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메르의 거미
치넨 미키토 지음, 김은모 옮김 / 북다 / 2025년 7월
평점 :
“그 숲에 무언가가 있다” 아. 여름엔 호러물이지. 재밌는 점은 신화, 생물학, 호러, 의학 모든 장르가 있다는 책의 띠지다. 호러에 먼 장르가 다 있지?
꽤나 두꺼운 책이지만, 걱정마시라. 한숨에 읽게된다.
일본 신화. 모두가 출입을 꺼려하는 황천의 숲. 그곳에 들어가면 모두 죽는다는 신화가 있는 숲을 어느 회사가 개발을 시작한다. 그리고는 곧 모든 인부가 처참하게 도륙당해 죽었다. 경찰은 불곰의 짓이라고 판단, 대규모 불곰 포획을 시작한다. 불곰이 아니고서 성인 남자를 한번에 그렇게 죽일 생물은 없으니.
하지만 죽은 인부의 부검 중 이상한 점이 발견된다. 죽은 이들의 내장에서는 불곰의 유전자가 발견되었으나, 불곰이 죽였다고 하기에는 너무나도 예리한 자상이 발견되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사건을 조사하는 경찰은 불곰의 소행으로 단정짓는다.
이 사건을 접한 아카네. 아카네는 7년전에 해당 숲에서 가족이 실종되었다. 이 사건과 자신 가족의 일이 무관하지 않다고 판단, 불곰 포획작전에 포함된 지인인 가지와 함께 숲으로 들어간다. 그곳에서 발견된 아이. 사람의 능력이라 보이지 않는 아이의 행동들..2m를 가뿐이 뛰어오르고 죽은 곰의 내장을 먹는다. 겨우 아이를 진정시켜 병원으로 데려왔지만 아이는 계속해서 알수 없는 행동을 하고, 아이의 자궁에 있는 종양이 아이의 이상행동을 촉발시킬 수도 있다는 담당의의 결론에 따라 조직 절제를 결정. 외과의인 아카네가수술에 참여한다. 아이의 수술에서 발견된 이상조직. 분명 마취중이였던 아이가 갑자기 깨어나고, 조직도 암조직 같지 않다. 마치 태반같달까.
점점 알수 없는 이야기 속으로 들어가는 “이메르의 거미”는 오래동안 황천의 숲으로 전해지는 신화를 정면으로 파고든다. 왜 갑자기 사람들이 실종되고 사라지는 것일까. 아이의 몸속에서 발견된 그 조직은 무엇일까.
신화에서 시작해 호러로 들어가 지금부터는 생물학이다. 대체 죽은 이들의 몸의 날카로운 자상은 무엇일까. 책의 중반까지 무수한 의문으로 존재하는 이야기는 중반 이후부터 하나씩 던져두었던 떡밥을 회수한다.
시신에서 발견된 야광빛을 내는 거미. 그 거미와 다른 무언가와 섞인 수평생식. 거기에 더해 밝혀진 수많은 유전자들. 자연의 유전자 전달은 수직을 통해서만 이뤄나는데, 수평생식이라니.
그게 끝이 아니다!! 그리고 그것을 전달하는 매체는 다름아닌… XX다. 여기서 이말을 떠올리지 않을 수가 없다…스릴러의 정석!
’아무도 믿지말라…아.무.도.’
황천의 숲에 들어가지 말라는 어른들의 말은 옳았다. 신화가 과학이 되고, 호러가 되어도 어른들의 말은 옳다. 신화가 증명된다고해서 경고가 사라지지 않는다. 이 말의 의미를 아마 끝까지 읽는다면 알게될 것이다아!!
마치 고대에서 시작해 현대로 넘어가 미래까지 이어지는 요 요상한 호러물은 이런 케이스가 정말 있을지도 모르는 오싹함을 자아낸다. 으흐. 여름엔 이맛에 호러를 읽는 것이지.
재밌다.
“하프 음색과 같은 노래와 함께 ‘사람‘의 입에서 어렴풋이 반짝거리는 자잘한 결정이 쏟아져 나왔다. 인간은 결코 낼 수 없는 아름다운 선율과 푸르스름한 빛을 아카네와 오코노기는 황홀한 표정으로 받아들였다” p.2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