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한입 매일 철학 - 일상의 무기가 되어줄 20가지 생각 도구들
황진규 지음 / 지식너머 / 2018년 6월
평점 :
철학이라고 하면 그리스어의 필로스(사랑)와 소피아(안다)의 합성어가 여러철학자들의 독특한 이론들로 사람이 살아가는 그나름대로 지적인
태도란 면에 적용시키려 하는 오래된 학문이다.
그러한 연유에서 인지 철학이란 철학자 나름대로의 시대적 상황가운데서 생겨났기 때문에 자칫 고리타분하게만 생각이 들수있는 분야인것도
사실이었다.
본서에서는 살아가는데 있어서 진리를 추구하며 해석하고자 했던 데카르트,스피노자,헤겔,사르트르,니체를 비롯하여 대표적인 철학가들의 20가지
핵심이 되는 이론들을 소개해주면서 각 철학자들의 논리가 오늘날 현대인들의 삶속에 품었던 의구심을 "한입 매일 철학"이란 황진규님의 저서를 통하여
명제별로 구성해 놓고 있었다.
이책의 이같은 특징들이 철학이라면 학문적이고 사고적이기에 일상생활과 동떨어져 있는 것이라는 선입관에서 내자신이 평생시에 느끼는 감성과
생활가운데 왜 그럴까? ,이럴때 어떻게 하며는 보다 나은 선택을 할수 있을까, 내자신이 하는일을 다시 시작한다면.. 등과 같은 스스로가 가졌던
문제들을 철학적 접근을 어렵지 않게 접하면서 내자신이 살아가는 모습을 철학적원리로 정리할수 있는 시간이었다.
시대적,상황적인 시간의 흐름에 따라서 만들어진 철학의 이론을 이책은 여러철학이론을 한데 모아놓고 있으므로 이를 보는 독자들에게는 인간의
사고가 늘 유동적인것임을 보여주는 대목이었다.
그예로 정신분석학의 대가인 프로이트로 무의식에 대한 그의 이론이 초기에는 의식과 무의식에서 나중에는 꿈이 흔히 잠잘때 꾸게 되는 현재몽과
평상시 억압받던것이 왜곡되이 표출된 잠재몽으로 개념을 잡는다.
이처럼 잠재적이냐 아니야에 따라 억압받느냐 아니면 억압되는 기재인지의 개념을 잡다가 흔히 알고들 있는 이드,자아,초자아의 개념이 자리잡게
된다.
이같이 철학자의 한축을 자리매김하고 있는 프로이드의 정신분석학처럼 알게모르게 시대적 영향을 미치면서 근대철학에 이르게 된다.
이번기회에 내자신도 철학,심리학서적으로 알고있었던 이론들을 의문점을 갖고 접근하게 되므로 흥미를 갖고 철학을 정리할수 있는 시간이었다.
프로이드뿐만 아니라 한때는 공산주의 철학으로만 낙인이 찍혔던 마르크스의 역사유물론도 마찬가지였다.
철학을 깊은지식으로 준비된 자세로 전문적인면만을 추구하던 기존의 철학서적과는 확연히 달리 실제상황에서 제대로 알고 문제의식을 해결하며
자신에게 바로 적용시킬수 있는 철학서적이었다 .