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리천장 아래 여자들 - 여성의 노동은 왜 차별받는가
아이린 파드빅.바버라 레스킨 지음, 황성원 옮김 / 아날로그(글담) / 2021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소개


왜 여성의 임금은 더 낮고 승진은 어려울까?

전 세계 노동 성차별의 원인을 밝히고 그 해법을 찾다!


현대의 노동시장은 20세기에 비하면 남녀 노동자를 평등하게 대하는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이는 어디까지나 상대적인 비교일 뿐, 노동시장의 성차별은 지금도 여전히 존재한다. 이 책에서는 노동 환경에서 나타나는 성차별의 원인과 그 현상을 구체적인 통계와 다양한 사례를 바탕으로 살펴보고, 해결 방안을 소개한다.


현대에는 여성과 남성이 같은 수준의 교육을 받고 실제 업무 현장에서도 동등한 능력을 보이지만, 현실의 사례를 살펴보면 여성 노동자는 남성 노동자에게 미치지 못하는 수준의 임금을 받는 것은 물론 유리천장에 직면해 승진에 어려움을 겪으며, 심지어 가정에서는 가사 노동의 주된 책임을 떠맡는다. 아이린 파드빅과 바버라 레스킨은 오늘날 우리가 노동시장에서 직면하는 성차별 현상이 이 역사적으로 어떻게 형성되고 고착화되었는지 그 기원을 쫓는다. 그리고 이러한 사회적 통념이 만들어낸 현대 여성 노동자에 대한 승진과 권한의 제한, 그리고 임금격차 문제의 원인과 해결책을 찾는다. 마지막으로 노동자들이 가정과 일을 동시에 꾸려나가야 하는 노동자들이 어떻게 가정과 일터 사이의 갈등을 조율할 수 있을지 그 방안을 모색한다.


[인터넷 교보문고 제공]


#협찬도서 를 받아, 인류문제를 생각해봅니다.


원시시대

먼 곳으로 이동하여 동물사냥을 나가는 남자들. 삶의 터전 근처에서 식물채집하는 여자들.

과거에는 그렇게 살았다고 배웠습니다. 학교에서 배웠으니 맞는거겠죠?.

장거리를 이동하여 힘이 쎈 동물과 싸워서 이긴다면 그 동물을  가지고 삶의 터전으로 이동하겠죠.

아마도 그 동물은 토끼,혹은 염소같은 동물은 아니었던것으로 기억합니다.

키가 몇미터는 되고, 무게도 몇 톤정도 되는 공룡?.사람 개인이 상대해서는 절대 이길 수 없었을겁니다. 원시인들이 무리를 지어 살면서 힘을 모아 사냥을하고 나눠먹으며 살았겠죠?.

그런 힘쓰는 사냥을 할 때. 기본체력과 힘이 되는 남자들이 나섰을 겁니다. 장거리를 이동하는동안, 사냥을 하는동안 많은 힘이 필요하니까요.남아있던 여자들은 근처에서 채집을하며 먹거리를 모았다고 합니다. 똑같이 먹을것을 갖고오지만, 배부른 고기를 잡아온 남자들이 디저트격인 채집한 먹거리를 모아온 여자들 보다는 부족사회에서 입김이 더 쎄고, 결정권도 많았을 겁니다.


산업사회

원시인에서 인간이된 이후의 경제활동에도 큰 변화는 없어보입니다. 공장에서 무거운 기계를 다루거나, 광산에서 삽으로 광물을 캐거나, 거친 바다에서 물고기를 잡는일. 아직까지도 힘이 우세한 남성들의 많은 일을 합니다. 배타고 한번 출항하면 몇개월씩 바다생활을 하는 원양어선.남자가 원양어선탄다고 하면, '힘들고 고생하겠지만, 목돈은 만지겠네' 라고 말하지만, 여자가 원양어선탄다고 하면,'왜,밥하고 빨래할 사람이 없대?' 라며 비아냥거리던 시기가 그리 멀지않은 과거입니다.

주로 나의 힘과 기계의 힘을 합쳐서 경제활동을 하기에 아직까지도 남자의 노동비중이 높기만 합니다.


산업혁명 이후

수많은 시간동안 남자와 여자의 역할을 구분지어 살아왔기에. 남자는 사회에서 일하며 돈을 벌고, 여자는 그런 남자를 서브하며 집안일을 한다는 생각이 머리속, 뼈 속까지 박혀있는 듯 합니다.

돌도끼 들고 사냥할때나 체력이, 체격이 필요합니다. 돌도구를 들고 농사를 지을때나 체력이, 체격이 필요합니다. 사람의 힘을 뛰어넘는 기계로 작업을 하는 요즘. 수많은 돌도끼를 운영하는것이 아닌 수많은 두뇌를 운영하며 사회생활을 하는 요즘.

과역 체력,체격이 무조건 필수요건일까요?. 

경제활동을하는 방식이 바뀌었다면, 사람들의 인식도 바뀌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방송매체에 나오는 유명한 음식점의 탑셰프님들은 대부분 남자로 기억합니다.

미술관장이나 예술분야의 수장들 역시 대부분 여자로 기억합니다.

그렇다면,

일반 기업이나 다른 경제활동에서 여자가 수장인 경우는 없는걸까요?.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방송매체에 나오지 않을 뿐 수많은 곳에서 탁월한 리더쉽으로 조직을 운영하고 있을 겁니다.

하지만 일반 기업에서는 여자의 승진은 '저기'까지라고 은연중에 못 박아놓기도 합니다.

여자는 결혼하면 가정에 충실해야해서 회사는 뒷전이라는 생각. (남자는 무조건 반대의 경우일까요?)

남자는 취업하면 회사에 충실해야해서 가정은 뒷전이라는 생각. (여자는 무조건 반대의 경우일까요?)


유리천장 아래여자들

이 책을 읽기 전까지 '성별'과 '젠더'를 구분하지 못했습니다. 

아니 지금도 헛갈리기는 합니다. 만.

'성별 구분이 반드시 성 불평등으로 이어지지는 않지만, 성별 구분은 불평등 시스템의 필수 요소다'

라는 말의 정확한 뜻을 이해하지는 못했습니다. 만.

tv프로그램에서 본것처럼, '여의사','여교수' 처럼 특정직업을 여자가 갖고있으면 이상하다는 생각이 잘못된것이라는 생각만금은 확실히 각인되었습니다.

얼마전에 '82년생 ***'이라는 영화가 언론에서 한창 시끄러울때 제 친구가 말했습니다.

본인 : '그 영화 봤냐?. 페미니즘이라고 한창 시끄럽던데'

친구 : '그게?. 그냥 아픈 사람이야기던데'

녀석을 30년 넘게 알고지냈지만 역시 녀석다운 답이었습니다.

어떤 일을 진행하는 사람이 있다면 그저 사람으로 보면 될것을 '여자가 그런걸 한다고?'. '여자가 어떻게 그런일을 해?' .'여자가 할 수 있겠냐?' 라는 생각은 돌도끼들고 무리지어 뛰어다니던 그때의 사람들에게나 어울리는 생각이라 느껴집니다.

사람 그 자체를 보고, 섣불리 생각하고 판단하지 않는다면, 편견없이 사람을 대한다면.

우리사회는 완전히 다른 5차 산업혁명을 이룩할것 같습니다.



#유리천장아래여자들 #아아린파드빅 #바버라레스킨 #글담 #유리천장 #여성인권 #임금차별 #성차별 #남녀차별 #고정관념 #성역활 #성불평등 #젠더갈등 #페미니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