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떻게 하면 수학을 잘할 수 있을까?
김용주 지음 / 지식과감성# / 2018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수학.

학생에게는 끔찍하게 듣기싫은 단어일테고, 일반인은 상관없는,생활에 쓸일이 없는 단어일 것이다.

공부시간중에서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과목이 수학일 것이다.

암기과목은 공부한 티가 바로 나지만,이 수학이라는 과목은 아무리 공부를 해도 공부한 티가 잘 안난다.

나 역시 야간 자율학습 시간에는 (앗.나이를 가늠할 수 있는 단어네) 수학의 정석만 붙잡고 있던 기억이 있다. 나뿐 아닌 대부부의 아이들이 맨투맨 영어공부아니면 수학의 정석을 공부했었다.

왜,우리는 수학공부에 열심인 걸까?

저자는 '수학 공부에는 왕도가 없도, 수학의 왕도는 있다'고 말한다.

수학은 세상의 이치를 배우는 학문.이란다.


본문 중에

수학 문제 해결을 위해서 가장 중요한 것은 수학의 기본 개념과 공식,용어의 정의,기호 등이 완벽하게 이해되어 있어야 한다. 하지만 이런 것들을 완벽하게 이해하고 있어도 복잡한 수학 문제가 능숙하게 풀리지는 않는다. 이런 문제들을 능숙하게 풀기 위해서는 다양하고 특수한 유형의 문제풀이 방법까지 암기가 되어 있어야 한다.모든 것을 암기하기는 불가능하지만 어느 정도의 유형을 알고 있으면 이를 바탕으로 처음 접하는 유형의 문제도 풀 수 있게 된다. 처음 보는 유형의 문제는 많이 생각하고 다양한 각도에서 문제를 분석하여 실마리를 찾아야 한다. 


기본 개념과 공식등은 수업시간에 선생님께서 설명해주신다.그걸 바탕으로 문제집을 풀며 실전대비를 한다.큰 틀은 공통적이겠지만 각 문제집마다의 특성이 있어 문제풀이 접근방법이 조금씩 다른것 같다.

친구중에 한명은 수학 문제집을 2권 사서 풀이하는걸 본적이 있다.

다양한 접근방식으로 완전하게 소화하는것 같다.나는 수학의 정석 한종류 풀기도 힘들었는데...

이렇게 공부하던 내가 초등학교2학년 따님의 수학을 가르칠때 크나큰 충격을 먹었다.

수학문제인데. 숫자보다 한글이 더 많았다.

도서관이 가까운 덕에 유치원때부터 이주일에 5권씩 꼬박꼬박 빌려와서 독서한 덕에 문장이해력은 좋은편이라 생각했는데, 그 안에서 숫자를 걸러내어 공식에 접목하는게 어려워 했었다.

공식에 접목하더라도 풀이의 진행이 더뎠다. 왜 이렇게 되는지 이해를 못할때는 "그냥 외워"라고 했다.

수학은 한계단 한계단 올라가면 정답을 만나야 하지만, 다음계단으로 못 넘어갈때는 풀이과정을 통째로 외우라고 했다.(비슷한 내용이 책에도 나오는 것을 보고 깜짝 놀랬다.)


이 책의 결론은 복습이다.

한번 푼 문제를 며칠 후 풀었을때 정답을 맞춘다는 보장이 없다는 거다.

하물며 풀이방식이 조금 달라지는 문제라면 정답맞출 확률은 더 떨어지겠지.


수학의 역사를 알려주어 흥미를 유도하고, 학생들이 고민하고있을 수학을 잘 하는 방법을 알려주고,

마지막에 수학능력시험 문제를 게제하여 실전을 대비시킨다.

지겨운 과목인 수학이 아니라,호기심으로 접근하여 문제를 푸는 성취감을 느끼길 바라는 저자의 마음이 '통' 하길 바래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