쇼호스트 엄마와 쌍둥이 자매의 브랜드 인문학 특서 청소년 인문교양 14
김미나 지음 / 특별한서재 / 2022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출판사로부터 무상으로 책을 제공받고, 제 느낌을 남깁니다.

~~ “‘산다’는 것은 끊임없이 무언가를 ‘사는’ 것이다” ~~ 명품과 브랜드 제품에 관심이 많은 은서, 브랜드를 따지기보단 합리적인 소비를 해야 한다는 현서, 그 둘을 중재하는 쇼호스트 엄마의 ‘브랜드 썰전’이 펼쳐진다.

명품은 정말 ‘돈값’을 할까? 세상을 바꾸는 브랜드는 무엇이 있을까? 나의 가치를 높이는 ‘퍼스널 브랜딩’이란 뭘까? 브랜드 시장의 ‘예비 큰손’인 십대들에게 꼭 필요한 이야기만 알차게 담아냈다. ~~ 사전적인 ‘브랜드’의 정의에서 벗어나 ‘퍼스널 브랜딩’까지 폭넓게 다루는 『쇼호스트 엄마와 쌍둥이 자매의 브랜드 인문학』은 청소년들이 다른 사람과 차별화되는 자신의 장점을 찾고, 그것을 자신만의 브랜드로 만드는 기회가 되어줄 것이다. [인터넷 교보문고 제공]

브랜드

종이 몇장을 겹쳐서 고정하려할 때 우리는 책상에서 '호*케*'를 찾습니다. 만약 책상에 없다면 주변사람들 다 들으라고 조금 크게 말하죠. '누구 *치*스"있으면 잠깐 빌려주세요.' 이 '호*케*'라는 것이 특정 회사의 제품명이고, 원래는 '스테이플러'라고 해야한다는것은 익히 알려진 사실입니다.

비슷한 예는 조금만 생각해보면 충분히 많습니다.

섬유유연제는 '피*'. 설거지할때는 '퐁*. 혹은 '트*로' .빨레할때는 '슈*타*'...

TV광고를 통해, 해당 행위에는 이 제품이 좋다는 각인이 되어있기에, 대부분의 사람들은 우선적으로 해당 상품에 눈길이 갑니다.

다른회사의 비슷한 효능의 제품이 있지만, 처음보는 혹은 잘 모르는 회사이름이기에 선뜻 손이 가지 않습니다.

PL상품

'유통업체의 우수한 품질과 상품기획력이 강화된 자체 제작이나 기획 상품으로, 유통업체의 브랜드를 붙여 판매하는 상품이다.' 라고 합니다.

대형마트에 가면 '그 마트'에서만 구매가능한 물건들이 많습니다.

오래지 않은 과거에 특정 컵라면을 먹기위해 특정 브랜드의 편의점에 가는 경우를 보았습니다. 이제 많은 사람들이 광고를 통해 머리에 각인된 브랜드가 아닌 각 제품의 특성을 파악하고 그 제품을 찾는 경우가 많아졌습니다.

잘 모르는 회사의 제품이지만, 국가에서 여러가지로 인정하고 부착해준 마크들.

식품안전관리인증기준 - 'HACCP,해썹'. 소비자중심경영인증 - 'CCM' 같은 인증마크가 있는 제품이라면 도전합니다.

유통업체에서 만든 PL상품은 조금은 낯선 도전입니다.

평생을 학생을 가르치던 선생님께서 식당을 창업했다면, 선뜻 들어가기 어려울 겁니다.

하지만, 선생님의 과목이 식품영양학같은 음식관련 과목이라면 생각이 조금달라집니다.물론 많은 시간을 주방에서 현장경험을 쌓은 보조주방장의 식당과는 다르겠지만, 오랜시간 학생을 가르치며 느끼고, 생각했던것이 반영된 식당이라면 먹어볼 의향은 충분하다고 생각합니다.

오랜 역사를 가진 자체 '브랜드'만으로도 믿음이 가는 회사는 분명히 존재하고, 그 이유도 분명 있습니다. 수많은 연구진의 거듭된 실패를 지나 완성품을 출시하였으니 대중들이 거부할 확률은 지극히 낮을겁니다.

하지만,세계에서 알아주는 회사의 제품을 만들기 위해서는 수많은 부품이 필요하고, 그 부품을 오랜시간 만든 작은 규모의 회사들도 있습니다. 그들이 오랜시간 축적된 기술을 활용하여 자체 브랜드를 만든다면, 대기업의 제품과 성능면에서 크게 차이나지는 않을겁니다.

대량으로 의류를 생산하여 저렴한 값으로 판매하는 회사.

하지만, 106p. 청바지 하나를 만드는 데 7,000리터, 티셔츠 한 장에는 2,700리터의 물이 필요합니다. 그렇게 만든 옷을 100% 판매하는것도 아닙니다. 많은 양의 옷이 포장지도 벗겨지지 못한 채 폐기되는 경우가 많다고 합니다. (한해9,200만 톤의 의류가 폐기)

수많은 물과 화학약품을 사용하는 의류공장 주변의 환경은 어떻게 될까요?.

버려지는 자원을 재생하고, 재활용하여 환경을 보호하며 제품을 만드는 회사들이 늘어나고있으며, 높은 가격임에도 많은 판매가 이뤄지고 있습니다.

브랜드

TV 광고에서 내가 좋아하는 연예인이 구매하라고 하는 제품이 아닌.

제품의 품질을 따지고, 생산과정까지 알아보는 똑똑한 소비자가 늘고 있습니다.

국내에서도 선거가 끝난 후 버려지는 현수막을 이용한 제품들도 많이 있으며,

투명한 펫트병만 따로 모아 새 제품의 재료로 활용하고 있습니다.

그렇게 만들어진 제품들은 입소문을 타고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며

또다른 '브랜드'가 되고 있습니다.

152P. 물론 착한 브랜드라고 사람들이 무작정 밀어주는 건 아닙니다.

브랜드의 매력은 제품에서 나오는 것임을 제조사도 알아야 할 것입니다.

이름으로 알려진 '브랜드'와

제품으로 알려진 '브랜드'의 차이를 알고, 제품을 선택한다면

환경을 생각하고, 미래를 걱정하며 제품을 만드는 '착한 기업'은 늘어날것 같습니다.

착한 기업은 현명한 소비자가 만들어가는것 같습니다.

08p.

산다는 건 '산다'는 것이다. ~~ 물건의 가격표가 그 주인의 품격의 완성도와 라이프스타일의 등급을 대변해주는 시대는 이미 (적어도 나에게는) 지나갔다. ~~ 독자들이 브랜드를 보는 '눈'을 기르고 브랜드가 '나'에게 갖는 진정한 의미를 고민하는 계기를 만들어줄 수 있다면 또 한권의 새로운 책을 세상에 내어놓는 나에게 더없는 '생산의 이유'가 될것이다 2022년 3월 김미나

#쇼호스트엄마와쌍둥이자매의브랜드인문학 #김미나 #특별한서재 #업사이클링 #리사이클링 #재활용 #새활용 #세짝양말 #선한영향력 #가치소비 #미닝아웃 #탄소중립













물론 착한 브랜드라고 사람들이 무작정 밀어주는 건 아닙니다.

브랜드의 매력은 제품에서 나오는 것임을 제조사도 알아야 할 것입니다. - P15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