 병원균이 다가오지 못하게 대기 중에 방출하는 독성물질인 피톤치드, 공룡시대부터 지금까지 살아온 은행나무, 공룡 멸종에 영향을 끼쳤을 속씨식물 등등 우리가 미처 알지 못했던 더 많은 식물들에 대한 이야기는 직접 책을 통해 만나길 바랍니다!

 

식물은 지구 생명의 근원이다. 많은 생물은 식물이 만들어낸 산소로 살아간다. 식물은 생태계 식물연쇄의 가장 기반을 이루고 있다. 식물을 먹은 초식동물은 육식동물이 먹는다. 모든 동물은 식물 없이는 살아갈 수 없다. p.202

 

"식물이 방출한 산소로 인한 환경파괴 끝에 형성된 현대의 지구환경, 그런데 그 지구환경이 인간이 방출한 대량의 이산화탄소"가 원인이 되어 다시금 변모하게 될 것이라고 합니다. "식물 플랑크톤이 산소를 퍼뜨려 오존층을 만들어내기까지 30억 년, 지상에 진출한 식물이 산소농도를 올리기까지 6억 년의 세월이 필요"했건만, "인류의 환경파괴는 고작 100년 단위로 일어나고 있다"고 합니다. 지구상에 살아가는 수많은 생물들의 진화는 급격한 환경 변화 속도를 따라갈 수 없을지도 모릅니다. 그럼 어떻게 될까요?

 

만약 식물들이 없다면 우리는 살 수 있을까요? 공기처럼 너무나 당연하다는 생각에 그 소중함을 잊어버리고 사는 건 아닐까요? 지구상에 존재하는 모든 생물들은 서로가 서로에게 영향을 미치고 있기에, 하나의 생명체가 해를 입으면 연쇄적으로 영향을 받게 된다는 것을, 우리는 잊고 살아가는 것은 아닐까요?

 

꿈오리 한줄평 : 식물들의 삶을 통해 인간들의 삶을 되돌아보다. 삶의 철학을 담은 짧고 좋은 글귀는 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