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디스 워튼의 환상 이야기
이디스 워튼 지음, 성소희 옮김 / 레인보우퍼블릭북스 / 2021년 3월
평점 :
이디스워튼의 작품은 올드뉴욕을 읽고서 두번째 책이다. 올드뉴욕과는 결이 전혀 다르면서, 묘하게 어렸을적 보았던 스티븐스필버그의 "어메이징 스토리"라는 미드를 생각나게했다. 묘하게 으스스한 스산함이 느껴지는 8개의 단편들. 개인적으로 여름 밤에 불꺼놓고, 책상 스텐드하나 켜놓고 읽었더라면 더 오싹했을 법한 스토리로 구성되어져있다.
이디스워튼은 "순수의 시대"로 여성최초 퓰리처상을 받은 작가이다. 명망가의 자제로 상류사회에 있다보니, 올드뉴욕도 그러했고, 이 책의 배경 또한 부자집에 대한 배경이 풍부했다. 7화의 "페리에 탄산수 한병"의 배경이 되는 사막의 집은 부자이면서도 사막 그자체의 몽환적인 배경이 잘 그려져 있었다.
1화 "시간이 흐른 후에야"는 시작부터 앨리다스테어의 입을 통해 복선이 깔리고, 보어부부의 일상이 그려질때마다 내 머릿속은 대체 누구지? 이사람인가? 저사람인가? 아니면 주인공인가?하면서 내내 복선의 주체를 찾아서 내용을 읽어나갔다. 물론 틀렸다. 참고로 단순하게 생각했어야했는데, 혼자서 너무 꼬와서 상상한 덕에 틀리긴했지만, 덕분에 오싹함은 두배로 다가온 내용이였다.
개인적으로 1화는 오싹해서 인상깊었고, 6화 "충만한 삶"은 살고 있는 지금을 생각나게 했다. 살면서 남편과의 모든 생활이 불만이였던 여자는 죽고난후, 생명의 영을 통해 자신이 살아서 충만하지 못했던 삶을 채워줄 영원한 반려를 만났으나, 여자는 삶을 떠나지 못한다. 그리고는 살면서 그녀를 만족시켜주지 못했던, 하지만 자신을 사랑해줬던 남편을 기다린다. 왜 그랬을까. 작가는 왜 제목을 "충만한 삶"으로 지었는가, 여자는 왜 영원의 반려와 함께하지 않았던 것일까. 워튼이 1800년대 후반 사람이여서, 일부일처 뭐 이런 개념으로 이런 스토리를 쓴거 같진 않았다. 다른 작품들에서 여성을 그린 모습이 수동적인 모습은 아니였기에. 그렇다면 왜 이 챕터의 여자는 남편을 기다리는 것인지. 그녀는 삶이 행복했었다는 것을 그때 깨달은 것인지, 아니면 그 삶 자체를 기다린 것인지.. 내가 죽고나서 내게 생명의 영이 나타나 나의영원한 반려를 만나게해준다면 나는? 지금 내 삶을 만족하지 못하고 있는것인가...? 하는 질문들이 꼬리를 물듯.. 계속해서 내 스스로에게 던지고 있었다.(질문과 함께 참고로 나는 결론을 내렸다. 그냥 혼자살기로,,)
으스스함에 읽으면서도, 결말을 읽고, 내가 놓친게 있었나? 하는 의아함이 들었던 밤의 승리편. 그럼 러틀리지가 만났던 사람은 그녀였을까? 아니면? 했던 "매혹 편. 공작부인은 대체 예배당에서 무엇을 했기에 공작이 그곳에 들어갔을때, 그녀를 위한 조형물을 가져왔을때 그리 두려워했을까. 그냥 당당해도 되었을텐데... 했던 기도하는 공작 부인편. 각 단편이 1800년대 후반이 배경이고, 상류사회가 배경이다보니 "성"과 같은 크면서도 뭔가 으시시한 분위기를 기본으로 하다보니 되게 오래된 흑백영화를 보는 느낌도 들었다. 참고로 결말은 독자의 상상이고, 현실적이지 않은, 오랜만에 읽는 유령이야기. 재밌다! 으흐흐흐흐~
"괜찮습니다." 그녀가 쾌활하게 말했다. "이곳에서는 영원히 살 수 있으니까요. 얼마든지 기다릴수 있죠." 그녀는 홀로 천상의 문턱에 앉아서 남편의 부츠가 삐걱거리는 소리를 놓치지 않으려고 귀를 기울였다." p. 230
"본 도서는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협찬받아 개인적인 감상으로 작성한 리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