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와중에 스무 살 - 제1회 창비교육 성장소설상 대상 수상작 창비교육 성장소설 7
최지연 지음 / 창비교육 / 2022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스무 살이 되면 어른이 되는 것일까요? 나이만 먹는다고 어른이 되는 건 아니라는 것을 스무 살이 훨씬 지나서야 알게 되었습니다. 우리 아버지 말씀처럼 스무 살이 되어 독립적인 삶을 시작했지만, 어른이 되었다는 생각보다는 그저 스스로를 책임지며 살아갔던 것 같습니다. 그래서 <이 와중에 스무 살>속 스무 살의 이야기가 더 궁금해졌습니다.

 

<이 와중에 스무 살>은 성장소설상 대상 수상작으로 대학에 입학 한 후에야 자신이 어떤 사람인지, 어떻게 살아가야할지를 들여다보기 시작한 은호의 이야기입니다. 가족, 경제력, 진로, 사랑 등등 어느 것 하나 제대로 된 것이 없는 것 같은 은호의 삶, '이 와중에 스무 살'의 삶을 살아가고 있는 은호의 이야기를 통해 현재를 살아가는 청춘들의 삶을 들여다봅니다.

 

만약 내가 온도가 너무 낮은 무시와 온도가 너무 높은 간섭이 아닌 적당히 따스한 관심을 받고 자랐다면 어땠을까. 옳으니 그르니 하는 판단과 평가가 아닌 그랬구나, 하는 공감을 받고 자랐다면 어땠을까. p.11

 

이야기는 은호가 학교 심리 상담실에서 "엄마에게 남자가 생겼으면 좋겠어요."라는 말을 하며 시작합니다. 엄마에게 기댈만한 사람이 생기면 돌덩이처럼 눌러앉은 부담감에서 벗어날 수도 있을 것이라 생각했기 때문입니다. 딸인 은호와 열여덟 살밖에 차이가 나지 않아 자매로 보이기까지 하는 엄마는 오로지 딸이 잘 되기만을 바라며, 어떤 고생도 마다하지 않는 엄마입니다. 가장 역할을 전혀 하지 않는 아빠 대신 쉬지 않고 일만 하던 엄마의 수고로움과 고단함을 알기에 은호는 엄마의 기대에 부응하며 엄마가 원하는 삶을 살았습니다. 자신이 뭘 좋아하는지, 뭘 하고 싶은지가 아닌 엄마의 칭찬과 인정을 받는 게 더 중요했습니다. 진로를 선택하는 것도 역시 그러했습니다. 그래서 대학교에 입학하면서 혼자 살게 되었을 때의 해방감은 이루 말할 수가 없었습니다. 엄마의 딸이자 동생의 보호자가 아닌 그냥 자기 자신으로 살 수 있었으니까요.

 

하지만 그 해방감은 오래 가지 못했습니다. 이혼을 선언한 엄마가 서울로 올라오게 되면서 함께 살게 되었기 때문입니다. 마치 사춘기를 겪는 것처럼 사사건건 부딪치는 엄마로부터 독립하고 싶어졌습니다. 그래서 엄마에게 남자가 생겼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하지만 은호의 바람이 이루어질 가능성은 전혀 없었습니다. 엄마에게 남자라는 존재는 아빠로 인해 뒤틀려 있었으니까요.

 

엄마가 집을 비웠던 기간이 며칠에 불과했는지 몇 달 동안 이어졌는지는 기억나지 않는다. 누가 우리를 돌봤는지도 기억에 없다. 다만 기억나는 것은 그 시간 동안 숨을 낮게 쉬며 지냈다는 것, 밤에는 서랍에서 꺼낸 엄마 옷에 코를 박고 잠들었다는 것이다. p.116

 

어릴 적 엄마가 자신과 동생을 버리고 갔다는 기억은 지금까지도 은호의 삶을 잠식하고 있었습니다. 엄마가 다시 떠나버리는 것은 아닐까 하는 불안감에 사로잡힌 은호는 엄마가 떠나지 않도록 말을 잘 듣는 딸이 되어야만 했습니다. 그 후 성인이 되어서도 누구를 만나든 상대방이 자신을 떠날지도 모른다는 불안감에 사로잡히게 되었고, 남자 친구 준우도 그렇게 자신이 먼저 떠나보내고 말았습니다.

 

은호 학생이 엄마에게 바라는 것처럼, 은호 학생도 엄마를 놓아줘요. 편안하게 힘을 빼면서 건강한 경계를 세우는 거죠. p.205

 

엄마가 편해져야 자신도 편해질 수 있다고 생각하며 살아온 은호, 상담을 하면서 엄마로부터 자유로워지고 싶다는 생각을 하면서도 정작 엄마에게서 독립을 못하고 있는 것은 자신이 아닐까하는 생각을 하게 됩니다. 독립적으로 살아가는 기준이 자신이 아닌 엄마였다는 것을 말이지요. 딸은 절대로 자기처럼 살지 않기를 바랐던 엄마의 바람 역시 삶의 기준이 자신이 아닌 딸이었던 것이었죠.

 

상담사는 "엄마의 감정을 다 헤아리지 않아도 된다고, 엄마에게 너무 많은 마음의 짐을 느낄 필요가 없다" 고 말합니다. 엄마의 말이나 생각을 자기 마음대로 해석하고, 엄마의 희생에 대한 죄책감과 그로 인한 지나친 책임감으로 자신을 과대평가하고, 기대치에 미치지 못한다며 스스로를 책망할 필요가 없다는 것이죠. 그래서 누구의 딸이 아닌, 누구의 엄마가 아닌, 그저 서로에게 자유로운 존재로서 함께 하는 두 사람의 모습이 봄 햇살처럼 따스해 보였습니다. 꿈오리 한줄평은 은호가 동생 현호에게 "자기 자신을 좀 더 잘 들여다볼 수 있는 용기, 기꺼이 세상을 경험해 볼 용기"를 주고 싶어 보낸 문장으로 대신합니다.

 

현호야, 행복하니? 지금 행복할 줄 알아야 나중에 행복할 수 있대. 지금 행복하자. p.24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