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관벌레와 도서관벌레 / 육아는 과학이다>를 읽고 리뷰해 주세요.
-
-
육아는 과학이다 - 아기 돌보기부터 훈육까지 뇌 성장.발달별 육아 과학
마고 선더랜드 지음, 노혜숙 옮김 / 프리미엄북스 / 2009년 8월
평점 :
품절
예전에 우리 부모님 시대에는 결혼해서 자식을 낳고 잘 먹고,
잘 키우면 그만이라고 생각했었는데
요즘 같이 한가정에 한 자녀씩 낳아서 키우며 조금 남다른 육아를 위해서
많은 엄마들이 많은 육아서와 함께 성장 발달별로 아이들이 자라면서
필요한 환경과 적절한 교육을 위해서 자녀에게 많은 시간을 투자한다.
그런 시간이 부모 자신이 투자하는 경우도 있겠지만,
대부분 교육기관에 의뢰되어 아이들을 교육하는 경우가 대부분인다.
그러나 부모가 아닌 그런 교육기관에 의뢰해서 아이들을 교육할때
학습적인 부분, 인지적인 부분등은 교육 받은 만큼 높은 결과로 그 성과를 알수 있겠지만.
아이들의 뇌 성장 발달과 어느 상황일때 아이들의 뇌의 반응에 대한 것은
모르고 그냥 지나치는 경우가 대부분일것 이라 생각한다.
<육아는 과학이다>를 읽기 전에는 아이들의 뇌 발달과 뇌 성장에 대해서
생각해 본적이 한번도 없을 정도였다.
책을 읽고,,, 아이의 욕구에 따른 불만족스러움, 그리고 욕구 충족을 제대로 못 시켜준것
같아 아이들에게 약간 미안한 마음이 든다.
아이들을 키우면서 때로는 울어도 달래주지도 않고, 그 고집을 꺾어야 한다는
생각으로 그냥 방치하는 경우가 있었는데... .. 그런 부모의 행동이 잘못된 행동이었다는
것을 반성하게 되었고,
아이들도 아이들 나름대로 스트레스를 받고, 마음의 위로와 충분한 타협과 안정을
취하지 않으면 뇌의 변화가 급속도로 불안정한 상태로 되어진 책속의 뇌 사진을 보면서
조금더 아이에게 관심을 갖고,
아이의 입장에서 눈 높이를 맞추어야 겠다고 생각했다.
때로는 내 아이라고 해서 조금 막 대할때도 있었지만,
아이들의 눈에 비친 ... 그리고 아이들이 생각한 우리 엄마의 모습은 어떤 모습일까? 하는
생각을 해보며 스스로를 반성해 보게 되었다.
초등학교에 들어가면 위탁기관에서 맡아져서 자라난 아이들과
엄마가 키운 아이들의 모습은 그 행동에서 확연하게 틀리고 구분되어진다는
말을 어디선가 들은것 같다.
그만큼 부모의 사랑을 많이 받은 아이들은 안정감이 있다는 뜻일거라는 생각이 든다.
아이들을 키우는 부모이자 엄마로써 조금더 아이들에게 사랑과 관심을 가지고
정서적으로 안정된 아이들로 성장하길 바라면서 책을 읽어내려 갔다.
<육아는 과학이다>는 육아지침서로 아이를 키우는 부모라면 꼭 읽어봐야할
필독서인것 같다.
아이들이 느끼는 감정, 분노, 불안, 아이들과 함께 할수 있는 놀이등을 잘 알수 있고,,
아이들이 말을 배우기전 울음으로 표현할수 밖에 없는 이유를 잘 몰랐지만
이제는 잘 알수 있을것 같고, 지금부터라도 온전한 성인으로 성장할때까지
아이의 욕구불만을 잘 충족시켜주고,
이해할수 있는 ...
아이들의 눈에 비춰진 멋진 엄마이고 싶은 마음이고 싶다.
엄마의 마음과 아이의 마음을 잘 읽어주는 육아지침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