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사를 바꾼 10가지 감염병 세계사를 바꾼 시리즈
조 지무쇼 지음, 서수지 옮김, 와키무라 고헤이 감수 / 사람과나무사이 / 2021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감염병" 코로나19 "시대"를 지내고 있는 우리에게 어떤 단어보다 실감나게 다가오는 단어다.

이 책은 "세계사를 바꾼"이라는 제목이 붙을만큼 여러 감염병이 지금까지 우리의 세계사에 어떤 영향을 미쳐왔는지를 설명하는 책이다. 대체 병과 역사는 어떤 관계가 있을까?라는 궁금함에 읽은 책이지만, 읽고난 후는 후. 한숨이 나왔다. 결국 인간의 욕심이였고, 탐욕이 만들어낸 재앙이였으니까.


세계사에서 굵직하게 이름을 남긴 총 10가지 감염병과 역사적 상관관계를 설명한다. 시작은 페스트. 쥐의 벼룩을 통해 전염되는 페스트는 우리말로 흑사병이라고 불린다.  죽어가는 사람의 시체가 흑빛으로 변한다고 해서 그런 이름이 붙었는데, 흑사병은 13-14세기에 유럽인구의 1/3을 사망에 이르게했고, 그로인해 절대적인 노동인구의 감소로 시민계급의 향상으로 르네상스의 기반이 되었다고 한다. 또한 신기하게도 병을 이겨내야할 많은 정보 또는 믿음(성경)의 필요성으로 금속활자의 발명과 지식혁명의 근간이 되기도 했다니 이걸 좋았다고 해야 하나....하는 생각이 들었다. 또한 흑사병에 의해 죽어가는 이들에게 교회나 성직자는 어떤 효과도 없었고, 그럼에도 그걸 이용해 돈을 벌려했던 부패했던 종교에 대한 실망감이 종교개혁의 시작의 원인이 되었다. (이부분은 지금 코로나 19를 지내면서, 신께서 내린 형벌이라는니, 신이 보호해 우리는 걸리지 않는다느니..하는 말이 심심찮게 등장하는 것을 보면서 사람 참 안변하는구나 하는 한심함에 한숨이 나오기도 했다..헤혀..)


스페인독감은 1차세계대전 당시 많은 병사들의 목숨을 앗아감으로인해, 전쟁을 장기화 되는 것을 막는 역할을 했다고 한다. 참고로 "스페인"독감이 스페인에서 시작된것은 아니라는 사실.... 처음알았다. 콜레라는 감염 원인이 밝혀지면서 상하수도공사를 통해 도시의 식수를 비롯 위생에 대한 관리가 시작되는 원인이 되었다고 하니,  비위생에서 시작된 병이 인구의 수명증가의 가장 큰 근원이 되었던 상하수도의 시작이였다니점이 아이러니 하다는 생각이 든다. 산업혁명이 만들어냈고, 여전히 우리나라에서 국가전염병으로 관리되고 있는 결핵. 유럽이 미국을 점령하면서 당시 원주민들을 거의 몰살시켰던 병 천연두. 유일하게 전세계적으로 관리되어 없어진 병이기도 하다. 하지만 당시 천연두를 이용해 실제로 캐나다일대의 부족을 몰살시키기위해 일부러 천연두가 묻은 물건을 나눠주기도했다니 최초의 세균무기라고 해야하나.. 하... 

이밖에도 아프리카등지에서는 여전히 위험한 말라리아, 황열병등은 모기라는 매개체를 통해 인간에게 전염되는 병이기에 백신을 통해 관리가 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가난하기에 맞을 수 없어 몇몇 나라에서는 여전히 위 병으로 죽어가는 이들이 발생하고 있다고 한다.


저자는 감염병은 당시의 적군이던 아군이던 공평하게 사람의 목숨을 앗아갔다고 말한다. 하지만 요즘은 그렇지 않다. 돈을 가진사람이냐 아니냐. 국가가 국가로서의 역할을 제대로 하느냐 못하느냐에 따라 감염병이 미치는 정도가 다르다. 거기에도 계급이 있다는 것이 보이는 요즘이다. 인간의 욕심에 의해 대부분 시작되었고 퍼졌다. 농업혁명을 필두로 인간이 모여살고 시민혁명과 산업혁명을 거치면서 도시화 되어 지금에 이르렀기에 감염병이 퍼지기에 최적화(?)된 환경을 가진 지금 우리가 감염병을 어떻게 바라봐야할지를 다시 생각한다. 나를 통해 타인을 생각하고 타인을 생각하는만큼 우리보다 조금은 힘들게 사는 나라도 한번쯤 돌아보면서, 코로나19로 인간에게 자연을 뺐겼던 동물들이 나타나는 호수가를 돌아보며, 우리가 무엇을 얻기위해 무엇을 버렸는지, 돌아보지 않았는지를 생각해볼 때가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든다.


감염병의 역사가 궁금해서 읽었지만, 인간의 욕심에 안타까움이 남는다.

저자의 말처럼 "과거는 미래를 비추는 거울"이니 과거의 실수를 제대로 보고, 우리는 미래에 같은 실수를 하지 않기를 바란다.


"본 도서는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협찬받아 개인적인 감상으로 작성한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