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짜감정
김용태 지음 / 미류책방 / 2023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는 살면서 많은 감정들을 경험한다. 유쾌한 감정도 있지만, 불쾌한 감정도 있다. 분노, 우울, 불안 같은 부정적 감정들을 느끼는 것은 힘들고 때론 고통스럽다. 그래서 회피나 무시, 억압 등의 방법으로 내 감정을 내가 모르는 체한다. 하지만 그런다고 그 감정이 사라지는 건 아니다. 왜냐하면 감정은 느끼고 표현되지 않으면 절대 사라지지 않기 때문이다. 해소되지 않은 감정은 우리의 무의식 속에 쌓여 호시탐탐 밖으로 나올 기회를 엿보거나, 제발 자기를 알아 달라고 떼를 쓴다. ' 가짜 감정 프롤로그' ~

 

자신의 감정을 있는 그대로 솔직하게 표현한다는 것은 누군가에겐 참으로 어렵고도 힘든 일입니다. 상대방이 상처를 받는 것은 아닐까? 서로 불편한 관계가 되는 건 아닐까?...,등등의 이유로 감정뿐만이 아니라 해야 할 말도 차마 못하고 꾹꾹 눌러 담아둡니다. 그렇게 눌러 담아 둔 감정들은 어느 날 사소할 수도 있는 일이 도화선이 되어 걷잡을 수 없는 분노로 폭발하기도 합니다. 그러고 나면 정말 속이 후련해야할 것 같지만, 실상은 그렇지 않은 경우가 더 많은 듯합니다. 꿈오리 또한 불편한 감정들을 표현하는 것에 서툰 사람 중 하나입니다. 예전엔 그것이 상대방에 대한 배려인가 싶었는데, 생각해보면 차마 솔직하게 표현할 용기가 없었던 것은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듭니다. 서로 불편한 관계가 되는 것이 싫었던 것이지요.

 

<가짜감정>은 바로 감정을 솔직하게 표현하지 못해 불편한 사람들을 위한 지침서 같은 책입니다. 이 책은 1'우리는 왜 감정이 낯설까?', 2'감정을 털어놓게 되면', 3'우리를 불편하게 하는 감정들', 4'나를 휘젓는 감정, 조절할 수 있다', 5'감정과 사이좋게 지내는 법_실천편' 으로 구성되어 있는데요. 기천과 진영이라는 부부의 상담 과정을 통해 우리 내면 어딘가에 존재하고 있는 불편한 감정들을 들여다보며 감정이 왜 중요한 것인지, 어떻게 감정을 조절하면 좋을지를 알려줍니다.

 

 


 

다른 사람이 원인 제공을 했다 하더라도 나에게 생긴 감정은 내 것입니다. 그런데 많은 사람들이 원인 제공을 한 사람이 마치 내 감정의 주인인 것처럼 행동합니다. 그러나 기억하셔야 합니다. 상대방이 아무리 큰 원인을 제공했다 하더라도 현재 겪고 있는 감정은 내 감정입니다. 내가 그 감정을 스스로 처리하는 능력을 키워야 합니다. p.62

 

상대의 자극으로 인해 화가 나고 분노가 일어날 때, "상대방의 말과 행동을 분석해 상대방이 얼마나 잘못했는지, 자신이 얼마나 억울한지에 집중하며 화를 증폭"시키지는 않나요? 결국 "내 화에 대한 책임"을 상대방에게 지우는 것이지요. 저자는 화가 날 때(일차 감정) 그 책임을 상대방에게 지움으로써 생기는 갈등으로 인해 불안과 두려움이 발생하게 되며(이차 감정), 이로써 화난 감정은 다스리지 않고 부정적인 감정의 짐만 새로 떠안게 된다고 합니다. 그러나 "화난 감정이 자기 것이라고 인식하게 되면 화를 다루기가 수월해진다." 라고 말합니다. 하지만 내 감정의 주인은 당연히 ''라는 것을 충분히 인지하고 있을지라도 그걸 받아들이기는 것이 쉽지는 않습니다. 이 또한 부단한 노력이 필요한 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감정을 꾹꾹 눌러 참다가 별것 아닌 일에 자극 받아 걷잡을 수 없이 분노를 쏟아 내고 후회한 적이 있는가? 혹은 때때로 올라오는 감정을 무시하고 일만 하다가 공허감을 느낀 적은? 만약 우리가 감정이 느껴질 때마다 알아주고 적절히 표현해 줬다면 어땠을까? 바로 이 때문에 감정 조절이 필요한 것이다. p.185

 

저자는 "감정 조절이란 괴로운 감정에서 도망가지 않고 어떤 감정인지 알아차리고 그것을 자연스럽게 표현하는 것이다." 라며 감정 조절을 위해선 7단계의 과정이 필요하다고 말합니다. 알아차리고 표현하고 주제를 찾은 다음 깊이 이해하고 수용하며 자기와의 싸움 단계를 거쳐 변화된 자신을 지속시켜 줄 업그레이드된 가치관을 갖는 단계까지 밟으며 감정을 조절해 간다면, 현실에 집중하며 자유롭게 살아갈 수 있을 것이라고 하는데요. 이때 "관심을 기울여 주고 내가 어떤 감정을 표현해도 허용하고 지지해 주는 사람들이 주변에 있다면 감정 조절 연습이 훨씬 더 수월할 것"이라 말합니다.

 


 

인간은 모순적이고 작은 존재다. 인간 존재의 불완전함, 내 개인의 부족함을 받아들이는 것이 자신의 한계를 '초월'하는 방법이다. 더 큰 존재가 되려고 애쓰지 않을 때 비로소 자유로워진다. p.285

 

저자는 '회피하고 싶은 감정의 심층을 따라가다 보면 결국 수치심으로 연결되며, 감정이 사람을 힘들게 하는 이유는 이 수치심 때문"이라면서 "모든 인간 안에 있는 이 수치심이 건드려질 때 괴로운 것"이라 말합니다. 그런데 "아이러니하게도 인간이 한계가 있는 존재임을 받아들일 때 수치심이 극복된다."며 자신이 불완전한 존재임을 인지하고 수용하게 되면 "다른 사람들의 불완전함이나 한계를 용납할 수 있게 된다."라고 말합니다. 꿈오리 한줄평은 책속 문장으로 대신합니다.

 

감정은 참으로 신기하고 오묘하다. 알아주고 보살펴 주면 긍정적 에너지가 되지만, 모른 체하고 억누르면 알아줄 때까지 떼를 쓰고 시한폭탄처럼 부글부글 끓다 언젠가는 폭발하고 만다. (중략) 현재의 어색하고 거북한 느낌을 방치하지 말고 그 속에서 자신을 지배했던 역사적 사실을 찾아내자. 그리고 눌린 감정을 표현해 주자. 그러면 현재 삶의 문제를 더 잘 해결해 나갈 수 있는 에너지와 여유가 생긴다. '가짜감정 에필로그'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