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아무것도 없다 - 카르멘 라포렛 탄생 100주년 기념판
카르멘 라포렛 지음, 김수진 옮김 / 문예출판사 / 2021년 7월
평점 :
스페인의 <호밀밭의 파수꾼>이라고 불리는 책이고, 스페인 최고 권위 <나달문학상> 1회 수상작이라는 소개 글을 보고 주저없이 읽기시작한 책.(이런거 또 못참지...)
책은 주인공 안드레아의 1인칭 시점으로 그려진다. 안드레아가 대학공부를 위해 바르셀로나의 할머니 댁으로 이사오는 것을 시작한다. 스페인 내전으로 피폐해진 바르셀로나의 모습이 이 집을 통해 투영되는데, 안드레아가 처음 이집에 대한 느낌을 말하는 부분에서 얼핏 엿볼수 있다.
"제일 먼저 눈에 들어온 것은 온통 거미줄이 쳐지고 다 깨어져나가 한쪽 날개만 천장 밑에 대롱대롱 매달린 전등 갓 아래 달랑 한 개 남아 있는 희미한 백열 전구와 그 빛을 받아 어슴푸레 모습을 드러낸 현관이었다" p.21
오래도록 이어진 내전으로 피폐해버린 큰삼촌과 그 전쟁통에 큰삼촌과 결혼한 외숙모, 큰 삼촌은 분노의 감정조절이 되지 않는 인물로, 매번 집안에서 아내를 폭행하고, 모두에게 폭언을 일삼으며 자신의 감정을 조절하지 못하는 사람이다. 그런 삼촌옆에서 그래도 참아내는 외숙모는 어떨때는 어른의 모습을 어떨때는 철없는 아이의 모습을 하는 인물.
그리고 작은 삼촌은 오래된 내전속에서 자신의 재능을 펼쳐보일 기회조차 갖지 못했고, 그런 환경에 그저 너무 익숙해져버린 덜 자란 어른의 모습이다. 형의 아내를, 안드레아의 친구에게 지분되고, 자신이 얼마나 훌륭한 예술가인지를 그저 주위의 인물들에게 인정받고자하는 어른 아이.
젊은 세대의 변화를 받아들이지 못하고, 자신의 의견만을 강요하고, 타인과 잘 어울리지도 못하는 인물 안드레아의 이모. 이 인물이 초기 안드레아를 가장 크게 옭아매는 인물 중 하나이다. 자신의 가치관을 끊임없이 타인에게 강요하고, 그 의견을 받아들이지 못하는 타인을 모두 적으로 간주하는 모든 인물과의 관계에서 벽을 쌓는 사람.
이런 가족 구성원 모두 정상적인 어른의 모습은 한명도 없었다. 이 가족을 통해 오래된 전쟁과 전쟁으로 인한 가난, 불안함이 어떻게 사람을 바닥으로 내려앉히는지를 볼 수 있었다.
<호밀밭의 파수꾼>에서는 주인공 콜필드의 방황이였다면, 이 책은 반대로 안드레아의 시선으로 보이는 나머지 인물들의 방황이다. 주인공이 아닌 관찰자와 같은 모습이랄까.
"어차피 내 인생의 끝이 막다른 골목이라면, 인생을 굳이 힘겹게 뛰어갈 필요가 전혀 없다는 생각이 들었다. 어떤 이들은 인생을 향유하기 위해 태어나고, 또 어떤 이들은 죽도록 일하기 위해 태어나고, 또 어떤 이들은 그저 인생을 지켜보기 위해 태어나는가보다. 나라는 사람은 그 관조자 역할을, 그것도 아주 미미한 역할을 하도록 타고난 것 같았다." p.370
이런 암흑같은 주인공의 시선에서 유일하게 밝은 빛으로 그려지는 친구 에디가 있다. 에디와의 관계속에서 안드레아는 자신의 환경과 전혀 다른 그녀의 가족과의 관계를 통해 때론 이질감을 느끼면서도, 에디와 헤이메와의 관계속에서 안정을 찾아가는 모습은 그녀의 삼촌들과 할머니가 겪었던 시대와는 다른 시대를 살아갈 당시 젊은이들의 희망같이 보여지기도 했다. 그녀 또한 그녀의 가족을 떠나 또다른 환경에서의 새출발을 그리면서 끝나는 이 책은 내전을 온몸으로 겪어내야 했던 세대와 그 다음 세대의 차이, 그리고 그 다음 세대가 바라보는 미래를 어렴풋이 상상할 수 있었지만, 그럼에도 그 내전을 겪어야했던 세대는 결국 그 현실을 벗어나지 못하는 모습이 대비되어 그려지기도 한다.
<호밀밭의 파수꾼> 콜필드는 십대의 휘몰아치는 방황을 그리면서도, 내부에는 동생 피비의 안녕과 자신의 모습을 자기 내면에서 찾아가고 있다면, <아무것도 없다>는 주인공 이전 세대의 방황하는 모습 속에서 안드레아가 자신만의 내면을 찾아가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스무살을 갓 넘긴 안드레아의 모습은 작은 삼촌의 말한마디에 흔들리고, 이모의 구속에 속박당해 복종하면서도 그녀의 생각과 색깔을 변하지도, 주변의 생각에 물들지도 않는다.가장 가까운 가족, 친구들과의 관계 속에서도 흔들들리는 단계는 있으나, 그속에서도 자신을 잃지않고, 그녀만의 생각을 정립하는 것을 보면서, 이십대의 시작이 멋져 보이기도 했다.
그녀의 새로운 시작이 바르셀로나의 첫날 밤과는 다른,
더 밝은 밤의 마드리드를 안드레아가 만나길 바라며.
"이 계단을 처음 오를 때 가졌던 새 삶에 대한 가슴 떨리는 희망과 열망이 기억났다. 그런데 지금 나는 1년 전에 막연히 알기를 바랐던 충만한 인생과 기쁨, 심오한 관심, 사랑, 그 무엇에 대해서도 아무것도 알아내지 못한 채 다시 떠나는 것이었다" p.485
"본 도서는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협찬받아 개인적인 감상으로 작성한 리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