혼군 昏君 - 사리에 어둡고 어리석었던 조선의 네 군주들 내 인생에 지혜를 더하는 시간, 인생명강 시리즈 32
신병주 지음 / 21세기북스 / 2025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본 도서는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협찬 받아 개인적인 감상으로 작성한 리뷰입니다" 


읽지 않을 수 없었다. 지금의 대한민국에서 소위 위정자들이 보이는 행태가 너무나도 이상했기에. 우리가 역사를 배우는 이유는 같은 실수를 반복하지 않기 위함임을 알기에 말이다.
이 책은 조선시대의 4명의 혼군에 대해 말하고 있다.
이중 2명은 반정으로 시호조차 받지 못했고, 2명은 왕의 지위를 유지하였으나 후대에 혼군으로 분류된 자들이다.
재밌는 점은 지위를 유지한 쪽과 반정으로 물러남을 당한쪽이 서로에게 관련이 있다는 점이다.

저자가 처음으로 뽑은 인물은 단연코 누구도 이이를 제기하지않는 "연산군"
이 책을 통해 처음 알았는데, "연산군"은 조선시대의 적장자로는 세번째 왕이다. 첫번째는 문종이였으나, 왕으로서는 짧은 생을 살았고, 그다음은 단종이다. 연산군은 어렸을 때는 총명하였고, 아버지 성종은 어머니를 잃은 연산군을 꽤나 아꼈다. 하지만 연산군은 아버지와 달리 국정을 돌보고 끊임없이 학문을 공부하고 노력하는 스타일은 아니였었다. 그런 인물이 왕이 되어, 신하들을 상대하고, 그들과의 강연을 통해 끊임없이 군주로써의 자질을 갈고 닦아야하는 그 엄중함을 견뎌낼수 있었겠는가. 그는 점차 신하들과 의논, 대화하지 않으며, 군주로써 잘못된 점을 비판하는 말을 듣지 않았다. 그런 자리를 없애고, 자신의 뜻과 대치하는 자들을에게 화를내는 등의 행태를 보였다. 결국은  두번의 사화를 통해 쓴소리 하는 자들을 모두 죽였다. 무오사화은 사초를 트집잡아 시작했고, 갑자사화는 어머니의 죽음이라고 알고 있지만, 사실 연산군은 그 이전부터 친모의 죽음을 알고 있었다고 한다. 연산군 일기에 그런 흔적이 보인다고 하니, 결국 연산군은 말 잘듣는 인물만 남기고 싶었던 것.
그리고 그의 또다르 패착은 "장녹수"다. 장녹수는 연산을 사로잡아 그의 눈과 귀를 막았다. 그리고 소위 비선실세로써 인사권을 휘두르고, 사치와 향락을 즐겼다고 하니, 그와 그녀의 주변에는 오로지 간신만이 남은 상태. 오죽하면 반종이 일어났을 당시, 궁을 지켜줄 이조차 없었다고 하니,,

그리고 광해군. 장점과 단점이 뚜렷한 인물이다. 아버지로 인해 일찍이 왕으로써의 자질을 보였으나, 아버지로 인해 끊임없는 불안에 시달려야 했다. 백성을 사랑하고, 누구보다 백성을 위하는 인물이였지만, 자신의 가족은 믿지 못했다. 그래서 영창을 죽여야만 했고, 인목대비를 가둬야 했다. 그리고 자신의 왕위에 집착할 수 밖에 없었다. 대외적으로는 누구보다 훌륭한 면모를 보였으나, 시대를 따라가지 못한 신하들과 적장자가 아니라는 스스로의 약점을 벗어나지못해 안타까운 인물이다. 일장일단이 있는 인물로 저자는 말하고 있지만, 광해의 잘못된 행정을 논하는 부분에서도 나는 그저 안타까운 생각이 들었다. 

그리고 자리는 지켰으나 후대에 혼군으로 분류된 선조와 인조. 둘다 모두 전쟁과 관련이 있고, 임진왜란이 나고 병자호란이 일었을 때 왕으로써 보여야할 태도는 전부 저버리고, 국민을 속이고 가장먼저 피난한 인물들. 그리고 그 두려움을 잔인함으로써 보여준 인물들이다. 선조는 아들 광해와 유능한 신하 이순신에게. 인조는 아들 소현세자 일가에 그랬다. 읽고 있다보면 현재와 어찌 이리 비슷한 것인지. B급 인물은 절대 A급을 기용하지 않는다는 누군가의 말은 진짜 구나 싶었다. 선조가 이순신에게 보이는 열등감이 그러했다. 

역사는 역사로 끊나지 않는다. 노벨문학상을 받은 한강작가님의 연설에서 "죽은자가 산자를 도울 수 있는가"라는 말은 아주 오랜 과거에서도 의미를 갖는다. 역사는 지금의 우리에게 말한다. 이제는 제대로 보라고,, 말이다.
그리고 잘못된 과거의 청산은 제대로 해야 한다. 옳은 방법을 통해서. 그래야 같은 실수를 반복하지 않는다. 그것은 그것이 잘못되었다는 정당한 근거를 제공하고, 같은 실수를 우리 모두 되풀이 하지 말아야 한다는 다짐이기도 하다.

좋은 책.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