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참 괜찮은 죽음 - 살아 숨 쉬는 현재를 위한 생각의 전환
헨리 마시 지음, 김미선 옮김 / 더퀘스트 / 2022년 7월
평점 :
영국의 저명한 신경외과의가 쓴 책 "참 괜찮은 죽음". 원제는 모르겠으나, 의사가 썼는데, "참 괜찮은 죽음"? 이라는 제목이 낯설었다. 의사가 죽음을 괜찮다 말할 수 있는가.싶어서.
덧붙이자면, 이 제목은 의사로써 한 말이 아니다. 환자 가족의 입장으로 쓴 말이다.
책은 다양한 신경외과의 병명과 함께 얽힌 저자의 에피소드들로 구성되어있다.
개인적으로 의사라는 직업을 주제로한 드라마를 보면, 환자만 생각하는 의사, 오로지 병에 대해 연구하는 의사, 뭐 이렇게 의사라는 직업에 대해 굉장한 인류애를 기반으로 한 의사의 모습을 보여주는것이 태반인데(그래서 의학드라마를 개인적으로 별로 좋아하지 않는다.) 이 책은 의사로써, 환자로써, 환자의 가족으로써의 생각이 담겨있었다. 의사가 아니라, 인간으로 인간을 보고 있는 느낌이였다. 그래서 좋았다.
신경외과는 특히 뇌와 관련된 질병을 다루는 분야이다. 그러기에 수술이 잘되면 사는것이고, 조금이라도 이상이 생기면 최소 장애이고, 최악으로는 사망에 이르는 분야이다.(어쩌면 식물인간이 더 최악인걸까..) 그러기에 어떤 수술도 100% 안전함에 대한 보장이 없다.(이부분은 모든 수술이 다 그렇겠지.) 쉬운 수술에서도 난관이라는 난관은 모두 의사의 그때 그때 판단에 따라 결정되기에 그는 나이가 들어갈 수록 수술의 무게감이 커진다고했다.
수술이 잘 되어도, 환자가 깨어나 움직임을 보기까지 숨막히는 시간이 지속될 수 있고, 누가봐도 죽을 환자이지만, 수술을 해야 하는 경우가 있다고 한다. 환자의 가족과 환자가 원하기에, 그리고 끔찍한 고통속에서 죽어가는 것에 대한 두려움등으로 인해 말이다. 왜 그랬어야하는지 그들의 이야기를 듣지 못했다면 나는 아마 감히,, 그렇게까지 살아야했는가?라는 질문을 했을것이다. 어떤 상황인지도 모른체 말이다. 책을 보며 왜 그랬어야 했는지를 가슴아프게 아주 조금 이해할 수 있었다. 그 희망이라는 것이 어떤 것인지, 알 것 같았다. 감히... 말이다.
개인적으로 이 책이 인상깊었던 이유중 하나는 저자의 실수가 담겨있기 때문이다. 나의 잘못이 아니다라는 것을 변명하는 것이 아니라, 그 잘못을 인정하고, 환자와 환자의 가족에게 그가 왜 그랬는지를 설명하고, 용서를 구하는 에피소드가 꽤보인다. 저자는 유명한 신경외과의라했다. 결국 그말은 그가 굉장히 많은 환자를 치료하고 수술했다는 의미이기도하다. 그 많은 케이스에 실수가 없었으랴. 그 실수만큼 그가 성장했으리라는것은 쉽게 추측해 볼수 있는 일이였다. 그럼에도 그는 그 실수를 숨기지 않았다. 사실 숨기고 싶었지. 하지만 그는 그가 가지는 죄책감, 수치심은 환자에게 그의 실수를 인정하고 진심어린 사과를 하게한다. 그리고 그는 환자를 잊지 못한다. 잊을 수 가 없으니 말이다.
아마 저자가 저명한 신경외과의가 될 수 있었던것은 수많은 수술의 경험도 있겠지만, 그 스스로가 환자였기도했고, 환자의 가족이였기도 했어서 그랬는지도 모르겠다. 결국 그 입장에 서보지 않으면 상대를 온전히 이해하기란 쉽지 않기 때문이다. 아들의 뇌종양으로 보호자로 방문한 병원에서 오로지 의사를 기다리는 수 일의 시간 속에 그 시간이 지옥이였다는 저자, 그래서 자신의 의사 생활 중 가장 중요한 비중이 된 일이였다는 부분, 그래서 환자와 환자 가족의 짜증과 분노를 이해한다는 그의 글을 보며, 환자의 입장에서 유능한 의사가 최고이기도하겠지만, 나의 힘듦을 들어주고 이해해주는 것 또한 우리가 의사에게 바라는 모습일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들었다.
의사라는 직업에 대해 우리가 존경심을 갖는 이유는 의학적 지식뿐만은 아니다. 그들이 인간에 대해 가지는 고뇌, 연민, 희생, 그리고 어떤 경우에서든 우리를 포기해주지 않을 것이라는 희망등이 다 포함되어 있다. 그것이 허울 뿐인 희망이여도, 함께 아파해줄 수 있다는 진심도 말이다. 그래서 의사라는 호칭뒤에 우리가 '선생님'을 붙이는 이유를 그들이 잊지 않아줬으면 한다.
늘 죽음으로부터 딱 한발자국 정도만 떨어져있는 저자의 인간으로써의 성찰은 나에게 큰 울림을 주었다. 정말 만나고 싶지 않은 의사선생님이지만, 꼭 만나야한다면, 저자였음 좋겠다는 생각이 들정도로.
나는 마지막에 어떤 모습일까.
'죽을만큼 괴로울 때는 내가 환자를 도울 수 있을지 없을지 또는 도와야 할지 말아야 할지를 나도 확실히 모를 때다.'p.320
'순간적으로 소멸하는 죽음을 끝내 이루지 못한다면 내 삶을 돌아보며 한마디는 남기고 싶다. 그 한마디가 고운 말이 되었으면 하기에, 지금의 삶을 후회없이 열심히 살아야 하는 것이기도 하다. 어머니는 마지막 순간 의식을 차렸다 잃었다 하는 동안 모국어인 독일어로 이렇게 되뇌셨다.
"멋진 삶이었어. 우리는 할 일을 다 했어" ' p.2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