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관벌레와 도서관벌레 / 육아는 과학이다>를 읽고 리뷰해 주세요.
도서관벌레와 도서관벌레 맛있는 책읽기 9
김미애 지음, 마정원 그림 / 파란정원 / 2010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을 읽으면서 결과만 중시하는 교육 환경에 대해 씁쓸함을 느꼈다.

눈에 보이는 등수..

그리고 점수를 매기기에 급급한 부모와 교육환경...

아이들의 답답한 마음을 ... 그리고 그 스트레스를 어디다 풀어야 할까??

책을 읽는 내내 마음이 갑갑했는데... 

스스로 도서관에서 책을 읽으면서 찾은 기쁨을 보고 동우가 우리 아이인 마냥

다행이다 싶은 생각이 들었다.  

 



 

아무리 열심히 공부를 해도 2등을 벗어나지 못하는 동우..

동우는 엄마의 등살에 떠밀려 문제집을 풀고, 프린트해 준 문제들도 풀어보지만.. ..

1등은 늘 영수의 차지이다.

 

모든 시험, 그리고 글짓기 대회에서 1등은 늘 영수..

그리고 2등은 동우이다.

동우는 학교 독서 퀴즈대회에서 1등을 한 적은 있지만.. 그 이외의 모든 결과는 만년 2등..

그나마 독서 퀴즈 대회도 엄마가 인터넷 사이트를 뒤져 찾아낸

책의 줄거리 요약과 중요한 부분만을 달달 외워서 출전했던 터라..

책도 교과서라 생각하고 재미없게 시험을 위한 기계처럼 달달 외워서 1등을 하게 되었다.

 

1등인 영수가 어떤 문제집과 어떻게 공부를 하길래 매번 1등을 할까??

엄마와 함께 영수를 따라해 보기로 했다.

엄마는 영수의 엄마를... 동우를 영수를 따라 다니며 하루 일과를 어떻게 보내는지

지켜보기로 했다.

 



 

나름 라이벌이라 생각했던 영수는 쉬는 시간에도 .. 그리고 방과후에도

바람같이 사라져서 찾기 힘들었지만... 영수가 가는 곳은 학교의 도서관..

도서관에서 책을 읽으며 시간을 보내는 도서관 벌레이다.

 

도서관에서 책만 읽은데 어떻게 1등을 놓치지 않을수 있을까??

동우가 느끼는 모든 책들은 그저 달달 외우기만 하는 교과서 쯤으로 생각했던 터라..

책만 봐도 지긋지긋함이 전달되는 것 같았다.

하지만 책을 읽다보면 자연스럽게 머릿속에 정리되고,, 기억되고,,

따로 공부하지 않아도 되는 것을 친구 영수를 통해 알게 된 후로 부터는

도서관 벌레인 영수와 함께 도서관에서 책을 읽는 도서관 벌레가 되었다.

 

<도서관 벌레와 도서관 벌레>는 독서가 얼마나 좋은 것이며

도서관이 좋은 곳이란 것을 알려주는 동화인것 같다.

아직까지 책 보다는 텔레비젼을 더 좋아하고,, 게임을 더 좋아하는 아이들이 많겠지만

도서관의 책들은 늘 누군가의 손길을 애타게 기다리고 있을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들었다.

 

책속엔 도서관에서 지켜야할 예절과...

우리 동네에서 가까운 곳의 도서관 안내도 잘 나와있어 주말에 아이들과 함께

도서관에서 책을 읽어보는 것도 좋을 것 같았다.

 

책 읽는 재미..

그것도 습관이라고 생각한다.

책 읽는 습관이 잘 길러진다면 어떤 공부든 모두 잘 할수 있지 않을까?

책을 읽으며 집중력이 늘어나고, 기본 상식도 풍부해지고,

무엇보다 국어실력이 향상되어서 창의력을 요구하는 문제들을 잘 이해하고

답하지 않을까?? 하는 나름대로의 독서의 필요성을 정의해 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