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리츠스케일링 - 단숨에 ,거침없이 시장을 제패한 거대 기업들의 비밀
리드 호프먼.크리스 예 지음, 이영래 옮김 / 쌤앤파커스 / 2020년 4월
평점 :
품절


책소개

빌 게이츠 강력 추천

CEO 선정 스탠퍼드대 최고의 스타트업 명강의

“행동이 필요한 기회의 창은 대단히 좁고 빨리 닫힌다.

단 몇 개월만 망설여도 도망가는 자와 쫓는 자의 격차가 벌어질 수 있다.

리드 호프먼과 크리스 예의 아이디어들은 압도적으로 현실적이다.” _빌 게이츠


블리츠스케일링(BLITZSCALING)은 불확실한 상황에서 위험을 감수하더라도 엄청난 속도로 회사를 키워 압도적인 경쟁우위를 선점하는 기업의 고도성장 전략을 말한다. 기습 공격을 의미하는 ‘블리츠크리그(BLITZKRIEG)’와 규모 확장을 의미하는 ‘스케일업(SCALE UP)’의 합성어로, 링크드인 설립자 리드 호프먼이 스탠퍼드대 스타트업 특강을 계기로 미국 전역에 화제가 되면서 널리 알려지게 된 공격적 비즈니스 개념이다. 이미 아마존, 구글, 에어비앤비 등에 의해 검증된 전략으로, 경쟁자를 빠른 속도로 제압함으로써 시장의 우수한 인적·물적 자원을 흡수하고 브랜드 인지도를 각인하며, 결국 시장을 독점하는 것이 전략의 골자다.
~
이 책은 비즈니스를 설계하는 방법부터, 속도전을 감행했을 때 맞닥뜨리게 되는 위험 관리, 조직의 규모에 따른 단계별 체계 등 블리츠스케일링의 모든 것을 알려준다. 또한 블리츠스케일링을 언제 시작하고 멈춰야 하는지 적재적소의 타이밍을 알아보는 안목도 길러준다. 링크드인 설립을 비롯해 투자자로서 실리콘밸리의 굵직한 블리츠스케일링의 경험을 해왔던 리드 호프먼의 생생한 비즈니스 인사이트가 매우 인상적인 책이다.

[인터넷 교보문고 제공]


책소개글을 보면, 일반인들(회사의 CEO, 임원, 작은 규모의 회사의 대표를 제외한 대부분의 사람들을 지칭합니다.)은 펼쳐볼 일 없는 책처럼 느껴진다.

아니, 어떻게 보면 그사람들조차 찾아보지 않을 묵직하고, 복잡한 책처럼 느껴진다. 마치 재계서열 몇위에 드는 회사의 임원들만 읽을 필요가 있을 것 처럼.


1980년대에는 CD플레이어를 들고다니면서 음악을 들었다. 그 이전에 카세트 테이프를 이용해서 음악을 들었지만, 값도 싸고 휴대성도 좋았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테이프의 장력이 약해져서 초기의 음질만 못해지는 단점이 있다.그래서 조금 더 돈을 주고 CD를 사서 들었다.당시 플레이어는 대부분 일본제품이었다.삼성과 엘지제품도 있었지만 내구성도 약하고, 음질이 안좋아서 음악을 좋아하는 몇몇 사람들은 일본제품을 사용했다.


1990년초반에 길가에 공중전화가 많았지만 업무상 외근이 많은 직장인들이 핸드폰을 살때도 우선적으로 생각하는 메이커는 모토롤라같은 일본제품이였다. 국산핸드폰은... 이라는 생각으로.


1980년대, 그리고 90년대 제품은 다르지만 모두 일본제품을 우선으로 생각했었다.

당시 일본의 하청업체같았던 우리나라 회사제품은 뒷전으로 밀려났었지만.

반도체를 시작으로, 스마트폰까지 몇몇사람들을 제외하고는 일본제품보다는 국산제품을 사용하려한다.핸드폰만 봤을때 삐삐>시티폰>PCS폰>핸드폰>스마트폰으로 오는 동안 국내 회사들은 공격적으로 투자하여,연구,개발끝에 일본제품을 넘어섰다. 핸드폰 초기만 하더라도 엘지와 삼성의 격차는 심하지 않았다. 결국 삼성은 국내 1위를 넘어 세계1위인 애플과 경쟁하기에 이르렀다.

반도체값이 하락하고 있지만 공격적으로 투자하는 국내기업들. 세계상위 점유율을 갖고있지만 끊임없이 투자,연구하는 국내 대기업을 보면 "기습 공격을 의미하는 ‘블리츠크리그(BLITZKRIEG)’와 규모 확장을 의미하는 ‘스케일업(SCALE UP)’"의 합성어인 블리츠스케일링(BLITZSCALING)를 잘 실천하고 있는 듯 하다.


초반에 말햇듯이 회사의 CEO, 임원, 작은 규모의 회사의 대표를 제외한 대부분의 사람들과는 상관없는 내용 맞네.

라고 생각하신다면 아닙니다. 생각을 조금 틀어서 키워봅시다.


우리나라는 퇴직 후 자영업으로 많이 이동합니다.

커피전문점이 잘되는듯하니 바리스타 자격증따서 커피전문점.

대왕카스테라가 잘팔린다하니 나도 가쟁점창업.

곱창가게 마진이 좋으니 나도 곱창집을 차립니다.

문*이과 나와도 결론은 치킨집사장.이란 말처럼 이도저도 아니면 치킨집으로.

남들 따라하다보니 수익은 예상보다 적습니다. TV예능에서 백종원씨가 입버릇처럼 말하는것.

"굳이 여기와서 먹을 이유가 없는맛"으로는 안된다. "나만의 특색이 있어야 한다."

우리 일반인들도 블리츠스케일링을 잘 생각해야한다고 느낀 부분입니다.

물론.힘들게 모은 퇴직금으로 모험을 하기란 쉽지 않지만, 어설프게 남들따라가다가 도태되는 것 보다는 틈새시장을 노려서 나만의 특색을, 제품을 만들어 시장을 선도하는 것이 좋을것 같습니다.


매운맛이 한창 유행이었던 때에, 대박집 음식을 먹고나온 사람들이 입가심거리를 찾는것을 보고,

바로옆에 아이스크림가게를 차려서 대박난 사람이 있다는 기사를 본적이 있습니다.

블리츠스케일링은 세상모든 사람에게 필요한것 같습니다.


출판사로부터 무상으로 책을 제공받아 미래를 생각해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