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의 알바 텍스트T 9
김태호 지음, 이예빛 그림 / 위즈덤하우스 / 2024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은 다양한 청소년 이야기와 현실적인 문제를 판타지적 요소와 섞어 풀어낸 소설집으로, 각기 다른 이야기를 통해 청소년들의 감정과 성장을 다루고 있다. 여러 가지 단편 이야기들이 모여 있는 이 책은 청소년들이 직면하는 다양한 상황과 감정을 현실적이면서도 때로는 판타지적인 설정을 통해 전달하고 있다.



'신의 알바'

이 이야기에서는 괴롭힘을 당한 피해자의 복수와 그로 인한 깨달음을 다룬다. 수민이는 중학교 시절 괴롭힘을 당하던 영지를 다시 만나게 되면서, 자신이 과거에 저지른 잘못을 깨닫게 된다. 영지가 겪은 고통과 그로 인한 변화는 수민이에게 강렬한 교훈을 준다. 피해자가 용서를 강요받는 상황 대신, 가해자가 자신의 잘못을 뼈저리게 깨닫게 하는 이 이야기는 독자에게 피해자와 가해자 관계의 복잡성을 깊이 생각하게 만든다.

'유학생 고준하'

고준하는 자신만의 공간에서 친구와 함께 첫사랑의 풋풋한 순간을 경험한다. 부모로부터 독립된 공간에서 친구와의 관계를 소중히 여기며 성장하는 과정을 그린 이 이야기는 독립성과 첫사랑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특히, 고준하가 친구들과 함께 보내는 시간과 그 속에서 느끼는 감정들이 현실감 있게 그려져 있어 독자의 공감을 자아낸다.

'지박령 열차'

지박령 한해정과 지민이의 이야기는 죽음과 삶, 그리고 미련과 원한에 대한 이야기를 담고 있다. 한해정의 고통과 원한을 통해 지민이는 자신의 삶을 되돌아보고, 다시 살아가기로 결심한다. 죽음의 경계에서 삶의 소중함을 깨닫는 이 이야기는 독자에게 깊은 감동을 준다. 특히, 한해정의 사연과 지민이의 결단은 죽음이 아닌 삶의 중요성을 다시금 일깨워준다.

'선녀 콤플렉스'

이 이야기에서는 가족과의 갈등, 특히 엄마와 딸 사이의 갈등을 중심으로 이야기가 전개된다. 선녀 설화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이 이야기는 엄마의 고향으로 돌아가려는 엄마와 현실에 남으려는 딸의 선택을 통해 가족의 의미와 독립의 중요성을 다룬다. 해라가 엄마의 손을 놓고 현실에 남기로 결심하는 순간은 독립과 성장을 상징하며, 독자로 하여금 자신만의 길을 찾는 용기를 북돋아 준다.

'콩'

베트남에서 온 여성 콩과 수호의 이야기는 사회적 약자와의 관계를 통해 사랑과 우정, 그리고 성장의 과정을 그린다. 콩과 수호의 우정은 서로의 상처를 치유하며, 콩이 떠난 후에도 수호가 성장하는 과정을 통해 진정한 우정과 사랑의 의미를 탐구한다. 콩과 수호의 이야기는 다문화 가정의 문제와 사회적 약자의 현실을 직시하게 하며, 독자로 하여금 서로의 차이를 이해하고 존중하는 중요성을 일깨운다.

'비의 경계선'

비의 경계선을 찾아 떠나는 김이주와 강현수의 이야기는 청소년의 문제와 갈등을 판타지적인 요소로 풀어낸다. 엄마와의 갈등으로 인해 비의 경계선을 찾아 떠나는 현수와 이주의 여정은 자신의 한계를 넘어 새로운 시각을 찾고자 하는 의지를 보여준다. 비의 경계선을 통해 일상을 잠시 벗어나 숨을 돌린 후 다시 일상으로 돌아가려는 이들의 이야기는 독자로 하여금 일상의 소중함과 회복의 중요성을 생각하게 만든다.



이 책은 다양한 이야기를 통해 청소년들의 현실적 문제와 감정을 깊이 있게 다루고 있다. 각기 다른 배경과 상황 속에서 성장해가는 청소년들의 이야기는 독자에게 공감과 감동을 준다. 특히, 판타지적인 요소와 현실적인 문제를 조화롭게 풀어낸 이 책은 청소년 독자뿐만 아니라 성인 독자에게도 큰 울림을 준다. 각 이야기마다 전달하는 메시지는 독자로 하여금 삶의 다양한 면모를 돌아보고, 성장과 치유의 중요성을 깨닫게 한다.

이 책은 청소년뿐만 아니라 모든 독자에게 자신을 돌아보고, 자신의 삶을 다시금 생각해보게 하는 깊은 여운을 남깁니다. "신의 알바"는 십 대들이 겪는 현실적인 문제와 갈등을 통해 독자에게 깊은 공감과 성찰을 제공하며, 성장통을 겪는 모든 이들에게 큰 위로와 용기를 주는 작품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