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약에 내가 풀빛 그림 아이
장덕현 지음, 윤미숙 그림 / 풀빛 / 2023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만약에 내가~"라고 시작하는 말에는 지난 일에 대한 후회와 아쉬움이 담겨 있는 것 같습니다. 꿈오리가 한동안 "만약에 내가 그때 ~했더라면, 지금 ~ 하지는 않았을 텐데" 라는 생각을 자주 했기에 그럴지도 모를 일입니다. 여러분은 어떠한가요?

 

<만약에 내가><혐오와 인권>, <질문하는 인권 사전>을 쓴 장덕현 작가의 글에 <팥죽 할멈과 호랑이>, <사과나무밭 달님>으로 볼로냐 라가치 상을 수상한 윤미숙 작가의 그림이 함께 한 그림책입니다. 짧고 간결한 글과 다양한 배경색, 찍기와 오려 붙이기 등으로 표현한 강렬한 그림은 '우리 사회에 존재하는 차별과 편견, 혐오의 모습을 통해 인간이라면 당연히 가지는 기본적 권리인 인권'에 대해 생각해 보게 만듭니다.

 


 

모든 국민은 내가 시키는 대로만 하라.

그럼 모두가 행복해질 것이다.

'만약에 내가' ~

 

표지를 넘기자마자 "모든 국민은 자신이 시키는 대로만 하면, 모두가 행복해질 것"이라 말하는 왕이 등장합니다. 모든 국민들은 생긴 모습이 다른 것처럼 생각하는 것도 다를 텐데, 어찌 모두 똑같은 행동을 할 수 있을까요? 시키는 대로만 한다고 어찌 모두 다 행복해질 수 있는 것일까요?

 

전쟁을 피해 도망쳐 온 이웃 나라 사람들이 살려 달라고 울며 애원했지만, 왕은 다른 나라 전쟁은 우리와 상관없다며 쫓아냈습니다. 그뿐만 아니라 장애인은 우리와 다르니 함께 살 수 없다며 , 노인들은 일을 못 하니 쓸모가 없다며 성 밖으로 쫓아냈습니다. 하지만 그때 ''는 잠자코 있었습니다. ''는 전쟁을 피해 온 피난민도 아니고 장애인도 아니고 노인도 아니었으니까요.

 


 

그러던 어느 날 병사들이 ''를 잡으러 왔습니다. 왜 그런지 이유도 모른 채 끌려가던 ''는 억울함과 두려움에 도와달라고 외쳤습니다. 그때 ''는 나를 도와줄 사람이 아무도 없다는 걸 깨달았습니다.

 

만약에 내가

나이가 많거나 겉모습이 다르다고

함부로 대하면 안 된다고 막아섰다면

'만약에 내가' ~

 

만약에 ''가 다른 사람들이 쫓겨날 때 그저 방관자로만 남아 있지 않았더다면, 사람들 또한 지금의 모습과는 달랐을까요? 만약에 그랬더라면 어땠을까요?

 

사회적 약자나 소수자 또는 ''와는 다른 사람들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나요? 책속의 ''처럼 그들이 편견과 혐오로 차별을 받을 때, 나와는 상관없는 일이라고 침묵하고 있지는 않나요? 방관자는 피해자에게 있어 또 다른 가해자가 될 수도 있다고 하지만, 이런 저런 이유로 침묵하고 있지는 않나요? 인간은 누구나 기본적인 권리를 누리며 존중받아야 한다는 생각을 하면서도, 불의에 맞서 싸워야 한다는 생각을 하면서도, 당장 ''에게 피해가 오지 않는다면 우리는 그냥 침묵하고 지나가기도 합니다. 그 침묵은 또 다른 가해자와 또 다른 피해자를 만들어낼 수도 있습니다. 그러니 부당함과 불의에 맞설 수 있는 작은 용기를 내 보는 건 어떨까요? 내가 존중받고 싶은 것처럼 다른 사람들도 존중받아야 하니까요.

 

꿈오리 한줄평 : 짧고 간결한 글과 강렬한 그림을 통해 우리 사회의 편견과 차별, 혐오의 모습을 들여다보고 인간이 당연히 가지는 기본적인 권리에 대해 생각해 볼 수 있는 그림책!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