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밤의 유서
요슈타인 가아더 지음, 손화수 옮김 / 알에이치코리아(RHK) / 2021년 8월
평점 :
요슈타인 가아더의 신작이라는 글 하나에 선택해서 본 책. 저자의 가장 유명항 소피의 세계도 아직 읽어보지 못했는데, 유명 저자의 신작이라는 글과 함께 제목이 눈에 들어왔다.
"밤의 유서" 죽음과 맞닿아있는 두 단어. 밤과 유서.
책은 일인칭 시점으로 알버트가 근위축증이라는 시한부를 선고받고 인생을 돌아보며 남긴 글이다. 크게 두부분으로 나뉘는데 "숲속의 오두막"을 둘러싸고 알버트와 에이린의 함께 하는 삶. 그리고 마지막을 혼자 준비하는 알버트의 글이다. 내용은 알버트의 인생. 에이린과 함께해 크리스티안을 낳고 유네를 만나고 손녀 사라까지 그의 삶을 이야기하는 부분과 시한부를 선고받아, 그 스스로 제어할 수 없는 삶의 마지막을 맞이하고 싶지 않아 죽음을 결심해 유서를 작성하는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죽음을 앞두고 인생을 돌아보며, 그는 그녀와 시작을 함께했고 둘의 위태로움을 이겨했던 장소인 오두막에서 그가 미처 하지 못했던 말을 방명록에 남긴다. 삶을 정리하며 그는 지금의 그를 둘러싼 모든 것들의 인연을 수많은 우연의 산물이며, 로또 1등과 같은 행운이였다고 말한다. 빅뱅의 순간부터 어느것 하나 조금이라도 어긋났다면 지금의 지구는 그는 그녀는 없었을 것이나, 그 모든 시간이 만들어낸 우연의 산물이 그와 그녀를 있게했고, 크리스티안, 유네, 사라를 만들었고 그들의 오두막에 있게했다. 그렇기에 그는 모든 것에 감사하지만, 몇달 남지않은 시간을 죽어가는 자신의 몸에 묶여 불명예스러운 삶을 살아가기보다, 본인의 의지로 삶을 끝내야 한다고 생각한다. 나의 마지막을 타인의 도움으로 끝내야 한다는 사실에 비참하기 그지없는 것이다.
그러다 그는 불연듯 깨닫는다. 그 자신의 마지막이 에이린과 그의 가족들에게 어떤것일지. 그가 이렇게 가고 나면 그녀는 그녀의 가족은 어떤 심정일지를. 죽음을 앞두고 '나'에서 '나의 당신'의 감정을 생각한다. 사실 이 부분에서 좀 놀랐다고 해야할까. 타자이지만 깊은 관계를 맺고 있는 인물들은 사실 나의 죽음이든 당신의 죽음이든 죽음이라는 주제를 놓고 볼때, 자신의 감정에 매몰되기 마련이다. 나의 죽음이라면 나에. 당신의 죽음이라면 당신을 잃는 나에. 개인적으로 아직 나의 죽음을 겪어보진 않았기에(그러니까 이렇게 책을 읽고 감상을 쓰고 있으니..) 가장 가까웠던 나의 할머니의 죽음을 겪으면서 나는 할머니께서 어떤 생각을 하고 계신지를 돌아볼 여유가 없었다. 할머니와의 이별로 인한 나의 슬픔에 빠져있었으니까. 하지만 할머니가 가시고 한참 후에야 그 마지막을 함께 많은 이야기를 시간을 나눠보지 못했다는 깊은 아쉬움과 슬픔이 남았다. 책을 읽으며, 그 시간에 아쉬움이 다시 떠올랐다.
나의 경험은 에이린이 바라보는 알버트의 죽음이지만, 저자는 나의 죽음 두고 나와 당신의 시간이 어떤 의미인지를 톺아보라고 말하는 것 같다. 지나는 순간은 비극일지 모르나, 지나온 인생은 희극이였듯, 가까운이의 마지막을 나의 마지막을 어떻게 보낼 것인지 또한 관계를 함께하는 시간속에서 겪어내야 하는 것임을 말이다. 에이린의 경우도 수십년을 함께해온 알버트와의 이별을 어떻게 겪어내야 하는지를 말하고 있다. 책은 담담하게 또 짦은 이야기로 쓰였지만, 책에 해설을 달아주신 강신주님의 말처럼 다시 한번 더 읽게 만든다. 화자의 입장으로 당신의 입장으로.
여운이 깊게 남는 책이다. 그 시간이 적절할 것이라고 강신주님은 썼지만, '나'의 입장에서는 그럴지 모르나, '당신'의 입장에서의 마지막은 여전히 모자르고, 오지 않았으면 하는 시간이다. 그래서 완전한 이별은 참 어렵고 슬프다.
"한 때 우리는 좋은 날이나 나쁜 날이나 항상 함께하겠다고 서약한 적이 있다. 지난 시간을 돌이켜보니 우리에겐 좋은 날 뿐이었던 것 같다. 그렇다면 이제 우리에게 다가 올지도 모르는 나쁜 날을 맞아들일 준비를 해야 할 것이다. 어쩌면 그 나쁜 날 중에서도 무언가 좋은 점을 발견해 낼 수 있지 않을까?" p.170
강력추천!
"본 도서는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협찬받아 개인적인 감상으로 작성한 리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