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 신화는 처음이지? 자음과모음 청소년인문 12
김남일 지음 / 자음과모음 / 2020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글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세상은 처음에 어떻게 만들어졌을까요? 인간은 언제 어떻게 생겨났을까요? 민족의 시조는 누구이고 나라는 어떻게 세워졌을까요? 까마득한 그 시절의 이야기를 우리는 어떻게 알 수 있을까요?

 

신화는 역사로 기록되지 않은 모든 시절, 바로 그 '까마득한 날'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본문 중~ “

 

우리 민족의 건국 신화인 단군신화 그리고 그리스 로마 신화는 아마 모르는 분들이 없을 것 같은데요. 그럼 아시아 여러 나라의 신화에 대해서는 얼마나 알고 있나요?

 

'아시아 신화는 처음이지?''1장 세상이 처음 생겼을 때', 2'인류 탄생의 비밀을 찾아서', 3'인간, 시련을 극복하다', 4'인간과 자연의 아름다운 공존', 5'인간의 탐욕이 불러온 재앙', 6'영웅을 만든 민족, 영웅이 만든 나라, 7'죽음과 맞서 싸운 영웅들'까지 일곱 가지 주제로 아시아 신화가 처음인 십대들을 위해 아시아 여러 나라의 옛이야기를 담아낸 책이에요. 유럽 신화가 신들의 세계에 대한 이야기라면 '아시아 신화는 처음이지?'는 인간들 중심의 이야기라고 할 수 있어요. 그만큼 조금 더 친근한 이야기라고 할 수 있을 텐데요.

 

인간은 대체 왜 태어난 걸까요?

옛날 사람들도 이런 질문을 던졌을 것입니다.

각 민족은 신화를 통해 자기들만의 방식으로 이에 대한 답을 구합니다. 본문 중~“

 

오늘은 제2'인류 탄생의 비밀을 찾아서' 중 우리에게도 친숙한 '박에서 나온 인류'에 대한 이야기를 소개해 드립니다.

 

고구려의 시조인 주몽, 신라의 시조 박혁거세, 신라의 4대 왕인 탈해왕, 가야의 김수로왕은 모두 알에서 태어났다고 하죠? 창세신화 중에는 이렇게 알에서 인류가 나왔다고 하는 난생신화의 비중이 꽤 높다고 하는데요. 라오스 라오족의 신화를 들어볼까요?

 

까마득한 옛날, 세상은 아주 울창한 밀림으로 덮여 있었어요. 햇빛 한 점 들어오지 못할 정도로 빽빽한 밀림, 그곳엔 사람도 짐승도 없고 오직 하늘에 신들과 정령들만 있었지요.

 

어느 날 하늘의 신들이 세상에는 사람들이 살아야 한다며 자신들의 추종자인 쿤 보롬을 내려 보냈는데요. 그때 밀림에서 덩굴 하나가 뻗어 오르더니 금세 숲을 뚫고 하늘까지 닿도록 자라났고 그 곳에 박 하나가 열렸어요. 그 박이 어찌나 큰지 햇빛을 다 가려서 한 치 앞을 내다볼 수가 없었지요.

쿤 보롬은 하늘의 신들에게 도움을 요청했고 신 중의 신인 프라 인이 다른 신들에게 명령하여 덩굴을 자르고 박에 구멍을 내도록 명령했어요. 덩굴을 자르자 지상은 아주 밝고 행복한 장소가 되었지만 박에 구멍을 내는 것은 쉽지가 않았지요.

 

신들이 끝을 달군 쇠꼬챙이로 구멍을 뚫었지만 박속에 있는 인간들이 나오기에는 구멍이 너무 작았어요. 그래서 도끼로 구멍을 내서 인간들이 밖으로 나오게 되었지만 쇠꼬챙이가 박 속으로 들어갔을 때 박 안이 타면서 그을음을 만들고 말았어요. 그래서 가장 먼저 나온 덩치 큰 형제들은 살갗이 흰 인간들이었지만 뒤늦게 나올수록 그을음에 몸을 비벼대서 점점 까매졌어요.

 

지만 피부 색깔은 아무 문제가 되지 않았어요. 그들은 모두 하나의 박에서 나온 형제자매였으니까요. 그들은 세계 곳곳에 흩어져 인류의 조상이 되었는데요. 그들은 그들이 사는 곳의 기후에 적응하고 그곳에 어울리는 관습을 만들었어요. 당연히 저마다 독특한 풍습과 문화가 생겼지요. 중요한 것은 어디서 어떻게 살든 모두 하나의 박에서 나온 형제자매라는 사실이죠.

본분 요약~“

 

그리고 정말 많은 이야기들이 있지만 그중 유독 눈에 띄는 신화 속 영웅이 있는데요. 바로 메소포타미아의 대표적인 영웅 '길가메시'에요. 아마도 마동석이 마블 시리즈에서 맡은 역할이 '길가메시'라서 그런 것 같아요.

 

길가메시는 몸의 3분의 1이 인간이고 3분의 2가 신으로, 우르크라는 도시국가를 다스리는 왕이었습니다. 그는 친구와 함께 삼나무 숲을 지키는 괴물과 싸워 이기고 신이 보낸 하늘의 황소도 간단히 물리칩니다. 그렇지만 그도 100퍼센트 신은 아닙니다. 3분의 1이 인간이기 때문에 그에게도 피할 수 없는 운명이 다가옵니다. 바로 '죽음'이지요. 본문 중~”

 

'죽음과 맞서 싸운 용사 길가메시'이야기를 마지막으로 '아시아 신화는 처음이지?'는 끝을 맺는데요. 마지막 작가님의 말을 대신하며 인간 중심의 이야기 '아시아 신화는 처음이지?'를 마칩니다.

 

성패를 떠나 한계를 지닌 인간이기 때문에 늘 그 한계를 극복하려고 노력하는 것이야말로 인간으로서 마땅히 취해야 할 자세인 것입니다. 주어진 현실에 만족하고 모험을 두려워한다면 발전은 있을 수 없습니다. 인간은 스스로 끊임없이 문제를 제기하고 스스로 그에 대한 답을 얻고자 노력하는 존재입니다. 그래야 합니다. 세상에서 가장 오래된 신화 역시 우리에게 바로 이 점을 말해주고 있습니다. 그래서 더 감동적이지요. 본문 중~”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